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대표적인 거품학과가 바로......ㅋ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648217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ㅋㅋ
여기가 시립대 간판이었던 이유는
여기 나오면 원래 세무직 공무원으로 특채가 되었기 때문.
하지만 그게 폐지됐는데 현재까지도 간판과로 알고 시립세무 가면 뭐 좋은게있는줄알고 그렇게 우수수험생들이 몰려가는거보면 좀 이상하더군요.
세무직공무원이 시립대를 나오지 않으면 되기가
어렵거나 뭐 그런 것도 아닌데
아직도 여기를 간판과라 생각하고 그 점수로 들어가는 사람들보면 좀 웃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거 대놓고 정시성적 보겠다는거잖아요 ㅡㅡ 내신 상관없이 정시등급만 보겠다는 소리를...
-
성대 글로벌리더 vs 서강대 커뮤니케이션 비교 부탁드려요!!!!! 14
가군에 서강대 커뮤니, 나군에 성대 글로벌리더 쓸 생각입니다! 그래서 혹시나......
-
댓글달아주세요~
헐? 진짜에요?? 몰랐었..
오히려 세무공무원은 고졸후 9급공무원 세무직으로 국영한국사 수학사회 선택해서 되는 것이 서울시립대 세무 정시로 가기보다 쉬울듯..
세무공무원 9급으로 들어가면 하위직 공무원이고 인사적체가 심해서 5급이상 고위공무원으로 올라가기 매우 힘듭니다.
최소한 7급으로 입사해야 맡는 업무도 9급보다 전문성있고 지방청, 국세청 본청등 요직으로 가서 커리어 관리 하기에도 좋습니다. 너무 늦은나이가 아니라면 5급이상 고위공무원으로 올라갈 확률도 높고요. 그리고 국세청 본청, 지방청 인사이동때도 위에서 끌어주는 인맥이 있는게 중요합니다.
참고로 13-14년 국가직 7급 세무직 합격자 약 10%가 서울시립대 출신입니다. 15년은 아직 최종 집계 안되었지만 15년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합격자가 나온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미 지방국세청장을 배출했고 세무서장, 국세청 서기관급, 조세심판원 사무관 등 선배님들이 요직에 두루 계시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네트워크도 탄탄합니다. 타학교 나온것 보다는 세무공무원 합격 이후에도 유리하다고 볼 수 있죠.
네 다음 시립대 세무 예비
뭔가 있는거 아니었나?
그래도 세무 도행은 설시 고위직에서 꽉 잡고 있어서, 일단 공시 붙고 시본청 진입만 하면 인맥 측면에서 도움 많이 되지 않나
삼일인가 시세무 to도 따로 있다고 본 것 같은데
도시행정학과 나와도 서울시 공무원을 된다는 보장이 없어요.ㅋㅋ
서울시 공무원은 9급이든 7급이든 난이도로 따지면 각 급의 끝판왕격인 시험입니다.
그리고 세무직 공무원은 전국단위이기 때문에 서울시립대 나왔다고 딱히 유리하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오히려 옛 세무대 출신이라면 몰라도요. 옛 세무대는 폐지될때까지 졸업생들을 그만큼 많이 배출했으니.
왤케다른대학 특정과를 까고다니세여 ㅋㅋㅋ
예전 특채만큼은 아니어도 뭐 있다고 들었는데.........?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7420
최 교수에 따르면 삼일회계법인에서 매년 10명 정도의 세무학과 출신 회계사를 따로 선발
아직 뭐가 있긴 한듯 ㅇ
세무학과는 시립대 말고도 수많은 대학에 있고요. 그래서 졸업만하면 공무원 보장이었던 국립세무대학도 폐지된겁니다.
입학정원(65명)의 절반가량이 회계사, 세무사 시험에 합격한다.
몇년간 7급 세무직 공무원 합격자를 단일학과로서는 최다 배출
최근 7급 세무직 공무원 합격자의 10%이상이 시립대출신
http://orbi.kr/0005331042
http://orbi.kr/0004881907
저는 이과생이고 시세무는 그냥 시립대 간판학과쯤으로 알고있고, 세무사 하겠다고 서성한라인 버리고 시세무 가는사람은 저도 그닥 본적이 없습니다만
그저 과거보다 대우가 나빠졌다 라면서 거품이라고 하는게 보기 좋지는 않네요
모든대학 화생공도 약간 거품 아닌가요ㅋㅋ
미트디트준비하러 가던 곳인데 그것도 폐지됐고
물화생공도 아니고 화생공이라 물리싫어하는 많은 수험생들이 고르는데 사실 물리공부가 90%
근데도 항상 매년 입결표 1등 차치중
그래도 취업률이 상당히 세지않나요?
요번에 다 빠졌죠
올해는 빵난거 아닐까요 설경처럼 ㅋㅋ
어 진짜요..?ㄸㄷ
앞에 뭐붙는 경영들.
허경영
ㅋㅋ 그분도 해당
그리고 상위권 대학들의 수학과도 약간 거품
서울대만 수학과가 높지 타대학은 그렇게 안높은데요?
연고대 수학과도 낮은가요? 잘모르고 말해서 죄송합니다
또또 근거없는 말 하고 다니시는 분 계시네요.
시세무까는 타대학생들 대표적인 주장이 공무원 특채 없어서 메리트 없다는건데 서울시 공무원 특채 1996년에 폐지되었습니다. 인풋은 그 이후로도 쭉 높았고요.
시세무는 우리나라에서 세무전문대학원, 조세전문로스쿨, 지방세연구소등을 원펌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학과입니다. 4년간 세무학을 다각도로 배울정도로 커리큘럼 자체가 조세쪽으로 특화되어 있고 그만큼 조세쪽으로 인맥과 명성이 높은게 메리트 입니다.
4대 회계법인에서 세무사만 따도 티오를 내주는 유일한 학과라면 이해를 하시겠습니까?
취업시장에서 학교 간판때문에 불리하다는 소문 퍼뜨리는 사람도 있는데 실제 웬만한 금융권, 사기업 재경팀 세무파트에는 시세무 분들 다 포진해 있을정도로 명성이 높습니다.
ㅇㄱㄹㅇ
시세무에 대해 모르고 쓴 글인가 아니면 알면서 다른 의도로 쓴 글인가...
시립대 세무학과면 아웃풋에서 서성한 상위과와 견줘도 손색이 없는 과지요.
지금 수험생중에 시세무에 뭐 있는줄 알고 가는사람 없습니다ㅋㅋㅋㅋ 다른과에 비해 cpa나 cta에 특화된 커리큘럼으로 진행되니까 진로가 확실한 사람이면 몰릴수밖에 없는거죠 따로TO가 나는것도 한가지 장점이라고 할수있죠
아니 뭐 사람이 이런 생각 저런 생각 하면서 살 수 있는 거니까 뭐라 하진 못 하지만
많은 사람이 보는 사이트에서는 입조심 좀 하며 지낼 수 있잖아요?
공무원 특채라는게 7, 8급 특채였고, 특채가 있을 당시만해도 고도성장기로 말단 공무원을 사람들이 우습게 보던 시대라 7, 8급하려고 그점수받고 진학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특채가 세무에만 있던게 아니고 전 과에 고루 혜택이 적용되었어요. 특채때문에 시세무가 높았다는 말은 어불성설입니다. 시세무는 해당분야 최상위 대학이라는 점과 특화된 커리큘럼, 설립 초기부터 쏟아져나온 훌륭한 아웃풋이 그 메리트였던 것이지 공무원 8급 특채가 메리트가 아니었습니다. 특채 없어지고도 10년이나 지난 불과 몇년 전까지 서강경에게 밀리는 점수는 아니었는데, '특채 하나로 시세무가 그정도였다!' 하면 틀린 얘기죠.
그리고... 재학=취업보장 이 아니면 거품입니까? 그렇게 보면 스카이나 서성한도 모조리 거품이겠네요? 어이구... 거 나와봐야 공무원자리 하나 보장 못해주는 학교들인데 대체 뭣때문에 그 좋은 점수 맞고 간답니까.... 그럼 교대, 사관학교> 전문대 취업보장 특수과>>>>>>>>>>>>>>>>>>>>>>>설경인가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