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갓 [587211] · MS 2015 · 쪽지

2016-02-10 18:10:08
조회수 553

이번네 이과수학 전향하려는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935011

이번 16수능은 문과를 쳤고
결과는 성적표와 같습니다

뜻하는바가 있어서 이과수능으로 전향하려는데
수학 기초를 제 문과수학 수준에서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혹시 이과수학으로 오는순간 문과 수학은
아무쓸모 없어지는건 아닌지요 ㅠㅠ?

간단하게라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과탐도.. 혹시 추천해주실수 있다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0 18:26 · MS 2016

    문과수학이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고 아예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개정전과 얼마나 달라졌는지 모르지만 제 경험을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겹치는 부분은 이렇게 심화되어 배웁니다- 가령적분을 배운다면 다항함수뿐 아니라 초월함수의 미적분도 다루게 됩니다. 그렇기에 낯설게 느껴질 수 있으나 기본 개념은 동일하기 때문에 두려움 없이 오픈마인드로 공부하시면 됩니더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0 18:30 · MS 2016

    기하와 벡터와 같은 부분은 아예 처음 배우실 텐데 겁먹지 마세요. 문과수학이지만 1등급을 맞으신 걸 보니 기본적인 소양이 있으십니다. 어차피 수능은 기본적인 논리적 사고력 있으면 풀 수 있게 내니까 ㅎ 계속 반복하는데 자신을 가지세요 어차피 사람 머리가 다 거기서 거깁니다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0 18:32 · MS 2016

    난이도가 어려워지는 건 문제를 정말 많이 풀어서 익숙해지는것밖에 답이 없습니다. 이 점 기억하시고 좌절하지 마세요. 어차피 나중에 가면 님두 다 풀 수 있게 될 꺼에요

  • 쑥갓 · 587211 · 16/02/10 18:39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쑥갓 · 587211 · 16/02/10 18:40 · MS 2015

    와 정말감사드립니다.. 자신감도 주시고 ㅜㅜ

    정말 죄송하지만
    과탐은 어느기준으로 골라야하는지도
    여쭤봐도 될까요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0 18:55 · MS 2016

    뜻이 어느 방향인지에 따라 정하시면 됩니다. 이번에 생2가 정말 어려웠는데 서울대 갈 사람들만 봐서 1등급이 48로 폭발했죠? 지2도 1컷이 50이였나 그랬구. 그래서 의대 가시려면 2 안하시는 걸 추천, 서울대면 2, 이런 식으로요. 제일 평범한 선택은 화1생1 또는 물1 생1 이런 식입니다

  • 쑥갓 · 587211 · 16/02/10 18:56 · MS 2015

    의대나 서울대는 목표가 아니니 일반적인 루트를 골라야겠네요.
    감사합니다

    계속 여쭤봐서 죄송합니다만 ㅜㅜ

    요번에 수학범위를보니까
    미적분2 수2 기벡 이렇더라구요
    근데 이번년도에 수능을치는
    98년생들의 교육과정부터 있는

    수1 미적분1 이런것들은 어떻게 학습해야하나요?
    그냥 이과수학인강같은거 들으면
    자동적으로 학습이되는 부분인가요?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0 18:58 · MS 2016

    그 외의 조언은 그냥 자신한테 맞는거 하시구 중간에 바꾸지 마세요. 그 다음 나머지는 다 운입니다. 어떤게 더 점수 따기 쉽다 어떤 과목이 난이도가 낮다 이런 거에 휘말리다가 매년 통수 맞습니다

  • KM2016 · 574451 · 16/02/10 18:29 · MS 2015

    다항>초월
    2차원>3차원

  • 뽀미 · 566876 · 16/02/10 18:34 · MS 2015

    ㅇㄱㄹㅇ

  • carahan · 473687 · 16/02/10 18:44 · MS 2013

    생략된 부분이 있는거 같네요
    초월을 잘하는 사람이 보면 다항>초월
    3차원을 잘하는 사람이 보면 2차원>3차원
    이건 초월이나 3차원을 잘하는 사람만 할수있는 말 아닌가요ㅋㅋ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0 19:07 · MS 2016

    First Order 님의 2016학년도 대수능 성적표

    구분 표점
    국어 A 134 100 1
    수학 B 124 96 1
    영어 136 100 1
    화학1 64 95 1
    생명과학2 65 99 1

    대대댓글버튼이 안보여서 여기다 이어서 적을게요 제가 추천하는 바는 인강 뿐만 아니라 걍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 총동원해서 공부하는 겁니다. 재수할 때 제 친구들 보면(저도 그랬고) 걍 인강 현강 자습으로 오답 사설 모의고사 기출 이런거 전부 다 했습니다.  이과 수학 특징이 이렇게 많은 것을 해야 그 후에 이해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면 개념 이해 자체가 관련 개념들의 익숙함을 요구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변화율의 개념을 몸에 익힌 후 다시 초반부터 공부하시면 보이는게 확 달라지실 거에요 제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정말 많이 막 하다가 중간 정리하면서 개념을 완벽히 이해했습니다. 기벡 처음 볼때는 이해를 잘 못했어요 ㅋㅋㅋㅋ
    지금 쓰기 편한 장소가 아니라 답이 정리돠어 있지 못한 점 양해해쥬세요

  • 쑥갓 · 587211 · 16/02/10 19:09 · MS 2015

    어이구 아닙니다아닙니다;
    이렇게 답변해주시는것만해도 너무 감지덕지한데요 ㅜㅜ 문과에서 이과로 전향하는게
    너무 미친짓같아서.. 아직도 갈팡질팡하고있는데

    조언해주셔서 정말감사드립니다..
    성적표진짜 대단하시네요
    저도 포기하지않고 열심히해보겠습니다

  • 설수리16확정ㅎ · 644642 · 16/02/12 01:09 · MS 2016

    참 공부량은 문과셨을때 공부한거 전부 수학 하나에 투자하실 각오가 있으셔야 해요 그만큼 시간부족도 느낄것이고 효율도 중요해지고 하실 꺼에요 그때 이 악물고 버티셔서 이과생 다 엿먹여주세여

  • 쑥갓 · 587211 · 16/02/12 04:25 · MS 2015

    네 단단히 각오는 하고 있습니다
    주위에 이과생친구가 좀 있어서
    간접적으로나마 수학양이 얼마나 방대한건지 느꼈거든요 ㅋㅋㅋ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uH71Ij2PlZmeF · 621919 · 16/02/10 19:51 · MS 2015

    처음부터 한다는 생각으로 기초부터 완벽하게 다지세요 실전 모의고사는 9월 부터 해도 안늦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