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등급 최상위 1등급가자] 수능 수학 기출 어떻게 공부해야할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739107
안녕하세요. 마타수학입니다.
이번에는 기출문제를 공부하는데 과연 어떻게 해야 좋은 문제를 잘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칼럼을 쓰고자합니다.
그동안 기출문제를 그저 풀기만 하셨던 학생분들이나 이 부분에 대해서 궁금하셨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것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칼럼에 참고하겠습니다. 그리고 도움되셨다면 댓글과 추천!! ^^
1.수능 수학 기출문제풀이는 5개년정도 vs 전부 어느 것이 좋을까요?
일단 문과부터 말해보자면 문과는 5개년정도 풀어보는 것으로도 충분히 수능에서 만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청 평가원 대수능 5개년치만 모아놔도 꽤 많은 양이 되고 그 많은 자료에 대해서 수능 기출에 대한 연습이 확실하게 된다면 수능에서 고득점 받기에 충분한 기출 분석량이 된다고 볼 수 있어요. 다만 5개년 치 수능을 다 씹어먹고도 시간이 남는다면 좀더 많은 양의 기출을 보는 것도 좋습니다.
다음은 이과인데요. 이과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것같습니다. 3등급이상과 4등급이하 정도로요.
3등급이상은 겨울방학부터 기출을 한다고하면 되도록 많은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기출공부를 하는게 좋습니다. 이과에서 그래프를 그리고 해석하는 문제의 경우 고난도가 많고 그런 기하적 문제들은 많은 연습이 필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풀어보는게 좋습니다.
4등급이하학생들의 경우 경험상 대부분 많은 양의 기출을 소화해내는데 힘이듭니다. 문제양이 많은 기출문제집의 경우 한단원 푸는데도 일주일이상걸리죠. 대충보면 금방하겠지만 정말 제대로 보면요. 그렇게 풀게되면 문제양이 적은 문제집(5개년)을 푸는 것보다 비효율적이됩니다. 일단 처음에는 각 단원에서 중요한 풀이개념들을 기출 5개년으로 연습하고 그 연습이 다끝나면 그 이전 수능기출까지 풀면서 실력을 더 길러나가는쪽으로 기출연습하는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2.단원별 기출을 먼저 시작하고 그 다음 모의고사로 마무리
처음 기출을 시작할 때는 단원별로 공부하면서 학습된 내용을 확인하는 문제로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부담감도 없고, 자신의 실력적인 부분이 연습이 된다는 것을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수능에 나올 수 있는 유형과 풀이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연습할수 있는 기회니깐요.
단원별로 수능 기출을 5개년정도 모아놓은 기출문제집들은 시중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을꺼에요. 거기서 찾아서 단원별로 지금 배우는 단원의 개념들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연습을 기출로 해보세요. 군더더기가 없고 좋은 품질의 문제로 연습하는 것이니 생각하는 시간이 길수록 얻는것도 많을 거에요.
고득점의 학생들의 경우는 더 많은 문제양의 기출을 공부하는것이 더 좋구요.
그렇게 기출문제를 단원별로 학습하는 경우 개념의 활용방법이나 문항접근법에 대한 것은 연습이 많이 돼서 좋지만, 문제는 우리가 보는 것은 시험입니다.
시험은 그 시험에 맞게 실전 연습을 해야해요. 실력은 있고 따로 문제를 풀어보라고 하면 잘 풀어내는데 시험만 보면 성적이 안나오는 학생들은 반드시 모의고사형태로 실전연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모르는 문제가 나왔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넘길지 아니면 시간을 좀 더 투자할지. 그런 시험문제풀이에 대한 전반적인 시간 운영 능력도 시험에선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실전연습을 꼭 하셔야합니다. 풀이도 잘하는데 성적이 잘 안나오는 학생들은 대부분 모의고사형식으로 3분이내에 문제풀이를 생각해내는 연습과 전반적인 시간 운영 방법을 연습하면 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연습이 끝났으면 계속 실전과 수학적 실력 둘 다 연습을 잘 해야겠죠?
실전연습은 주2회 1번꼴로 모의고사를 풀어보면 좋습니다. 문제는 사설도 좋으니 굳이 평가원 수능이 다 봤는데 계속 반복해서 실전연습하지마세요. 나중에는 문제에 익숙해져 효과없습니다.
3.기출문제집은 어느 것이 좋을까요? 문제양이 많은 것 vs 문제양이 적당한 것
기출문제집은 크게 두 종류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문제양이 많은 종류의 경우 고득점인 학생들이 풀기에 좋습니다. 더 많은 문제들을 연습하여 나의 부족한 점들을 더 알아내고 그걸 바탕으로 피드백해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분명 힘들 것입니다. 문제양이 많은 만큼 전단원을 공부하게 되었을 때 그 문제양이 기존 5개년 문제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많으니깐요.
그러니 그것을 제대로 할 수 없다면 차라리 문제양이 적당한 것부터 완벽하게 소화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많은 것은 다 풀면 좋지만 다 하지 못하거나 애매하게 보게 되면 오히려 이도저도 아닌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고득점자인 경우는 대부분 소화 가능하지만 고득점자가 아닌 경우 실력을 올리려는 마음이 앞서서 많은 것을 풀어봐야지하고 풀어보면 오히려 흥미만 잃고 푼 문제들도 대충 풀이만 알게 되고 이후에 같은 유형이 출제되었을 때 못푸는 경우가 생기니 참고하여 자신실력에 맞는 문제양을 선택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제자러가야지 4
큰일남일곱시반에일어나야되는데 다망했어
-
뭐가 더 낫지 15
커피 vs 몬스터
-
맨전드 캬
-
여행이 땡긴다 2
미드나잇 인 파리 극장에서 봤는데 여행가고싶다
-
크하하하하
-
오야스미 4
네루!
-
방향이 잘못되면 성적이 안 나옴?
-
야식 ㅇㅈ 10
불닭큰컵+핫바
-
똑같이 푹 쉬었는데 왜 토트넘은 부상 복귀하고 우리는 멀쩡하던 4명이 사라져요???
-
제 전적대가 전문대라 학점이 거의 만점에 가까운데 괜찮은 학교에서 3후반~4점대...
-
버그겠지
-
언제 어디선가 꼭 되돌려 받을 수 있길 바랄게요 오르비언들 좋은 밤 되세요
-
저번에 시킨 지점은 고바순 조각을 작게 해줘서 소스 찍어서 한입에 먹기 좋았는데...
-
숏컷하면 이상하게보려나 11
머리감기 귀찮아서 졸업사진 찍고 숏컷하고 싶긴한데… 좀 이상하게 보려나요?
-
닉네임 뜻 15
노래제목에서 따왔어요
-
맛있으면 우는 고양이
-
ㅎㅎ
-
여친 생일 선물 .. 10
추천좀 해줘용ㅇ..ㅜㅜ
-
브라마굽타 3
브라마굽타
-
마지막 기회)파리비 레어 사시는 분 1만5000덕 드림 9
여기서 안 팔리면 걍 안고 삶
-
댓글 제일 먼저다는 사람의견에 따르겠소
-
ㅎ 아 트레블당하는건가?
-
2월도 절반이 지났군 10
-
연고대 서성한이 한성대, 삼육대처럼 약술형논술 시행으로 바꾼다면 어떻게 될까?
-
안녕하세요 올해 21살된 05년생 남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24수능을 친후 지잡대를...
-
인사해주세요 3
반가워요 선생님,, 오늘도 머리에 잡음으로 가득해서 잠이 안 오네요.,.
-
동아대 논술 0
왜 동아대 논술은 없니? 신한대, 강남대 약술형 논술 있잖아
-
진짜 독헉재수할때 너무 힘들고 외롭고 우울할때(특히...
-
우리나라에 없는 것 같아 삼 대학 가서 여기다 음료 담아서 강의실에서 마셔야지
-
맞팔구 6
-
홈팀의 무덤 맞죠? 원래는 원정팀의 무덤이었던거 같은데?ㅎㅎ
-
나도몰러
-
내일이 벌써 6평이네 11
살짝 떨리는거 같음
-
옛날이 그립군 4
차가운 현대사회의 개인주의와 혐오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나조차도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군......
-
챔스나갈수있는 4위에서 유로파권인 5위로 하락 ㅠㅠ
-
오르비에 오는 횟수가 줄고 있음 언젠가 진짜 그만 오는 날이 있을거같음…
-
흐흐
-
후란쓰로
-
시차적응 1
진짜 하루만에 되는 느낌
-
요맘때좋다 2
맛있어
-
이미지써주세요 24
아이고말고..
-
레전드로 누웠음 9
이궈궈던
-
가르나초야..? 10
엄...
-
이미지 써드림 47
정성 들여서. 선착 7명
-
그래도 대학 가기 전에 12
한능검이라도 따서 다행 인생 현타 씨게 올 뻔
-
뭔가 점점 이상해지고 있는 것 같아 나 자신이
-
진정한 팔로워라고 생각해 어떤 사람의 똥글마저도 좋아해줘야 그 사람을 좋아해주는거 아닐까
-
w플 그립읍니다..
-
차단함 24
너무기분나빠짐
추천 박고 갑니다~~~
고마워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