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칠] 함수의 극대·극소와 미분계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006433
안녕하세요~ 박수칠입니다 ^^
지난 번에 올렸던 ’극대·극소의 새로운 정의 이해하기’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1, 2월에 올린 칼럼 가운데 가장 최근 것임에도 불구하고
조회수와 좋아요가 가장 많이 나왔어요.
(오르비 페북에 링크됐던데 그 덕분일 수도 있겠네요.)
그런데…
칼럼을 읽은 분들의 반응을 보니
살짝 우려되는 부분이 생겼습니다.
칼럼을 쓴 의도는 ‘극대·극소의 새로운 정의를
다양한 함수에 적용해서 깊이 있게 이해해보자’였는데
생각과 다르게 새로운 정의가 어렵다는 반응이 많네요.
이것은 극대·극소의 새로운 정의(이하 확장 정의)가
다양한 함수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생긴 착시라 봅니다.
미적분1, 2 교과서나 수능/모평 기출을 보면
극대·극소 문제는 연속이면서 함숫값이 일정한 구간이 없는
함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로 한정해서 확장 정의를 적용하면
주변보다 높은 봉우리는 극대점, 주변보다 낮은 골짜기는 극소점
이라는 해석이 가능하지요.
알고 보면 쉽습니다 ^^
극대·극소 확장 정의는
다양한 함수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 외에
또 하나의 장점이 있습니다.
바로 함수의 극대·극소와 미분계수 사이의 관계를
수식적으로 쉽게 연결시켜준다는 점이죠.
바로 확인 들어가야죠? ^^
미분가능한 함수 y=f(x)가
x=a에서 극대라고 가정합시다.
그럼 극대·극소의 확장 정의에 의해
어떤 열린 구간 I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a) ≥ f(x)가 성립합니다. (단, a ∈ I)
따라서 f(x)-f(a) ≤ 0가 되고,
x=a에서의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는
다음을 만족합니다.
(∵x→a-일 때 x-a < 0, x→a+일 때 x-a >0)
함수 y=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a)가 존재하고,
위 부등식으로부터 f’(a)=0임을 알 수 있습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y=f(x)가 x=a에서 극대일 때
f’(a)=0이라는 사실이 쉽게 증명되죠?
미분가능한 함수 y=f(x)가 x=a에서 극소일 때
f’(a)=0인 것도 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명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위 명제는 미분가능한 함수 y=f(x)가
함숫값이 일정한 구간을 가질 때도 적용됩니다.
함수 y=f(x)가 닫힌 구간 [c, d]에서 함숫값이 일정할 때
열린 구간 (c, d)에서는 극대인 동시에 극소,
x=c, d에서는 극대 또는 극소라는 사실 아시죠?
함수 y=f(x)가 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다면
닫힌 구간 [c, d]에서 f’(x)=0이기 때문에
위 명제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함수의 극대·극소와 미분계수의 관계에서
주의할 점이 두 가지 있는데…
첫 번째는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x=a에서 극대 또는 극소면 f’(a)=0이다’ 는 참이지만
그 역인 ’f’(a)=0이면 함수 f(x)는 x=a에서 극대 또는 극소다’는
거짓이라는 점입니다.
미분계수가 0이지만 극점이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두 번째는
함수의 극대·극소와 미분계수를 연결하다 보면
미분불가능한 점에서 극대·극소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착각하기 쉽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미분불가능하지만 극대 또는 극소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함수의 최대·최소는 극대·극소와 정의가 비슷합니다.
단지 ‘어떤 열린 구간 I’ 대신 ‘정의역’이 자리할 뿐이죠.
그리고
‘미분가능한 함수 y=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질 때 f’(a)=0이다’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극대·극소를 최대·최소로 바꾸면
롤의 정리에 대한 증명이 됩니다.
볼까요?
i) f(x)가 상수함수일 때
f’(x)=0이므로 c의 값은 열린 구간 (a, b)에 속하는 모든 실수입니다.
ii) f(x)가 상수함수가 아닐 때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므로
최대·최소 정리에 의해 이 구간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습니다.
① 함수 y=f(x)가 x=c (a < c < b)에서 최대일 때
최대·최소의 정의에 의해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부등식 f(a) ≥ f(x)가 성립합니다.
따라서 f(x)-f(a) ≤ 0가 되고,
x=c에서의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는
다음을 만족합니다.
(∵x→c-일 때 x-c < 0, x→c+일 때 x-c >0)
함수 y=f(x)가 x=c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c)가 존재하고,
위 부등식으로부터 f’(c)=0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② 함수 y=f(x)가 x=c에서 최소일 때
(같은 방법이므로 생략)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 ^^
[알림] 미적분1-다항함수의 미분법 부교재 업로드 되었습니다.
다음에 작업할 부교재는 미적분2-미분법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출 어느정도는 다 아는데 좀 다시 한번 싹 정리하고 싶어서.. 걍 무난하게 수분감 ㄱ?
-
혹시 수학 약해서 몇달동안 수학만 하신 분 계심? 20
한달반동안 거의 수학만 해도 되려나
-
크보 인기 많으니까 편승할라는 건지 모르겠는데 크보팬들 데려다가 조롱하고 자빠졌네...
-
“게이들은 카리나도 안좋을까”만 올리는건 성평등에 맞지않는것같아서 올립니다
-
[속보]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 8
대법원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재판부 배당 당일인...
-
노래 좋다
-
흠,, 3
군대튀하고 싶군
-
아으 힘들다 2
알파카메일이 되고싶구나..
-
오늘은 자기 질문할 것도 없는데 거기 시끄럽다고 그냥 안간데 난 뭐 같이...
-
근데 전체적으로 빡빡하네여 통합 교육 대두라 문법 문학 비문학 작문 계속 튀어나오니 풀면서 빡빡했음
-
걍 6모 전까지 딴 공부 안하고 거의 수학만하는거 어떰 2
수학이 진짜 제일 급한데 아 사문런해서 사문 개념만 좀 하고 이동시간엔 어차피 공부...
-
스타팅 블록 수2는 별로 배워가는 느낌이 없는데.. 11
8강까지 들었는데 지금까진 뉴런 하위호환 느낌임 수1을 들어봐야 되는 것인가
-
단원별 n제는 드릴 정도만 하고 걍 서킷 브릿지 지인선 이런것만 풀고싶음......
-
서울대 카이스트 학생들 그리고 포공 연공 고공에서는 최상위권 학생 뿐임
-
킬캠보다 어렵다는 최근 실모들보다 옛날 킬캠에서 더 많이 박살남 ㅋㅋㅋㅋㅌ
-
근데요 2
게이는 아닌데 차은우랑 사귈래 하면 사귈듯
-
흠 여기만 타겟팅하는데 뭐가 문제지
-
지들 듣던 강사의견이랑 다르면 또 댓글로 ㅈㄴ 야랄할게 눈에 선해서 이건 그냥 클로즈할까 생각된다
-
밖에 비온다 0
비 멈추면 날씨 좋아지겠지~ 택시 탔는데 계속 콧물 훌쩍훌쩍 거리니까 기사님이 왜...
-
잇올 퇴근 완 2
기분이좋군
-
생윤 윤사 재밌다고 철학과 오는 것이 맞는가 - 눈덩이의 중간고사 준비 서양근대철학 입문편 0
*이 글은 필자의 뇌피셜과 드립이 난무하는 글입니다. 설명을 위해서라면 교육 과정의...
-
스카 양도 0
해봄? 한 달 남았는데 친구한테 팔아야되나
-
아직 경우의 수 - 확률에서 헤매는중 .. 감 잡으려면 기출을 좀 풀어봐야하나
-
해병대 군수 1
여기 해병대에서 군수 해보신 분 계신가요? 물론 힘들걸 알고 있지만 궁금하네요
-
이 문제 처음 풀때 지수개념을 몰라서 못푼게 아니고 마지막에 조건해석을 걍 못했음...
-
뭐먹지 2
뭐먹지 뭐먹지 뭐먹지 뭐먹지 뭐먹지 뭐먹지
-
점메추 8
국밥빼고
-
주대 0
의식질양수
-
수특 개풀기싫다 3
사인값이 계속 1 넘어가길래 답지봤는데 문제오류네 이럴거면 그냥 연계 안했음 좋겠다
-
흐흐 6
다들 맛점하세요 ㅎㅎ 전 헬스장 흐흐
-
너무배고파서 6
감자 L 시켯다가 후회하다. 햄버거도 다 못먹음 감자 때문에 개배부르다 이제 가서 공부해야지
-
쌍사러 동사 세사 한바퀴는 다 돌았는데 둘 다 만점이 목표거든요 어떤분이...
-
ㅇㅇ?
-
비가오지말라해
-
야 너 4
화이팅해
-
3모 84 (미적 30번 틀 찍맞없음 ) 이었는데 미적은 올해 처음하는데요 저같은...
-
나 내가 못해서 행사 펑크낸거지 뭐 ㅠㅠ 누굴 탓하겠니 ㅠㅠ 허 ㅠㅠ 지방발령...
-
이것은 한국 우주항공청에서 2045년 화성탐사를 목표로 하는데요. 성공하길 빕니다.
-
へうん 2
♥︎
-
말로 생각하는 순간 이미 그 순간은 지나쳐버린것 그 순간, 그 생각 자체를 온전히 그대로 느껴야함
-
가게에서 혼밥 첨해봐 10
떨린다 휴게실에 사람 넘 많아서 롯데리아 머그러 왔는데 떨린다 너무 헙
-
어느 곳에도 마음을 두지 마라
-
비가 싫다 0
싫으면서도 언어의 정원같음
-
해적왕인거야
-
아 개좆됏네 3
내 인생 가장 못본시험인데
-
수학과외구합니다 2
수학과외구합니다!!!
함숫값이 일정한 구간이 있는 함수에서도 극대극소가 적용되나요? 왜죠?
구간내에서 해당 값보다 큰값만 없으면 극대이므로 상수함수는 모든값이 극대 모든값이 극소입니다.
지난 칼럼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orbi.kr/0007982857
칼럼 매번 잘 읽고갑니다!
늘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쵝오.
오늘은 일찍 오셨군요 ^^
감사합니다~
먼저 좋아요 누르고 읽으러 갑니다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글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학생한테 과외하면서 쉽게 가르친다고 극점은 도함수 부호가 바뀌는 지점이라고 설명하는데 이러면 곤란할까요...? 이런
못하는 학생 대상이에요
본문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교과서/수능으로 한정했을 때 극대, 극소 문제의 대상은
함숫값이 일정한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연속함수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극점)=(도함수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죠.
별 문제 없어 보입니다 ^^
아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박수칠때떠나라
박수 받으려면 아직 멀었다니까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