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고자 구원좀 해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28702
이번에 1교시 국어 영역 탈탈 털리고 재수하는 이과생입니다.
국어는 늘 점수가 들쑥날쑥해서 모의고사는 1등급 후반에서 2등급 후반까지 왔다갔다 하는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시간내에 제대로 풀지도 못하고 감으로 때려맞춰서 겨우 받은게 태반입니다. 그래서 점수가 잘나와도 내 실력이 아닌것 같아서 불안하고 그랬습니다. 또 수능 전에 학원에서 파이널이라면서 본 상x모의고사를 10회 걸쳐서 봤는데 그것 마져도 점수 변동이 매우 심하더군요ㅜ (80점에서 97점사이에서 심하게 요동)
그리고 대망의 수능날 현대소설과 극문학이 잘 알고 있었던 작품이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전소설을 끝까지 채 못읽은채 시간에 쫓기며 헐떡거리면서 푼게 인생첨으로 4등급을 받았습니다ㅜㅜㅜㅜ
국어를 도대체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글 읽어보면 기출 분석해라 뭐해라 말은 많은데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며 시간단축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재수 1년동안 어떻게 하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되도록이면 구체적으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이큐 테스트 3
초딩때보다 2 떨어짐
-
음
-
뭔가 요즘 좀 헐렁한 반바지에 검은색 레깅스 입은 패션좀보이는데 ㄹㅇ 도대체 이해가...
-
선착1인 여기에 검사결과 이미지 댓글로 ㄱㄱ
-
블랙라벨 같은거
-
ㅈㄱㄴ
-
수1수2를 동시에?? 이거완전럭키빗치잖아
-
이제 개념 한 바퀴정도 돌린거 같은데 내가 지금 어디에 비어있는지 한 번 보고싶은데...
-
의지가 바닥나서 강제성이 있어야 그나마 공부가 좀 되던데 잇올에 고등학생도 많이...
-
아이큐를 발현시킬 수 없다면 그냥 숫자에 불과한듯. 내가 그렇게 똑똑했다면 수능도...
-
머리는 지끈지끈
-
선배가 말아주는 .
-
듣기풀면서 43 44 45 18 19 20 일치불일치 +어법 되면 풀고 21 22...
-
아이큐 테스트 3
링크 줄 사람 방금 와서 못찾겟어요
-
님들도 경제단 합류
-
타고난거 감안해서 메타인지 발휘하여 사탐하자
-
그게나야
-
80정도 일듯
-
수악2 왜 이리 어려움 11
빨리 어느정도 완성하고 미적하려는데 수2가 계속 안 되니까 미치게슴
-
으하하
-
덕코주세요 6
네..
-
1. 단어 40개 암기 2. 기출 하나 풀기 3. 오답 끝 단어 암기법)...
-
수능.. 특히 과탐 못하는데 기여한 능지
-
흠
-
옹..ㅜ 3
-
인강 듣기 0
뭔가 인강으로 공부하는걸 이제 깨달은거 같은데 어쩌지,, 뭔가 제대로 인강을 활용할...
-
4시반부터 3
공부해야지
-
나름 고점 높다고 생각했는데 120/120s인 사람보고 지능의 한계를 느낌
-
풀면서도 내가 이걸 어캐 풀엇지 싶음 머리 한쪽에선 풀고 한쪽에선 멍때리고 잇음...
-
아이큐 테스토 10
-
질문받아주시는분있나요?
-
그때가 138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떨어졋으려나.. 그때는 주변에 140대잌...
-
혹시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
개념 + 유형별 기출문제집 회독을 해서 문제들이 어느정도 눈에 익었습니다.이미 제가...
-
꼭 뉴런 들을 필요 없나요??
-
마지막.. 비싸요
-
문디컬어떤가여 0
사실 메디컬 공대 그냥 이과계열을 가고싶어요 작수 언매 미적 생 지 2 3 2 2...
-
웩슬러 안해봣지만 16
처리속도는 개망할듯 암산테스트 32의 사나이임
-
국어 현강 ebs 자료 이런거때문ㄴ에 김승리 현강 다닐까 했는데 인강이랑 큰 차이...
-
다들 똑똑하네 26
나만 또 지능도 외모도 여기 평균도 안되지
-
ㄹㅇ임뇨
-
이번에 안암 올라가요 ㅠ
-
수능공부를 딱 저거한 만큼 열심히햇단뜻 아닐까요
-
수시 동국대 0
경영학과 목표인데 동국대식 1.4에 생기부 평타면 많이 어렵겠죠? 전부 다 경영으로...
-
오늘도선방 1
ㅈㄱㄴ
-
ㅂㅂ 6시 전까지 들어오면 나 게이임 ㅇㅇ
-
ㅈㄱㄴ
-
난 1나옴 11
하
위에 단 답글인데 비슷해서 복붙합니다.
국어 공부는 텍스트의 독해, 적용을 통한 문제풀이 두 바퀴가 같이 유연하게 작동해야해요. 수능국어는 출제자가 요구하는 의도파악이 최우선시되어야합니다. 그 방면에서 4등급이라는건 그 의도파악의 부재에 더해 텍스트 이해력도 조금 떨어진다고 할 수 있겠네요.
우선 "글"하고 친해져야합니다. 글에 친숙해지면 무엇을 말하고자하는지 대충 구조파악이 됩니다. 여기서 확실하겐 구조를 문단별로 정리하는 훈련을 동반하곤 하는데 저는 안했습니다.
구조를 대충 파악하다보면 전체가 눈에 들어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이 튕기는 이유는 문장단위 이해력의 부족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글을 꼼꼼히 읽어보세요. 가령 "글쓰기의 본질은 감정적인 부분에서만 존재하는 진실을 언어를 사용해 세상에 발현하게끔 형태를 착용시키는 작업이다."(출처는 제 글) 라는 문장이 튕긴다면 천천히 곱씹는 훈련을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그럼 이제 슬슬 등급이 어느정도 나올겁니다. 우선 텍스트하고 친해졌거든요. 그런 후엔 문제푸는 테크닉을 늘릴 차례입니다. 평가원코드, 라고 저는 명명하는데 출제자의 의도 파악입니다. 기출문제를 수없이 분석하면 알겠지만 묻는 패턴은 한정되어있습니다. 그 한정된 패턴을 통해서 지문에서 읽어나가는 예측독해 역시 가능합니다. 국어 잘하는 애들은 괜히 잘하는게 아닙니다. ㅈ문을 읽어 내려가면서 아 이부분은 세부내용파악이 나오겠구나, 아 이부분은 이런 내용이 나오겠지 이럽니다. 읽기의 요령같은거죠.
국어는 얇고 길게 가야합니다. 꾸준히가 정말 핵심적으로 중요해요. 그러다보면 팡 뜁니다. 뭐가 뛰냐면 망하는 정도의 점수가 올라와요. 국어는 최고점을 찍기위한 노력보단 최저점을 끌어올리는 과목으로 공부해야 더 효율적이었습니다. 직간접적인 경험상으로요.
흐에에에 그럼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뭐 비문학 지문을 매일 5개씩 구조분석을 한다던지 그런거요
ㅇㅇ풀고잇는 기출문제를 그렇게 하도록 해야죠. 역으로 생각하시면 더 편해요. "내가 글쓴이라면?"~>그럼 무엇을 얘기하고 싶은거지?(주제) ~>그럼 어떻게 글을 써야하지? 이런 순서요
흠.. 알겠습니다 감사해요ㅜ 한번 알려주신대로 해보죠ㅎ
문제를 많이 풀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하게 풀어보는 경험을 쌓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정확하게 풀어보는 연습의 경험이 부족하다면 제기 며칠 전부터 올리고 있는 '의문을 남기지 않는 수능 해설'을 꾸준히 일독하시기를 권합니다. 1문제를 근 1주일에 걸쳐 설영할 예정이므로 우선은 가벼운 마음으로 시간 소일거리 삼아 읽어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