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란도란 [589037] · MS 2015 · 쪽지

2016-01-31 23:50:58
조회수 177

초간단 영어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36743

the tree will grow ________ like the others in the forest.

빈칸에 wide 인가요 widely인가요? 이유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란도란 · 589037 · 16/01/31 23:51 · MS 2015

    둘다되는거같아여 ㅠㅠㅠㅠ

  • Ibro · 635579 · 16/01/31 23:52 · MS 2015

    widely?  아닌감?

  • Eklipse. · 628679 · 16/01/31 23:55 · MS 2015

    wide 가 더 자연스러워보이는데..

    주격보어로 wide를 취하는 문장같거든요

  • 뜅뜅이 · 531839 · 16/01/31 23:56 · MS 2014

    wide가 맞습니다. widely는 부사인데 뜻이'넓게'가 아니애여. 그리고 저런 식으로 grow가 쓰였을 때 grow는 linking verb가 되고 이것 뒤에는 보어가 나와야 합니다.

  • Eklipse. · 628679 · 16/02/01 00:00 · MS 2015

    영존잘이신가봐요..

  • 도란도란 · 589037 · 16/02/01 00:06 · MS 2015

    grow 뒤에 형용사(보어)가 필수적으로 와야한다는걸 모르면 못맞추는건가요? 저는 widely라고생각했어요. 빈칸에해당되는 단어가없어도 문제없이읽히니까.. 근데 답은 wide더라고요.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수 있으시다면 부탁드립니다.

  • 폴드 · 622527 · 16/02/01 00:23 · MS 2015

    제가 저분은 아니지만 이건 배운거라 적어봐요

    예를 들어 He looks happily이거 틀리다고 배우잖아요. 같은거에요.
    여기서 look이 연결동사라고 해서 be동사로 전환이 가능한 부류거든요.
    일반동사로 보다의 뜻이 아닌거죠.

    연결동사의 예로는 be, remain, keep, stay (-이다), 감각동사, become, get, come, go, grow, turn, make (-하게 되다) 등이 있어요.

    grow는 become과 같이 ~하게 되다로 읽히는 연결동사고 따라서 보어가 필요합니다.

    덧붙여 연결동사는 수동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그녀가 행복하게 보인다'고 한국어로 읽혀도 수동태가 아닌거죠,

  • 폴드 · 622527 · 16/02/01 00:29 · MS 2015

    참고로 사전 찾아봤는데 grow + 부사꼴도 가능해요. widely의 뜻 문제인거 같고 좀 무리해서 문제를 낸 느낌이;;

  • 도란도란 · 589037 · 16/02/01 00:45 · MS 2015

    텝스 문젠데 ㅜㅜ 아무튼 감사합니당 ㅎㅎ 잘읽었습니다

  • 폴드 · 622527 · 16/02/01 00:47 · MS 2015

    아.. 텝스 수능은 아닐거 같았어요 ㅋㅋ
    텝스가 원래 문법적 지식도 많이 요구하는걸로 아는데 그래서 그런가 보네요 ㄷㄷ (텝스 공부한 적이 없어서 ㅋ)

  • 뜅뜅이 · 531839 · 16/02/01 01:09 · MS 2014

    위에 분이 잘 설명해주셨구요 쉽게 설명하면 tree가 wide되는것이지, grow가 widely되는 게 아닙니다.(예를 들면 The tree grew (rapid/rapidly).에서는 tree가 rapid한 게 아니고 grew가 rapidly한 것이 맞기에 rapidly가 맞습니다.) 따라서 주어에 있는 명사를 설명하는 말이 나와야 하기에 형용사가 필요합니다.

  • 도란도란 · 589037 · 16/02/01 01:28 · MS 2015

    아 그렇네요 !!

  • 폴드 · 622527 · 16/02/01 02:28 · MS 2015

    말씀 정리해보면 이런거네요. widely를 '넓게'라는 뜻으로 알았다치면

    '나무가 넓게 자란다'에서 나무에 해당하는 주격보어를 찾아야 하는가, 아니면 자란다를 수식해주는 부사로 보고 찾아야하는가의 문제였고

    '넓게 자란다'만 놓고 보면 넓게가 자란다를 수식한다고 볼 수도 있는데

    여기서 '자라다'가 어떻게 된다의 뜻으로 가니까 주어와 넓게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보어가 오는게 맞는 상황이네요.

    하지만 위에 예처럼 '빠르게 자란다'라고 어떻게 된다의 뜻으로 가는 '자라다'가 아니니까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가 와야하는 것이고요.

    결국 '자라다'라는 표현이 한국어로나 영어로나 주체와 상태를 연결해주는 기능(자라서 -된다)도 할 수 있음을 파악하는게 포인트이고 (구분하는 방법은 be로 바꿔도 말이 되느냐 안 되느냐 한국어로도 동일하죠)

    현실적으로 사전에 공부를 안하면 시험이라는 상황에서는 거기까지 생각에 도달하기는 힘들 것 같군요.

    무리라고 말했었는데 잘 생각해보니 무리가 아니라 언어적으로 수준이 좀 높은 문제인거 같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