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너엘레나] 100점은 환상에 불과하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123280
래너엘레나입니다.
오늘도 편히 가보겠습니다.
-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라는 것이 있다.
이는 배가 어떤 지점에 닻을 내리면
그 이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듯이
인간의 사고가 하나의 이미지로 박혀
어떤 판단도 그 영향을 받아 그 주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백화점이나 마트 같은 곳에서
할인 가격과 기존 가격을 같이 표시하여
할인이 얼마나 되었는지 알려주어
소비자 스스로 횡재했다는 기분을 주고,
적정 가격의 객관적인 판단을 하지 않게끔 만들어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대표적인 앵커링 효과의 사례다.
이와 비슷하게
대한민국 학생이라면 누구나
시험이란 것을 접하면서
시험의 최고점이
'100점'이라는 사실을
처음 마주하게 되는데,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해가 지나면 지날수록
'100점'이라는 점수는 머리 속에
강력한 관념적인 닻으로 남아
그것을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누구나
이 점수의 지배를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성적이 아직 부족한 학생은
100점을 기준으로 삼아
부족한 자신의 점수에 집중하여
'100점과의 격차'를 생각하며 우울해하고
성적이 100점이거나
그에 매우 가까운 학생은
'스스로 완벽하다'는 착각을 한다.
물론 이런 감정기복을 느끼는 것 자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보통의 인간이라면 그 감정기복이
이후 학생들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에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예컨대, 조금 부족한 성적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보통
말 그대로 100점이라는 점수와
현재 자기 점수의 초라함에 주목하며
'나는 어차피 안된다.'는 식의
부정적인 생각들을 쉽게 하여
공부의 의욕을 잃을 위험이 크고,
이와 반대로 100점을 받는 학생들은
보통 해당 시험의 난이도가 어땠는지에
객관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자신이 완벽하다고 생각하며,
쉽게 자만심에 휘둘리게 되고
이후 해야할 공부에 대해서
나태해지기 쉽다.
그렇다면 우린 어떻게
생각해야할까?
방법은 단순하다.
생각을 뒤집어보자.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100점이 아닌
자기 현재 점수에 적당히 앵커링 한다.
그 후, 명심해야할 것은
100점과의 격차가 아닌
자기 현재 점수에서 부터
'오를 수 있는 점수',
즉 가능성에 집중하며
'앞으로 나에겐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이만큼이나 남아있다.'
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적이 조금씩 오를때마다,
'100점 맞으려면 한참 남았네..
라는 생각보단
'저번 점수보다 이만큼이나 올랐네!'
라는 식으로 생각해버릇 하면 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생각과 성취감은
공부의욕을 잃지 않게끔 하는데
굉장히 강력한 동기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100점이 나오는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바로 120점 정도의 점수에
닻을 내리면 된다.
난이도가 충분히 어렵게 출제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매일 스스로 조금
더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자만심이나 나태함을 경솔하게
받아들여 공부를 놓을 겨를은 없을 것이다.
명심해라.
당신이 100점이라고해서
당신이 완벽하다는 뜻도 아니며,
당신이 100점이 아니라고 해서
당신이 불가능하다는 뜻도 아니다.
당신을 한계짓는 것은
100점이라는 숫자가 아니라
단지 당신 스스로가
만든 환상 뿐이다.
from. 래너엘레나
환상은 실패가 되고 위기는 기회가 된다.
- 이수진
좋아요는 매주 꾸준히 양질의
칼럼을 연재하게 만드는 큰 힘이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살 빼니깐 0
다이어트 하는거 비밀로했는데 여러군데에서 알아봐주고 칭찬 해줌 현재 16.5kg 감량 (92일차)
-
네 연대이상이라면 선택폭이 많아질 확률이 높음
-
ㅇㅇ 형은 22화2 46점이야 ㅋㅋ 허수가 맞음 깔아줄게
-
다들 기하사세요 4
가성비 goat과목 기하사세요
-
돌버지가 왜 사탐 영업했겠음 사탐이 꿀이 맞으니까 한거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다들 알았을까요??.. 아는 형이 13학번인데 그 당시 서울교대, 한의대, 성대...
-
영업당한애가 3등급만 나와도 표점손해볼텐데..
-
진정한 저능아는 5
뱃지 못따는 나임 ㅇㅇ
-
내 인생이요 시발 어떡하노
-
여기나보다저능아없을거같은데 비틱그만
-
조와하는 글 0
무문관 19칙 평상심시도 어느 날 조주가 남전에게 물었다. "도라는 것은...
-
이거 관리자한테 어케말해야됨ㅅㅂ
-
오르비가 아파요 10
콘도 안달리네요....
-
유입이 나보다 잘하면 그건 안좋은게 맞음 그리고 유입이 평균보다 못하면 그건 좋은게...
-
손톱 4
21살때까지 엄마가 짤라준사람? 손톱자르다 든 생각이다...
-
입시 실패하니까 낮은 지능땜에 더 스트레스 받는듯
-
배 아파 2
아.
-
2컷부턴 좀 빡세짐. 3컷은 불확실 표점 원과목이랑 비슷해짐 투필수 표본으로 돌아갈...
-
그런건 없음
-
미적vs확통 2
삼반수 생각중인데 미적계속할지 확통으로 바꿀지 고민입니다 24수능 미적 27~30다 틀렸습니다
-
저만 지방대임
-
ㄹㅇ
-
오르비 평균 6
미만 학벌,지능,키,외모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숭실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숭실대생, 숭실대...
-
오르비평균학벌 1
입니다
-
진짜 구라안치고 친구 10명있으면 6-7명이 스카이메디컬인데.... 이번에...
-
지금 몇시에요 0
ㅈㄱㄴ
-
투과목이 내년에 끝남
-
수학 말곤 국어 영어 쌍으로 ㅈ같네 시불시불하면서 풀었는데 역시 점수도 시불이네...
-
일단 ln(2이상의 자연수)는 모두 무리수임 챗지피티가 그렇대...
-
반수/유급하면 몇 명이나 나감뇨 중중중휘 보니까 51->43됐던디 너무 케바케인가
-
물론 성공한 사람도 있겠지만 반수면 이도저도 안되고 결과적으로 실패가 훨씬많음....
-
투과목 표본 제가 겪었던 투 필수시절보다 올라갈 걸로 보임 설의 설치 목표 자체도...
-
정석킥 0
작년에 김승리 듣던 중에 맛보기로 정석민 문학 찍먹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좋았어서...
-
코동욱 일클 3
독서만 듣는데 일주일에 한 주차 강의 듣는 날 정하고 나머지 날은 검더텅 기출이나...
-
현?역 건동홍떨 재?수 서울대
-
물리학과가서 전자과 복전 할려는데 다른 물리학도들도 복전 많이 하는 편이죠?
-
연하는 15
별로같다
-
안녕하세요. 아마 기억하는 분들이 거의 없겠지만 약 7~8년전 오르비북스를 통해...
-
그래도 돌아왔을때 아주 힘들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했습니다
-
경제사문 하다가 생윤사문으로 넘어왔는데 뭐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감이 안 잡히네요...
-
궁금한건데 저거 미분계수로 나타내면 8f’(0)이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근데 답은...
-
앙 ♡ 뱃 3
앙 ♡ 뱃을 달았다 ㄷㄷㅇ
-
왜 꾸역꾸역 결혼하는지 잘 이해안감 능력있거나 한쪽이라도 돈많으면 ㅇㅋ인데 진짜...
-
평가원 #~#
-
ㄹㅇ임뇨
-
오늘은 6수, 2026에 도전하게된 기념으로 내 이야기를 끄적거려보려함. 난...
-
에휴
-
이 싸움은 UFC임 의사 전체의 앞으로의 인생의 가치와 들여온 노력을 걸고 싸우는...
'좋아요'는 매주 칼럼을 쓰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미지 깨져보여염
아직도그런가요.?
시험의 최고점을 표준점수 200점으로 두고 하면 명분도 취하고 실리도 취하고
그렇습니다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_^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그런데...혹시 나중에 책 내실 의향이신건가요?
약간 서형일테크인것 같아서..
취미로 칼럼쓰고 멘토링하는 사람일 뿐인디요
초라함과 나태함.
저란 인간 쿡쿡 찔리네요.
공부 자극 받고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넵 더 좋은 글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ㅎㅎ
진짜 공감합니다ㅠ 모평 등급 잘 받았다고 나태해지면 끝이에요...
조심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