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이영준T] 성격으로 파악해 본 국어 공부 스타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146885
성격으로 파악한 국어 공부 스타일
1. 자아 존중감이 부족한 학생의 특징
(1) 자신이 생각한 답보다 모르는 것을 답을 함
- 합리적인 생각 : 모르는 것보다 자신이 판단한 것이 정답일 확률이 높음
(2) 모든 선지에 정답인 이유까지 알아야 함
- 합리적인 생각 : 시간 안에 풀려면 정답인 이유만 알기에도 벅참.
(3) 하나를 모르면 전체를 다 모름
- 합리적인 생각 : 전부 완벽하게 알고 푸는 사람은 거의 없음
(4) 시간이 적당히 남았는데도, 과도하게 불안해 함.
- 합리적인 생각 : 5지문 남았는데, 32분 남았으면 적당한 것 아니니??
(5) 친구에게 많은 위로를 받으려고 함.
- 합리적인 생각 : 위로도 중요하지만, 현실은 본인 이겨내야 함. 불안하기에 친구를 찾는데, 근본적인 해결은 공부로 불안을 잠재워야 함.
(6) 과거의 잘못했던 일, 화가 난 일이 생각나서 공부에 방해가 됨.
- 합리적인 생각 : 그런 생각이 나는 것이 공부의 몰입이 안 된 것임. 그리고 그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다른 생각이 나서 괴롭힐 것임. 인간은 어차피 불안한 존재라 인정해야 함. 다른 사람들도 다 잘못 저지르고 살아감. 나만 그런 것이 아님.
2. 성격이 급한 학생
(1) 질보다는 양을 중시해서 틀리면 정답을 보고 그냥 넘어감
- 합리적인 생각 : 틀린 이유를 찾아내어야 다음에 틀리지 않음
(2) 모르는 문제도 억지로 답을 하고 넘어 감(그래야 불안하지 않음)
- 합리적인 생각 : 모르는 문제는 모르니까 넘어가야 함
(3) 평상시 공부할 때 잘 몰라도 맞히면 넘어가는 경향이 있음
- 합리적인 생각 : 시간이 걸려도 모르는 것은 알아야 됨.
(4) 3번 문제 풀면서 빨리 30번 문제 풀겠다는 생각을 함
- 합리적인 생각 : 3번 문제 풀면 3번이 중요하고, 3번 문제 풀고 난 다음에는 4번 문제 풀어야 함.
3. 자아 존중감이 강한 학생
(1) 글의 내용을 몰라도 빨리 읽음
- 합리적인 생각 : 글의 내용을 모르면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함.
(2) 자신 생각한 답의 근거가 무조건 옳다고 우김(생각보다 소심한 학생들이 많음)
- 합리적인 생각 : 대다수가 왜 답이라고 하는지 한번 생각해 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틀렸다고 인정하는 것이 발전의 지름길
(3) 모두 까기 : 강사들의 가르침보다 자신의 생각이 더 옳음.
- 합리적인 생각 : 강사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경험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배워야 할 것이 있지 않겠니?
4. 동작이 느린 학생
(1) 공부를 거창하게 하려고 함 : 모든 준비가 세팅이 되어야 공부할 수 있음. 자신이 마음에 드는 샤프, 문제집, 자리 등
- 합리적인 생각 : 자신에게 마음에 드는 상황이 일 년에 며칠이나 있을까? 눈 앞에 주어진 것을 열심히 하는 것이 더 합리적
(2) 계획만 세우다가 끝남.
- 합리적인 생각 : 계획 세울 시간에 그냥 아무 거라도 우선 해라
(2)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룸
- 합리적인 생각 : 하루에 기본적인 공부를 하지 않는 것은 하루에 기본적인 영양 성분을 섭취하지 않은 것과 같음
5. 자신 능력을 과대 포장하는 학생
(1) 평소에는 잘 못하는데, 시험만 못 본다고 생각하는 학생 ,
- 합리적인 생각 : 시험을 못 보는 것은 평소에도 부족한 것임
(2) 시험을 잘 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핑계가 많음.
- 합리적인 생각 : 핑계를 대기보다, 현재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
(3) 공부에서 섬세함이 부족함.
- 합리적인 생각 ; 섬세하게 공부하면 과대 포장 안 해도 돼~~
(4) 1등급 한 번 나오고 3등급 3번 나와도 자신은 원래 1등급이라고 생각함.
- 합리적인 생각 : 확률은 3등급의 확률이 더 높아~~
※ 학생을 비판하려고 하는 목적이 절대 아님. 왜냐하면 위의 경우에 저도 많이 포함돼요.
자신을 타자화해서, 현재 자신의 문제점을 바라보는 것이 좋을 듯해서 한번 정리해 봤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해가 안 간다고
-
지금 나가면 위험하다.
-
맞다 수학에 All in
-
이 노래를 들으며 담배를 펴보아요
-
자라 인마 0
뭔 새르비여 어제 4시에 자고 독재에서 지옥을 맛보고옴
-
시발정상인가
-
몸에서 닭냄새남 이러다 날개도 생길 듯 우야노 우야노 우야농
-
매독 공부중 4
방금까지 쯔쯔가무시 했음 공부한들 뭐가 달라지나 싶기도
-
제발 내년은 7
수학이랑 딸이랑 겜만 할 수 잇는 나로 만들어다오 그러려면 올해를 잘 보내야겟지
-
끝 6
그만하께여
-
언제부터 재수 삼수를 쾌적하게 트라이하는걸 제도가 보장해주는게 당연했음? 하고...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25
해 뜨고 봐요!
-
나 어디살지 9
속초?안산? 수원? 당진? 어디 사는거지;;
-
-
인증하려면 옯만추해야함
-
안미안해
-
사진도 없고 얼굴도 없는데에
-
가보실까?! 8
자살하러. 왜 잘생겼지 흠..
-
공벡을 공간도형 2
좌표를 잡기
-
1교시는 수면이고, 음 2교시는 수면 7교시까지 다 같네
-
으음 내일 시험이니 이보다 좋은 글이 있을까 음음
-
어제도 5시반에 잤단 말이에요
-
여러모로
-
구채적으로 뭐가 다른가여?
-
고3 3모 국어 1
아니 나만 그런건가 모의고사 그냥 A4용지에 뽑아서 풀다가 모고 종이 실제로 받아서...
-
다 모르겠고 일정짜는 거 처음인데 지켜질려나 모르겠음 7
그냥 갑자기 생각난 곳 갈 것 같음..
-
그건바로 나
-
누구는 금머갈 딸깍으로 서울대 가고 누구는 머리가 나빠서 아무리 해도 인서울조차 못하는건 공정한건가
-
함부로 생각하면 안 되긴 함 딱 하나의 사건만으로도 사람 자체가 급변할 수 잇는건데...
-
공부 진도가 넘 안나가서 6모전까지 계획세운거 다 끝내야하는데 으.. ㅜㅜ
-
메인글 가겠네 5
댓글로 싸움 나려나..
-
전 그냥 내 피해의식일거야 하고 참고 넘겼던 일이 사실 진짜 피해본게 맞다는 걸...
-
이미 시작한거같긴한데 qedn 몇주차부터 시작했나요
-
바운스볼 사이터스 디모 오버워치(출시때부터 20년도쯤까지...옵2 나오면서 접음)...
-
눈부신~ 0
햇살이~
-
무식해서 그런가 4
피해의식이 없음 이 임티가 적절
-
남이 날 무시한다=>좆까 씨발 내가 너보다 잘살거야 이 사고 순서가 습관화되다보니...
-
읽으며 자연스레 재진술 함의추론 ㄱㄴ
-
붉은바다거부기는 4
남적도해류를 타고다닌다
-
이미햇는데 다시가야하나요
-
미루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일 10일차랑 같이 함
-
오르비잘자요 6
저는 수행준비하다가 자렵니다
-
저 엄마한테 피해의식 있냐 소리 들어봄
-
경희대 정시 3
경희대 정시로 미디어과 가려면 몇등급 정도 받아야함??;;; ㅜㅜㅜ
-
농어촌의 존재 자체를 안 좋게 보는 분들이 계시는데 67
우리가 기본으로 깔고 가는 것들부터 접하지 못하는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일단...
-
무물보 19
안달리면 어쩔 수 없지 뭐
-
https://orbi.kr/00072754118/(수학)-이거-계산-깔끔하게-하는-...
-
옛날엔 이 시간에도 사람 많았는데
-
A부터 보면 조건에서 A최고점 높이가 수평면에서 9/16H 그럼 a시간은 최고점...
-
뭐지 0
주머니에 핸드포닝 잇는줄 알앗는데 주머니엔 아무것도 없엇음 사실 핸드폰은 저 멀리 잇엇음
1번 딱 나여서 소오름...
앞으로는 선지와 본문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 후 본인이 판단한 답으로!!!
2번 딱저... 그러면서 어려운건 맞고 쉬운거틀리는 전형적 점수까먹는 호9형 ㅠㅠㅠ
문제 풀 때 항상 객관적으로 생각해 봐요~~
잡념생각날때 확실히.. 다른사람도 나보다 더 심한일 겪어왔다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편하네요 나만 그런게 아니라고 생각하니까..
마음을 다스리는 것도 수험 생활에서 중요하죠~~~
헉..나열된 나쁜습관을 적당히 합치면 나네...
나도 마찬가지~~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니까... 오늘부터 함께 조금씩 바꿔나가죠~~
...1번때문에 국어에서 자폭 2번때문에 수학에서 한번더 폭발...ㄸㄹㄹ... 어머니께서 항상 저에게 수학풀때 실수줄이려면 손이랑 머리랑 속도 좀 제발 맞추라고 하세영... 고쳐야하는데 어떻게해야하는지 하아
조금씩 고쳐 나가면 또 다른 내가 되겠죠!!!
선생님 즉 정신병이 있거나, 비합리적인 멘탈리티를 유지하는 사람은 국어영역에서 인지능력을 최대한 적절하게 끌어내기 힘들다는 말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