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ertia · 604985 · 16/03/26 18:38 · MS 2015

    무슨지문이었죠 ㅋㅋ

  • · 640905 · 16/03/26 18:41 · MS 2016

    그 대장균이 서로 죽이는데.. 세명이 같이 있으면 짝짜궁해서 같이 살 수 있다는?ㅋㅋㅋㅋ 지문이요 ㅋㅋㅋ

  • 킬녕 · 520625 · 16/03/26 18:46 · MS 2014

    왜요?

  • 머모바 · 643728 · 16/03/26 19:02 · MS 2016

    그 무슨 별표 네모 세모 이야기하는건가요?

  • jkjkjk1234 · 618828 · 16/03/26 19:03 · MS 2015

    그거 마지막 우세종 이랑중간꺼 대충 따져내서 골라냈는데 처음우세종은 어떻게따져야할지 몰라서 찝찝햇음 지문에없는데

  • 머모바 · 643728 · 16/03/26 19:22 · MS 2016

    아 저도 그랬어요 솔직히 출제오류 맞는 듯

  • · 640905 · 16/03/26 20:05 · MS 2016

    실험 1은 순서만 다르지 다 똑같은 말이고
    실험 2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써놧죠 ㅋㅋ
    지문에 독소도 해독제도 못만드는 애는 들어가자 마자 죽는다고 되있는데 처음 우세종;ㅋㅋㅋ

  • 베에 · 562461 · 16/03/26 20:34 · MS 2015

    글쎄요. 그냥 쎈 의미로 부등호 쓴 것같은데요?

    첫째 실험에서는 부등호들이 연속적이었는데 두번째 실험에서는 부등호 관계가 딱 하나로 가위바위보 법칙을 적용하지 않은것을 보면 출제오류는 아닌 것 같아요.

  • · 640905 · 16/03/26 20:45 · MS 2016

    그 표 위쪽에 시간의 흐름에 다른 우위 종 이라고 써있었어요.
    근데 본문엔 삼각플라스크에 넣을 경우 해독제를 못만드는 종류가 바로 죽는다고 나와있거든요.
    들어가자마자 다 죽는데 처음에 우위종이다? 같은 수를 넣을텐데?
    말도 안되는 소리죠 ㅇㅅㅇ..
    그리고 애초에 누가 제일 쎄냐 이런게 아니였어요
    서로서로 죽이는 관계인데 셋이 같이있으면 가위바위보를 같이 낸거처럼 다 살 수 있다 이런거였는데
    누가 쎄냐는 애초에 비교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부등호도 아니였어요

  • 베에 · 562461 · 16/03/26 21:00 · MS 2015

    아 부등호가 아니라 화살표네요.

    여기서 출제자는 아마 S R C의 강자관계를 비교하고 싶었던거겠죠. S가 제일 약한것과 실험 1에서의 결과를 가져와서 답을 고르게 하려는 의도였을텐데.

    지금 보니까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우위 종이라고 적혀있네요. 그럼 출제 오류 맞는 것 같아요.

  • 현역 · 617263 · 16/03/26 21:47 · MS 2015

    그 문제에서 화살표의 방향은 강자를 의미하는데 그것이 실험2에서 별이 처음 우위종이고 세모가 그 다음이고 그런건 아닌거같아요 지문 근거햇을때 실험1이 점점으로 표현된건 우위종이 계속 변하기 때문이고 실험2는 우위종이 네모로 딱 정해진다는것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강자관계가 별 세모 네모순이고 우위종은 마지막에 잇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니까 적절한듯합니다..

  • · 640905 · 16/03/26 21:49 · MS 2016

    강자를 의미하는게 아닙니다.
    저 셋에서 애초에 강자를 따질수가 없는걸요
    별.세모.네모순인데 지문에서 보면 네모를 별이 이긴다고 나와있구요
    더군다나 별이 처음 우위종이고 그런게 아니라뇨
    보기2 표위에 떡하니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우위종'이라고 써있는데요..

  • 현역 · 617263 · 16/03/26 21:56 · MS 2015

    시간의흐름에 따른우위종의 뜻이 별이 처음 우위종이라는 뜻이아니라 별보단 세모가쎄고 세모보단 네모가 쎈 강자관계에서 결국 살아남는 네모가 시간의흐름에따라 우위종이 된다는 뜻이고 강자관계는 지문의 이긴다라는 표현에서 적합한듯한데..

  • · 640905 · 16/03/26 22:09 · MS 2016

    그런 뜻이라면 맞다고 할 수 있겠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우위 종' 이라는 문장은 그 해석만으로 생각하기엔 여지가 많지않나..생각되네요
    화살표의 방향은 강자를 의미한다 해도 그게 그 시간일때의 강자인지 전체적인 강자관계인지 명확하지가 않으니까요
    흐름 이란 표현이 다른 해석도 충분히 개연성 있게 만들어주는듯 합니다

  • 현역 · 617263 · 16/03/27 12:14 · MS 2015

    그 화살표는 강자관계를 나타내는거라고 써잇는데ㅠㅠ시간의흐름에따른강자라고 써잇으면몰라도.. 자의적으로 화살표 해석하면안되요!! 화살표는 단순 강자 표시일뿐 우위종은 점점을봐서 실험1은변하구 실험2는 네모이다라고 해석해야될거같아여!! 제 해석이 틀릴수도잇지만 참고해주세여 그럼 열심히공부해여!!!!화이팅

  • Inertia · 604985 · 16/03/26 22:09 · MS 2015

    마지막에 네모가살아남는거아님?

  • · 640905 · 16/03/26 22:16 · MS 2016

    넵 그건 맞습니다!
    문제가 되는 놈은 별과 세모죠..
    마지막에 네모가 산다는건 의심할 여지가 없는데
    별은 들어가자마자 죽는지라..? 애초에 우위를 점할수가 없지 않을까 해서요..
    윗분의 해석이 아마 출제자들의 의도이지 않을까 생각도 드는데
    그렇다고 해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우위 종 이라는 표현이 애매한지라 어쨌든 이상하게 낸듯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