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Is8F4x3y6v0j [629213] · MS 2015 · 쪽지

2016-04-02 20:17:20
조회수 399

사회문화 기능론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224100

거시적 관점이 사회문화현상을 이해할 때 개개인의 행위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사회구조나 제도등에 초점을맞춰서 한는거잖아요.

근데 기능론은 거시적 관점인데 성공요인이나 사회문제의 원인을 설명할때
성공요인은 개인의 노력,능력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고
사회문제의 원인을 설명할때는 제도의 결함 뿐 아니라 일부 개인의 부적응을 통해 설명하는거죠??
개개인은 별로 중요하지않게 보고 인간을 수동적이라고 보는 거시적관점인데도 불구하고 왜 기능론은 저런것들을
개인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나요? 개개인의 행위에 별로 관심이 없는 거시적 관점에서는 사회문제의 원인을 제도의 결함때문이라고만 해야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그냥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요
말그대로 거시적관점은 개개인이아닌 사회전체적인 구조에서 보는건데
그럼 거시적관점에서 볼때 만약 구조가 잘 잡혀져있다면 빈부격차라는게 존재할 수 없다고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만약 저런 상황에서 빈부격차가 발생한다면 그건 사회구조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맞춰서 사회문화현상을 이해한거 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도리 · 473113 · 16/04/02 20:20 · MS 2013

    개인의 능력이라는 것이 주어진 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 정도를 의미하는 것과 동치가 됩니다.
    개인의 능력이 독특하거나 발상적이라서 성공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스템에 잘 적응/이용하고 있는 것이죠.

  • OeIs8F4x3y6v0j · 629213 · 16/04/02 20:23 · MS 2015

    와..한방에 이해가 되네요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그럼 기능론이나 갈등론같은 거시적관점은 개인의 어떠한 행동이든 사회에 초점을맞춰서 설명하겠군요?

  • 지도리 · 473113 · 16/04/02 20:27 · MS 2013

    예 그런거죠 그러니까 '거시적'관점이 되는거에요!_!

  • OeIs8F4x3y6v0j · 629213 · 16/04/02 20:29 · MS 2015

    그러면 개개인들이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규범을 만들어낸 행위도 개개인이 만들어낸거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는게 아니라 결국 사회를 유지시키기위해 개개인들이 합의하여 규범을 만들어냈다
    이런식으로 설명을하는거죠?

  • 지도리 · 473113 · 16/04/02 20:31 · MS 2013

    옝옝 그렇죵

  • OeIs8F4x3y6v0j · 629213 · 16/04/02 21:20 · MS 2015

    하나만 더 질문하겠습니다!! 그럼 갈등론에서 성공의요인인 개인의 가정배경을 사회전체구조적인 관점에서 설명한다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가정배경이 좋다는것은 사회에 잘 적응한것이다?이런식으로 봐야되는건가요??
    뭔가 그렇게 설명해버리면 갈등론하고 잘 안맞는거 같아서요 갈등론에서 보는 사회는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투쟁인데 이 사회에 잘 적응한다는것이 무엇인지..
    사회에 잘 적응한다는것이 지배계층으로 살아가는걸 뜻하는건가요? 또 그건아닌거같고...ㅠㅠ

  • OeIs8F4x3y6v0j · 629213 · 16/04/02 21:29 · MS 2015

    아 하나만더요 ㅠㅠ 죄송합니다
    사회 구성원이 완전히 교체되더라도 사회는 계속해서 존속하는 것으로 본다
    이 선지는 사회실재론에 해당하고 기능론에서 본다면 맞는 선지잖아요?
    이 선지를 거시적관점 자체에서 봐도 맞는선지인가요? 만약 맞다면 갈등론에서도 맞다는건데
    갈등론에서 만약 부르주아들이 모두 프롤레타리아로 교체된다면 갈등론에서 생각하는 사회인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투쟁하는 사회가 없어지는거 아닐까요?
    근데 결국 갈등론도 거시적관점이기때문네 사회가 없어진다는 것은 말아안되니 사회는 존속하되 투쟁하는 사회가아닌 공산주의 사회가 존속한다고 보는것인가요?

  • 수능을 초월한 마음 · 649359 · 16/04/02 20:23 · MS 2016

    사문 강사인 지도리님 말씀이 지당하십니다! 밑은 그런 이상적인 구조가 존재할 수가 없어서 일듯 하네요. 어차피 저렇게 가정한 문제는 수능에 안 나오므로 밑과 같은 선지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ㅋㅋㅋㅋ

  • OeIs8F4x3y6v0j · 629213 · 16/04/02 20:30 · MS 2015

    감사합니다!아 강사님이셨군요.. 역시 대단!!

  • 지도리 · 473113 · 16/04/02 20:30 · MS 2013

    구조가 잘 갖춰져 있더라고 기능론적 관점에서는 사회계층화 현상이라는 것이 존재해야하는 거죠(사회 계층화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과 빈부격차가 존재한다는 것 역시 동치인것 알죠 ㅇ_ㅇ?)
    구조가 잘 갖춰져 있다라는 것은 사회의 발전을 위한 개인의 교육 수준의 향상들을 전제하고 있게 돼는데요(기능론에서 그래서 교육을 긍정적으로 바라봤잖아요 ㅎ), 그런데 이런 교육과정에서 일정한 경쟁의 과정을 기능론은 기본적으로 전제하게 됩니다. 그리고 차등적 결과물의 분배를 통해서 이러한 경쟁에서 승리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거죠(경제학적으로는 인센티브의 개념이 되게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