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보기 내려다보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886181
[서론]
국어, 내려다보라!
올해 이정수 선생님 캐치프레이즈였습니다. 실재로 강의를 들어봐도 이 '내려다보라'는 말을 계속 강조하시고요. 그만큼 선생님이 강조하시는 건 틀림없지만, 여전히 저 추상적인 워딩이 무얼 의미하는지가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름의 해석을 해보았습니다.
[본론]
제가 이해한 내려다본다는 것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우선 비문학만 얘기할게요.
1. 허리를 꼿꼿이 피고 정자세로 앉아 두 손을 모두 책상 위에 올린다. 필기구는 잡아도 되고 안 잡아도 된다.
2. 눈으로 읽든, 필기를 하든, 밑줄을 치든, 거시독해를 하든, 미시독해를 하든, 글을 읽습니다.
3. 이제 문제를 읽습니다. 차근차근 단어 하나도 빼지 않고 읽습니다. 선지도 읽습니다. 보기가 있으면 보기도 읽고요. 마찬가지로 단어 하나도 빼놓지 않고 읽습니다.
4. 그리고 문제를 풉니다.
읭..?
너무 당연한 소리였나요. 근데요.
여기서 중요한 건 읽는다는 겁니다. 책 읽듯이. 안내문 읽듯이. 수학 문제 읽듯이요.
그러기 위해선 문장을 끊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문장을 이렇게 끊는 것이/어떻게 읽는 데/도움이 되겠나요.//
다시, 읽는 게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지금 국어 3등급 이상 나오는 여러분들은 생각보다 똑똑합니다. 읽고 풀면 다 풀고 다 맞을 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어요. 수능은 재능 싸움이 아녜요.
다시, 읽는 게, 훑는 거 아니고 읽는 게, 도식 그리는 게 아니고 읽는게 중요합니다.
*****사족*****
그러나, 대부분은 빽빽한 지문을 읽는다는게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쉽게 읽는 방법, 물 흐르듯 읽는 방법으로 '대화체로 읽기'를 추천드립니다.
예시로 올해 수능 칸트나 열역학 지문을 들고 싶지만, 제 경험상 칼럼 독자들은 사진이나 그림이 들어오면 그 부분을 안 보고 넘기기 때문에 그냥 말로 해보겠습니다.
칸트 지문 앞 문단 일부를 발췌해 왔습니다. 읽어보세요.
철학에서 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인격’, 그중 ‘나’를
‘자아’라고 한다. 인격의 동일성은 모든 생각의 기반이다. 우리는
과거의 내가 현재의 나와 동일한 인격이기에 과거에 내가 한
약속을 현재의 내가 지켜야 한다고 판단한다.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
‘주관’은 인식의 주체를 가리키며, ‘인식’은 ‘앎’을 말한다.
아,, 좀 어렵다. 튕긴다 그죠. 그럼 바로 대화체로 바꿔 읽어보겠습니다.
철학에서, 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인격. 인격. 그리고 그중 나.를! 자아라고 하거든?
인격의 동일성은 모든 생각의 기반인데
우리는 대충 과거의 나랑 현재의 나랑 동일한 인격이니까 과거의 내가 한 약속을 현재의 내가 지켜야한다는거임
칸트 이전에는 생각하는 나, 즉 영혼이 시간 속에서 지속된다는거임.
다시, 주관은 인식의 주체이고, 인식은 앎이다.
,,,
뭐 그렇답니다. 이렇게 만드는거, 대화체로 만들어 이해하는게 아무래도, 훨씬 쉽지 않나요? 그런데, 대화체 변환의 장점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사실 이것보다 더 큰 장점이 있죠.
뇌가 문장을 변환하기 위해선 먼저 문장을 이해해야 합니다. A로 포장된 걸 a로 이해해야 다시 A'으로 바꿀 수 있는 거죠. 미분하고 다시 적분을 생각하면 됩니다.
미분하는 과정에서 함수의 모든 식을 다 읽게 되는 것처럼 문장 변환 과정에서 문장의 모든 단어를 읽게 되고, 그때 이 함수가 뭐 다항함수인지 지수함수인지 합성함수 꼴인지 파악하는 과정처럼 문장의 의미, 적어도 문단 내에서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쯤에서 사족은 마칠게요. 꼭 한번 해보세요.
****사족 끝****
읽는 게 끝나면 그 다음은 관조(?) 혹은 관찰해야합니다. 무엇이 중요한 지문인지 파악하는 겁니다.
흔히 고능아들이 한다는 거 있죠. 지문을 읽으면서 문제에 뭐가 나올지 파악하는 거. 그걸 하시는 겁니다. 놀랍게도, 제대로 읽었다고 해서 그게 바로 되지는 않습니다.
이것도 연습해야 합니다. 피지컬 이전에 순수 지능을 높이는 연습인거죠. 연습용 지문은 문제가 기억 안 나는 옛기출로 해도 되고 24 25 26 수능연계대비 문제로 하셔도 됩니다.
[결론]
1. 읽어라(읽는연습을하라)
2. 읽는 게 어렵다 느껴지면 문장 변환 연습을 해봐라.
3. 읽은 지문을 활용해 관조하고 뭐가 중요한 지문인지 파악하라(파악하는 연습을 하라)
이게 제가 이해한 내려다보기였습니다.
칼럼 처음 쓰는거라 퇴고를 했는데도 엉성하네요. 머릿속에 있는 걸 꺼내서 응고시키니까 이상해져서, 국어 칼럼은 사짜가 되기 쉬운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더 명확하게 전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크럭스 10 0
결제 버튼 안 눌리는 게 나뿐만이 아닌 거 같은데 이거취소시키면진짜가만히안있습니다
-
편의점에서살수있는걸로점메추좀 8 1
기능시험패스기념
-
울고싶다
-
크럭스 결제버튼이 안눌리는데 3 0
이거어떡하나요 ㅠㅠㅠ
-
웹툰추천좀 8 2
오네가이
-
07은 고2때부터 서울교육청한테 억까 많이당한듯 4 0
고2 3모 국어 1컷 77 수학 1컷 80 영어 1비율 3.8ㅋㅋ 고3 3모 국어...
-
이번 수능 한지 컷 예측 몇으로함? 10 0
1 2 3넛 각각 몇 보시나요 님덜? 작수처럼 1컷 48뜨면 ㅈ되는디..
-
ㅆ발
-
이대 자전 합격하면 3 0
좋겟다
-
아 씨 개 쪽팔려 3 0
버스에서 내릴 때 윗천장에 머리 찍음
-
이디야커피로 시작하는 하루 4 0
잠깨자...
-
둘중에 어디를 가는 게 좋을까요? 우선 연세대는 최초합, 고려대는예비인데 무조건...
-
칼국수는 드립인데 쌀국수는 ㄹㅇ 좀
-
도형 자작문제입니다 2 0
감사합니다!
-
피말리네 수만휘에도 수시 원서 접수 이후로 언급이...
-
근데 컨셉 ㅈㄴ웃긴 거 같음 1 5
칼국수 콩국수 짬뽕 비빔면 마라탕
-
수2 내신 단골문제 0 0
이렇게 도함수 정의 활용하는 문제가 평가원에서는 아예 안 나오는 것 같은데 왜 안 나올까요?
-
화미사문지구1 할예정인데 어느정도로 띄워야하나요?
-
2점짜리 두개 틀린 표본이 있긴해…??
-
이 점수가 경기대 경제 최초합이 된다는 것이 정말인가요? 3 0
백분위 국어 67 수학 69 영어 3등급 탐구 59
-
아쉽네 지금 딱 칼국수 먹는중이었는데
-
광운대학교 수시 예비 0 0
학생부교과(지역균형)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예비 몇번까지 빠질까요??
-
막국수도 모름 ㅋㅋ
-
이거 노린거 아님? ㅋㅋㅋㅋㅋㅋ
-
응통이 응가 통통이임? 1 0
똥같은 통통이라는건가 응용통계는 아닐거아냐
-
옷에 기름때 다묻엇네 9 0
지워지려나..
-
병신같네 폰 2 0
3시간 썻다고 100=> 27 ㅅㅂ
-
이런 시험지랑 비슷하게 만들어서 어떻게 변별을 하겠다는 거지?? 앞으로 2년 안에...
-
ㅇㅇ
-
헐 오늘 마마네 2 0
지디 오늘 나오냐
-
게임할사람구함 17 0
날이면날마다 오는 기회가 아님
-
이건 진짜라는 거임
-
완칼 3 1
ㅈㄴ배부름
-
뷔페 알바 1 2
합격문자 왔는데 가야하나
-
무지성 게임은 하기 싫은데 1 0
지성 게임 하면 항상 저능함의 벽에 부딪힘
-
칼국수라는 게 나온다는데요 2 0
직원분께 칼국수가 뭔지 여쭤봤습니다
-
지금 행복하니 편
-
최형우는 그래서 남는거야 뭐야 5 0
유니폼 다시 넣어 ㅅㅂ?
-
지구도 곧 2026살이네 4 0
시간 참 빠르다
-
제발..
-
오늘도 설입 도착 5 2
피곤해..
-
건대입구역 10 1
모 커피샵인데 괜찮은분들이 많네.. 건대가야겟다
-
얼버기 2 1
침 질질
-
삼성에서 진행하는 교육봉사인데 내년 신입생도 지원 가능함 장학금 시급으로 환산하면...
-
옯비 손절 8 0
ㅅㄱ
-
외할머니가 밤을 어제도못자고 그저께도 못자서 죽겠다함 감기도 2주3주넘게 안나으셔.. 걱정되는군
-
100점 ㅈㄴ 많을 듯
-
86 90 88 0 0
올해 미확기 컷을 의미한다.... 기장연 88에서 갈려서 누구는 진짜 ㅈㅅ마려울듯
-
킅슝쾅 ㄷㄷ 7 0
쏠쏠하게 써먹을듯
-
수시보다 정시 잘볼 자신 있으면 수시도 안쓸거아냐
아니 사족이 제일 기네

대 정 수신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