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hgznNo0GYE8c [629974] · MS 2015 · 쪽지

2016-01-28 00:36:29
조회수 4,187

비문학 과학이랑 기술지문 쏟아지는 정보량 감당하기 힘든데 공부법좀알려주세요(꾸벅)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788684

첫번째 문제점은 모르는 어휘가 너무 많이 나옵니다
두번째 문제점은 정보량 감당하기가 힘듭니다 즉 멘붕 ㅋ

국어선생님께서는 정보량은 양을 늘리면 해결된다고 하시는데 정말인가요????

그리고 첫번째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잘하시는분들 제발 도움좀 ㅠㅠㅠㅠ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휴양 · 560019 · 16/01/28 00:38 · MS 2015

    저는 차라리 도식화시켜요

  • PKhgznNo0GYE8c · 629974 · 16/01/28 00:40 · MS 2015

    수능장에서도 도식화시키는 거에요? 아님 충분히 연습하고 수능장에선 안그리고푸는거에요??

  • 휴양 · 560019 · 16/01/28 00:45 · MS 2015

    독해력을 기르면 실제로 쓰는 양은 줄어들겠죠. 저같은 경우는 수능장에서 웬만한건 안쓰고 잘 안 와닿는 부분만 도식화시켰습니다.

  • PKhgznNo0GYE8c · 629974 · 16/01/28 08:29 · MS 2015

    고맙습니다 알려주신대로 해보고 수능국어잘보면 인증할게요!ㅎㅎ

  • 부삽 · 471209 · 16/01/28 00:39 · MS 2013

    과학과 기술지문의 어휘는 그 자체의 의미보단 맥락에서의 어떤 의미를 가지냐에 더 무게를 두어야합니다. 그게 출제자의 의도구요. 가령 특수상대성 이론이 나왔다면 특수상대성이 무엇인지, 무슨 역할을 하는지 맥락을 통해 파악하는 능력을 수능 국어에선 요구합니다.

    정보량은 "개인적인" 생각엔 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다보면 늘지 않을까 사려됩니다

  • PKhgznNo0GYE8c · 629974 · 16/01/28 09:37 · MS 2015

    고맙습니다 ㅠㅠㅠㅍ

  • 퓨에르 · 409028 · 16/01/28 00:39 · MS 2012

    문제점을 아시면 스스로 해결해나가셔야죠. 영단어를 공부하듯이, 앞으로 접하시는 많은 문장들에서 의미가 떠오르지 않는것들은 단어노트를 만드셔서 해결해나가시길 바랍니다.
    대부분 국어를 고민하는 친구들의 '국어를 공부하면서 간과하는 부분'이 었던 것 같습니다.
    어휘를 몰라, 해석이 제대로 안되니 정보량을 감당하기가 힘든.... ㅠㅠ

  • PKhgznNo0GYE8c · 629974 · 16/01/28 08:28 · MS 2015

    고맙습니다 알려주신대로 해보고 수능국어잘보면 인증할게요!ㅎㅎ

  • 랍비 · 274191 · 16/01/28 09:55 · MS 2009

    과학지문은 당연히 생소합니다. 어휘 공부해도 새로운 어휘가 등장할 가능성은 백프로입니다.

    이런 질문이 있으면 항상 대체 어떤 지문의 어휘가 그렇게 어려웠고 어떤 지문의 정보량이 그렇게 많았느냐 라고 물어보는데

    사실 어휘가 난리나게 어려운, 정보량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많은 지문은 또 없습니다.

    약간 막연한 이미지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제가 무료로 올린 17강 과학지문 해설 보시거나 칼럼으로 올린 자료 읽어보세요. 도움 되실 겁니다

  • 가장높은힘 · 583082 · 16/01/28 11:57 · MS 2015

    지문을 읽는데 시간을 많이 투자하세요. 과학지문은 2문제지만 전 9분동안 풀었네요.
    한 문장 한문장을 꼼꼼히 읽으면 원리가 외워집니다.ㄷㄷ

  • PKhgznNo0GYE8c · 629974 · 16/01/28 17:02 · MS 2015

    수능날 9분동안 풀어서 맞추셨다는 말씀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