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문제 풀이 부탁드려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83995


ㄱ선지 부탁드려요ㅠㅠ
k로 놓고 짝수홀수 나눠서 갯수까지 구했는데
그다음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 후유증으로 인해 이제 뻘글을 써보겠습니닼ㅋㅋ 어짜피 팔로워도 없으니 괜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83995
ㄱ선지 부탁드려요ㅠㅠ
k로 놓고 짝수홀수 나눠서 갯수까지 구했는데
그다음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재수 후유증으로 인해 이제 뻘글을 써보겠습니닼ㅋㅋ 어짜피 팔로워도 없으니 괜춘~~
그렇게 푸시면 n이 짝수일때 1이 n/2개가 되고 n이 홀수일때 1이 (n+1)/2개가 되니까 이 두 값이 [n+1/2]와 같다는 것으로 푸는거 아닌가요?
근데 왜 두값이 그렇게되나요??
n=2m 일때 m<k<=2m 은 구하셨고 m=n/2을 대입하면 n/2<k<=n 이 되고 k는 자연수, n은 짝수여야 하므로 n/2개가 되죠.
n=2m-1일때 m-(1/2)<k<=2m-1이고 m=(n+1)/2을 대입하면 n/2<k<=n이 되고 k는 자연수, n은 홀수이므로 (n+1)/2<=k<=n까지의 범위를 만족하는 k의 개수인 (n+1)/2 가 됩니다.
모바일로 쓰니까 힘드네 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근데 왜 결과적으로 n의 갯수가 [n+1/2]과 같나요?
1의 개수 말하시는거죠? 숫자의 총 개수는 끝수-처음수+1 이죠. n이 짝수일때 1의 개수는 n-{(n/2)+1}+1=n/2이죠 이때 n이 짝수일때 [n+1/2]=n/2입니다. n이 홀수일때도 이런식으로 하면 나올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