사회문화 기능론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224100
거시적 관점이 사회문화현상을 이해할 때 개개인의 행위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사회구조나 제도등에 초점을맞춰서 한는거잖아요.
근데 기능론은 거시적 관점인데 성공요인이나 사회문제의 원인을 설명할때
성공요인은 개인의 노력,능력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고
사회문제의 원인을 설명할때는 제도의 결함 뿐 아니라 일부 개인의 부적응을 통해 설명하는거죠??
개개인은 별로 중요하지않게 보고 인간을 수동적이라고 보는 거시적관점인데도 불구하고 왜 기능론은 저런것들을
개인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나요? 개개인의 행위에 별로 관심이 없는 거시적 관점에서는 사회문제의 원인을 제도의 결함때문이라고만 해야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그냥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요
말그대로 거시적관점은 개개인이아닌 사회전체적인 구조에서 보는건데
그럼 거시적관점에서 볼때 만약 구조가 잘 잡혀져있다면 빈부격차라는게 존재할 수 없다고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만약 저런 상황에서 빈부격차가 발생한다면 그건 사회구조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맞춰서 사회문화현상을 이해한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주전부터 쓰레기 주울까
-
선생님 한 5명한테 왜 학교 안나오냐는 똑같은 말 들음
-
뭔가 만족을 못 하겟음 작년엔 어 난 고능아야 마인드로 살았는데 올핸 이유는...
-
고인물들은 다 아는 느낌이네 ㅈ
-
성적상승 ㅁㅌㅊ 10
대단하다고 말해주세요 대단하다고 말해주세요
-
ㅈ반고인데 전과목 다 5등급제기준 1등급 하나도안뜨고 운좋으면 2뜨고...
-
술먹음
-
히히 9
낼부터 브크 리트 시작 심찬우와 이원준을 체화한 나는 으흐흐
-
곧 졸사찍는데 4
진짜 나 곧 졸업하는구나
-
본인이나 내 주변 학창시절 생각해보면 경북이랑 사립 교집합이면 매우 끔찍한 학교가...
-
입시판 승자는 2
지방대던 인서울이건 본인이 만족하고 뜨는 사람이 승자같다
-
일어난지 얼마 안돼서 못자겠음
-
단원별로 있는 거 찾는 중인데 마더텅은 없고 오울도 없고 자이스토리만 있는 거...
-
조용히 댓글 남기고 가십쇼 26수능은 우리의 무대
-
동아리 문과 선배가 파이 100자리 가까이 외우고 있던거
-
주어없음
-
작수를 현장에서 본자만이 비로소 느낄 수 있다... 덕분에 난 사문으로 튀었지
-
200일의 전사 저런거 했는지도 몰랐네
-
바람입니다...진짜 너무 심해요... 앞머리 망치는 건 당연지사고 겉옷이 뭔...
-
지금 수시로도 연고공, 지방 약수는 갈 수 있는데 수시로 가도 별로 만족 못하고 수능 계속 볼거같음
-
진짜 못해도 약수는 갈 수 있으려나... ㅋㅋㅋㅋ
-
ㅈㄴ 어렵네요 ㄷ
-
어째서 인천에 감금되어야만 하는 것인가...
-
07 (연대, 고대, 한의대)
-
남들이 슬퍼해도 남들의 잘난 점을 찾고 나랑 비교하게 되는구나 내가 내 인생이...
-
밤에 몰래 기만해보자면 20
우리집은 눈에띠게 돈이많음 그래서사실 공부안해도되긴헤…
-
오랜만에 오르비 켜기 반가워요 암거나물어보실분 모집함니자
-
지1 시작할때 개천절 드립 진짠줄 알았었음 ㅋㅋ
-
들키면 ㅈ된다 뭐한다 하면서 옵밍아웃Dm 캡쳐한 게시글은 왜 올리는거임?
-
작수 언미물지 100 96 1 48 41 입니당
-
뭐 좀 물어보려고 허는데 여기 쌍사 만점있어?
-
반수는 그냥 바로 때려쳤을듯 고대 분위기 자체가 뭔가 애정이 감 그래서...
-
3모 4덮 공통 2틀이에요..
-
생1지1이 맞음 아니면 생2지2 생2지1 ..
-
...
-
고1때 안되는데 많았었던거같은데 ㄹㅈㄷ 생스퍼거라 생1생2하면 잘할수있는데
-
쉽고 재밌어요
-
반수라니 4
전 능력의 최대치가 여기라 리트라이할 엄두가 안 나요 운빨 잘 탄 덕에 간신히 들어온 학교...
-
덴마크는 상대 빈곤율 3% 정돈데.. 어디서 태어나느냐에 따라 가난할 수도 있고.. 아닐수도있고..
-
기숙가는애들도 많음 ㄷㄷ
-
지1 쉽다는게 5
내가 볼때 수능판에서 가장 말도 안되는 가스라이팅임 ㅋㅋㅋㅋㅋ 지1은 수능에서...
-
올오카는 끝냈고 tim은 다음주 하면 끝날 것 같은데 해야하나요? 가격이 너무 ㅎㄷㄷ해서 고민
-
목소리 좋은 사람이 너무 부러움 윤도현씨 노래 부르시는 거 보고 잇는데 목소리가 너무 조음
-
1. 귀여우심 2. 카이스트출신인데 노베 강의 goat.. 3. 강의 마무리멘트...
-
ㄹㅇ 먹는거에 환장해서 그런가 전국맛집투어 마려움..
-
6,9,수능 중에 있었나요? 기억상 2406이 80이었던거 같은데..
-
이번 중간고사 미적분에서 원래 객관식 틀린거+찍은거 합쳐서 5개였는데 일단 찍어서...
-
아무리 생각해도 7
지구과학 괜히한거같음 그냥 물리 계속할걸 바이럴당함 ㅅㅂ 사탐이랑 동급이라며
-
국영수사문지구 333?4 정도 나옵니다. 5월 연휴 때 무슨 과목을 집중으로 계획을 할지 고민입니다
개인의 능력이라는 것이 주어진 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 정도를 의미하는 것과 동치가 됩니다.
개인의 능력이 독특하거나 발상적이라서 성공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스템에 잘 적응/이용하고 있는 것이죠.
와..한방에 이해가 되네요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그럼 기능론이나 갈등론같은 거시적관점은 개인의 어떠한 행동이든 사회에 초점을맞춰서 설명하겠군요?
예 그런거죠 그러니까 '거시적'관점이 되는거에요!_!
그러면 개개인들이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규범을 만들어낸 행위도 개개인이 만들어낸거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는게 아니라 결국 사회를 유지시키기위해 개개인들이 합의하여 규범을 만들어냈다
이런식으로 설명을하는거죠?
옝옝 그렇죵
하나만 더 질문하겠습니다!! 그럼 갈등론에서 성공의요인인 개인의 가정배경을 사회전체구조적인 관점에서 설명한다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가정배경이 좋다는것은 사회에 잘 적응한것이다?이런식으로 봐야되는건가요??
뭔가 그렇게 설명해버리면 갈등론하고 잘 안맞는거 같아서요 갈등론에서 보는 사회는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투쟁인데 이 사회에 잘 적응한다는것이 무엇인지..
사회에 잘 적응한다는것이 지배계층으로 살아가는걸 뜻하는건가요? 또 그건아닌거같고...ㅠㅠ
아 하나만더요 ㅠㅠ 죄송합니다
사회 구성원이 완전히 교체되더라도 사회는 계속해서 존속하는 것으로 본다
이 선지는 사회실재론에 해당하고 기능론에서 본다면 맞는 선지잖아요?
이 선지를 거시적관점 자체에서 봐도 맞는선지인가요? 만약 맞다면 갈등론에서도 맞다는건데
갈등론에서 만약 부르주아들이 모두 프롤레타리아로 교체된다면 갈등론에서 생각하는 사회인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투쟁하는 사회가 없어지는거 아닐까요?
근데 결국 갈등론도 거시적관점이기때문네 사회가 없어진다는 것은 말아안되니 사회는 존속하되 투쟁하는 사회가아닌 공산주의 사회가 존속한다고 보는것인가요?
사문 강사인 지도리님 말씀이 지당하십니다! 밑은 그런 이상적인 구조가 존재할 수가 없어서 일듯 하네요. 어차피 저렇게 가정한 문제는 수능에 안 나오므로 밑과 같은 선지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ㅋㅋㅋㅋ
감사합니다!아 강사님이셨군요.. 역시 대단!!
구조가 잘 갖춰져 있더라고 기능론적 관점에서는 사회계층화 현상이라는 것이 존재해야하는 거죠(사회 계층화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과 빈부격차가 존재한다는 것 역시 동치인것 알죠 ㅇ_ㅇ?)
구조가 잘 갖춰져 있다라는 것은 사회의 발전을 위한 개인의 교육 수준의 향상들을 전제하고 있게 돼는데요(기능론에서 그래서 교육을 긍정적으로 바라봤잖아요 ㅎ), 그런데 이런 교육과정에서 일정한 경쟁의 과정을 기능론은 기본적으로 전제하게 됩니다. 그리고 차등적 결과물의 분배를 통해서 이러한 경쟁에서 승리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거죠(경제학적으로는 인센티브의 개념이 되게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