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활 이야기] 학습량에 대한 착각 (ver.2016)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005590
안녕하세요. 조선생입니다.
작년 3월에 같은 제목으로 칼럼을 하나 올렸었습니다.
올해도 비슷한 내용의 쪽지들이 많이 오네요.
사실 그런 것 같습니다.
학생들은 매년 바뀌지만, 그들의 고민은 놀라울만큼 똑같습니다.
묻힌 글을 끌어올린다는 게 조금 부끄럽습니다만,
때로는 고전(...구닥다리..?)이 빛을 발할 때가 있지요.
그냥 재업은 아니고, 일부 수정된 내용도 있으니 한번씩 읽고 지나가 주세요.
(이하 내용, 잔소리 주의, 아재 주의...)
-------------------------
최근 들어 쪽지로 많이 오는 질문이 있어서, 비슷한 내용의 답장을 계속 쓰다가
글로 한번 남겨봅니다. 뻔한 내용일 거에요.
그러나 이 시점에 한번쯤 꼭 짚어봐야 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요즘 재수 수험생활의 트렌드는 "독학재수"인 것 같습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굉장히 매력적인 방법입니다.
필요 없는 수업을 듣지 않아도 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 굉장한 장점이죠.
하지만, 독학재수를 하시는 수험생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학습량에 대한 착각"입니다.
주로 재수생 분들이 많이 겪는 문제점입니다.
고3때까지 학교에서, 쓸데없는 수업 - 선택하지 않은 사회탐구 내신수업 or 선생님이 수업을 너무 못해서 듣는 게 괴로웠던 시간 등 - 에 시간을 빼앗기다가
독학재수를 시작하게 되면, 자습시간이 많이 확보되어서 기분이 좋아집니다.
필요한 수업만 인강으로 들을 수 있고, 방해 없이 내가 필요한 공부를 할 수 있으니까요.
문제도 더 많이 풀고, 인강진도도 고3때보다 팍팍 나가고.. 공부를 많이 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과연. 정말 공부를 더 많이 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계획을 세우고, 공부량을 적어가면서 진행하시는 분들은, 실제로 공부를 더 많이 하셨을 겁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대다수의 학생들은, "착각"만 하고 있지는 않은지 다시 한번 체크해 보셔야 합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공부한다고 가정했을 때,
점심/저녁시간을 제외하고 확보할 수 있는 학습시간은 총 11시간입니다.
11시간이면 엄청난 양의 학습을 소화할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따져봐도 인강 11강 이상, 수학모의고사 약 7세트 등... 엄청나죠.
여러분들이 정말, 이에 상응하는 양의 공부를 하셨는지, 한번 꼭 체크해 보세요.
하루에 11시간 앉아있는다고 해서,
그리고 쓸데없는 수업에 시간을 빼앗기지 않는다고 해서,
고3때보다 여러분들이 더 많은 공부를 하고 있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쓸데없는 수업 듣던 시간보다, 더 많이 낭비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물론, 많은 공부량이, 성공적인 수험생활의 유일한 지표가 될 수는 없겠죠.
하지만, 범위가 정해져 있고, 객관식 문제가 대부분인 시험에서
공부량이 우선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고득점을 기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공부량 꼭 체크하세요. 수첩에 써 보는 것도 좋습니다.
수첩에 쓰는 양을 늘리기 위해서라도, 절대적인 학습량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 말고)을 확보하세요.
그리고, 강의를 듣는 것과 "공부를 하는 것"을 혼동하지 마셔야 합니다.
강의를 듣는 것은 공부하기 위한 "준비"과정입니다.
인터넷 강의를 "감상"하고 지나가면, 안 들은 사람과 똑같아요.
강의 들은 부분에 대해서 기본서를 다시 읽어서 정리하거나,
문제를 풀어서 복습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강의를 전혀 듣지 않은 사람과 다를 것이 없게 됩니다.
재수생 여러분들께 한가지 당부드리면서 마무리할까 합니다.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되셨기 때문에, 지금은 그렇게 힘들지 않으실 거에요.
그런데...
4월 되어서 꽃 피고, 날씨 좋아지고,
대학가서 한달동안 술먹느라 연락도 안 되던 친구녀석들에게서
연락도 가끔씩 오고... 이러면 정말 공부하기 싫으실 거에요.
재수학원에, 독서실에, 내 공부방에, 갇혀 있는 스스로의 모습이 너무 슬픈 날도 있을 겁니다.
그런데, 지금 그 슬픔에 빠져서 공부하지 않으면, 내년에도 또 슬퍼해야 할지 모릅니다.
여러분의 미래는 지금부터 여러분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과거도, 앞으로 여러분이 살아나갈 270 여일에 달려 있습니다.
지금의 고통을 아름다운 추억으로 되돌아보게 될 날을 상상하며.
마음 굳게 먹고 버티시기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심각한거냐 남친이 3중대 담배1등이라는데 하루에 30개비폇다가 요즘 좀 줄엇는데...
-
잘자라 15
좀자라
-
개 찝찝하겠네. 꼭 아이스크림을 비치하도록
-
무지 5
개같다
-
기분좋게 자러갑니다. 다들 안녕히 주무시길
-
집에서 하니까 생각이 많아지고 생각이 많아지니까 공부가 안되고 공부가 안되니까...
-
버스 안에서 는 2
웹툰인디
-
그니까 와서 사줘
-
재밌었다 18
다시 현생으로
-
자자 13
자자
-
누나버튼 3
띵띵띵띵띵
-
다르다고 1
보고있나
-
bxtre.kr/
-
밸런스 조절을 위해 오르비를 계속 하겟습니다
-
진짜 모름
-
인초상 탈릅 예상 반응 12
.
-
다 어디갓니
-
아오 물2평
-
사탐으로 가버렸 뉴비만 받음
-
집에서 집중이 하나도 안됨
-
헬스터디 2
근데 헬스터디 국어는 왜 어떻게 공부하는지 안알려주냐 짜치게
-
사탐런 ㄱㄱ? 42
ㄱㄱ?
-
bxtre.kr/
-
옯스타 1
1년전에 계정 잃어버림 흑흑
-
밝지는 않은듯
-
옯스타 맞팔해요 1
댓에 아이디 남겨주심 팔 하러 갈게용 *゜ (\ (\ c(⌒(_*´ㅅ`)_ 쪽지도 ㄱㄴ
-
이거 못풀면 진짜 ㅂㅅ이다랑 이건 못 풀어도 킹정이다로 무한 갈등 하는듯요
-
새벽에 이노래 들으면 ㄹㅇ중학생때로 돌아간 기분...
-
덕코는 어케얻고 어케주고 어케쓰는거임…? 뭔지 모르겠어요 현질해여하나
-
오오 비애! 너의 불사조 나의 눈물이여!
-
ㅇㅈ 14
휴우우
-
레전드썰 개많은데 풀면 고소먹을까봐 못 풀음
-
똥마려워 6
참아봄
-
많이 바뀌었더라 그리고 같은 동 살던 친구 있었는데 까먹고 살았었네 옛날 기억 많이 사라짐
-
물리 12
7모 47 9모 50 10모 47 하고 수능 3등급으로 박음 ㅋ.ㅋ 수능은 44
-
내신기간에 안쉬고 정시파이터 위한 특강 함. 심지어 내신휴강기강도 가장 쨟은 2주...
-
이과 관련 문서를 쓸 때 쓸데없이 멋들어지게 보이는 느낌을 줄 수 있음
-
고3 수학 쎈 2
이번 3모 51점 4등급 받았는데 쎈 c단계만 풀어도 되나요 4점위주로 다틀리는거 같은데
-
bxtre.kr/
-
가끔 눈이 안떠지는 게 너무나도 스트레스임
-
오늘도 오르비를 한번 더 알아갑니다
-
이미지? 궁금해요 넵
-
잘자요 8
-
쓸 글이 없네 3
ㅈ됐다
-
방법을 바꾸니까 정답률이 확 좋아졋는데 생각해보니까 이게 내가 원래 글을 ㅈㄴ...
-
효신이형 중간에 눈까뒤집고 흰자보여서 노래에 감상이 잘안되요 0
심상이 너무나도 잘보이는 청년
-
너무 안했나보다 오르비 33
거의다 모르겠네
-
사실 저번에 휴릅한다고 했을때 탈릅할려고 했긴 했음 8
근데 하기전에 갑자기 생각나서 찾아보니까 심찬우패스가 사라진다더라고 바로 취소하고...
-
자야겠다 1
현생탈출 ㅅㅅ
좋은글 감사해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음에 새기겠습니다
화이팅!!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지금 슬퍼하며 공부하지않으면 내년에도 슬픔이 반복될것.. 마음에 와닿네요
인강듣는걸 공부하는시간이라고 생각만 안해도 효율은 암청나게 올라갈듯해요
감사합니다
공부량어떤식으로체크하는게좋을까요?
문제단위도 좋고, 페이지단위도 좋습니다. 사실 여기서 핵심은 얼만큼 했는지를 기록하거나 트래킹하는 것 자체가 아니라, 실제 공부량보다 더 많이 했다고 착각하는 것을 방지하자는 것입니다.
수능보는날 이걸 몸소 깨달앗죠...완전 공감이에요
복습위주의공부와 인강에너무얽메이지 말라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목표가너무높다보니 질보다 양으로 승부를봐서 걱정입니다.. 모든과목에서 진도랑 양을우선시하네요
저 재작년에 하던짓 그대로하시네요 개망했습니다. 갠적으로 개망하는 지름길이라 봅니다. 인강그거 보조수단이예요 그거안듣는다고100점나올게 96점나오고 이런거없음 사고력시험이니까 본인생각하는양을 졸라게 기르세용
사고력을 어떻게 기르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세요?? 저도 지금 질보다 양에 집착하는 것 같아서 변화를 줘야겠다 생각하고있는데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모르겠어요ㅠ 어려운 문제를 풀면 되나요??
네, 인강을 들으셨다면, 그 진도에 해당하는 만큼 문제풀이 or 기본서 읽기 등이 뒤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인강 3개 수강 보다, 1개수강 + 문제풀이 + 기본서 가 더 좋은 공부라고 봅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좋은글에 잠시나마 힘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 2년간 독재했는데 순공부시간 체크하는게 제일어렵더라구요ㅠㅠ 책상앞에 앉아서 문제를 풀고 독해를하고 공부시간이 10시간 12시간 나와도(스톱워치) 막상 하루가 끝나고 침대에 누우면 내가 오늘 제대로 집중을 100퍼센트 했나 라는 반성이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