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tata [348885] · MS 2010 · 쪽지

2025-11-25 13:18:12
조회수 7,941

미적분 예상등급컷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823755

다음은 개인적인 생각일뿐 맹신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96~100점의 분포: 23수능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만점자 0.22%, 96점까지 누적 0.72%였는데


                               그때보다 킬러가 더 어려웠던 점을 감안하여 


                               만점자는 조금 더 적고 96점까지 누적은 비슷하게 보았습니다.


                               이때 96점 백분위는 99.5정도가 산출되어 반올림하면 100이긴 한데


                               간발의 차이로 99.4X가 되어서 99일 확률도 있어보이긴 합니다.


                               둘 중 하나만 찍으라면 백분위 100을 예상해봅니다.




92점까지의 분포: 여기서부터는 25수능과 비교하게 되는데요.


                            25수능 92점까지 누적인원이 2.3%정도였는데


                            올해는 21, 22, 30번이 매우 어려웠죠.


                            이중 하나를 맞혀야 92점으로 올라가기에 92점 이상 받기가 작년보다 어려웠다고 봅니다. 


                            따라서 작년 2.3%보다 좀 더 적은 2%정도로 잡아보았습니다.


                 

88점까지의 분포: 25수능 88점을 받는 난이도와 비교하기 위해


                             객관식 80%이상, 주관식 60% 이상의 거저주는 문항들은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들만 생각해보았습니다.


                             25수능의 경우 


                             14(정답률 59%)


                             15(정답률 59%)


                             20(정답률 33%)


                             21(정답률 30%)


                             22(정답률 13%)

 

                             27(정답률 48%)


                             28(정답률 31%)


                             29(정답률 21%)


                             30(정답률 18%)



                             26수능의 경우


                             14(정답률 67%)


                             15(정답률 59%)


                             21(정답률 12%)


                             22(정답률 14%)


                             28(정답률 38%)


                             29(정답률 40%)


                             30(정답률 5%)


                             이렇게 남는데요. 일단 문항 수부터 25수능이 2개 더 많습니다.


                             또한 14, 15, 22번끼리는 정답률이 비슷했고 28번은 25수능이 조금 더 어려웠으며

 

                             29번은 25수능이 훨씬 더 어려웠던 것으로 확인됩니다.


                             결국 21, 30번만 26수능이 더 어렵고,


                             나머지 문항들은 25수능과 비슷하거나 25수능이 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하여 26수능에서 88점부터는


                             한 문제씩 틀릴 때마다 쌓이는 인원이 25수능보다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25수능이 경우 88점까지 누적 4.3%정도였고, 이는 92점에서 2%정도만 쌓인 것이었는데요.


                             26수능의 경우 92점에서 88점으로 넘어오며 3%이상이 쌓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88점에서 이미 4%를 크게 초과하면서 1등급커트라인은 88점으로 예상합니다.


                             


                            

                             간혹 88점의 일부가 2등급으로 튕겨나가는 것이 아닌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는데,


                             올해는 그럴 확률은 좀 낮다고 봅니다.


                             26수능의 경우 공통과 선택미적분 둘 중에 특별히 더 어려운 것이 없어보이기 때문입니다.


                             즉, 동점인 경우 공통/선택의 득점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는 경우가 예년만큼 두드러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88점끼리 다같이 묶일 확룰이 높다고 판단하였습니다.



84점까지의 분포: 25수능 84점까지 누적 7%, 80점까지 누적 10.8%정도였는데


                             올해 84점까지의 누적 비율은 이중 80점에 좀 더 가까운 위상으로 보입니다.


                             84점을 받기 위해서는


                             25수능의 경우 14, 15, 20, 21, 22, 27, 28, 29, 30번 중에서 5문제는 맞혀야 하는 반면


                             26수능의 경우 14, 15, 21, 22, 28, 29, 30번 중에서 3문제만 맞혀도 가능하므로 더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4점까지 누적 비율을 9%이상으로 예상하며 이 경우 백분위는 93이 산출됩니다.


    

80점까지의 분포: 마찬가지로 이유로 조금 더 비관적인 상황이 그려집니다.

                             

                             14, 15, 21, 22, 28, 29, 30번 중에서 2개만 맞혀도 80점이라는 것이 좀...


                             21, 22, 28, 30번이야 많이 어렵지만 14, 15, 29번 중에서 2개 맞히는 학생들까지는


                             좀 많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5수능의 경우 14, 15, 27번의 꽤 묵직한 문제를 다 맞혔더라도 


                            20, 21, 22, 28, 29, 30번 중에서도 하나를 더 맞혀야 80점이었는데,


                             26수능은 이것보다는 확실히 쉬운 것 같아서...

 

                             따라서 80점까지 누적 14%이상을 예상하며 이 경우 백분위는 88이 산출됩니다.


                             만약 80점에서 공통/선택의 득실에 따라 갈린다면 불리한 조합은 바로 3등급이 되긴 한데


                             앞서 말씀드렸던대로 올해는 공통, 미적분 사이의 뚜렷한 난이도 차이는 보이지 않아서


                             대부분 조합의 80점이 다같이 백분위 88 2등급으로 묶일 가능성이 좀 더 높지 않을까 합니다.

                              




72점까지의 분포: 25수능보다 3~4점정도 더 쉬운 시험으로 가정하고 분포를 추정해보았습니다.


                             우선 76점에서 대부분의 3등급 인원이 채워지구요.


                             73점에서 23%를 채울 가능성도 조금은 있어보이지만


                             3컷 72와 73중에 하나를 찍자면 72로 예상해봅니다.

 

                             다만 누적인원은 23%를 크게 초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표준점수의 예상: 25수능보다 최고난도 문항이 더 어렵긴 했지만


                           거저주는 문제들도 더 많아지면서 평균점수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표준편차라면 평균이 높을수록 원점수에 대응하는 표준점수가 낮아집니다.


                           그렇다면 표준편차까지 같이 고려하였을 때는 어떨까요?


                           다음은 22~26수능 공통+미적분 정답률을 모아놓은 것이고


                           그 아래에는


                           각 수능에 대하여 공통 22문항의 정답률 평균, 미적분 8문항의 정답률 평균,


                           30문제 전체의 평균, 30문항 중에서 정답률이 낮은 10개의 평균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입니다.





25수능과 비교했을 때, 모든 수치에서 26수능이 더 무난한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22~26수능 통틀어서도 26수능이 가장 무난한 것으로 보이구요.


이러한 점 때문에 각 원점수에 대응되는 표준점수를 비관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각 원점수에 대응되는 표준점수를 25수능에서보다 1~2점씩 낮추어서 다음과 같이 대응시켜보았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