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시 [1422124] · MS 2025 · 쪽지

2025-11-23 23:40:14
조회수 226

[영어] 쉼표로 이어진 긴 문장의 해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91689

안녕하세요. 영어 과외하는데 학생 요청으로 만든 자료를 인터넷에도 올려봅니다. 쉼표로 이어진 긴 문장을 만났을 때 당황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긴 문장은 주로 여러 개의 쉼표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When Orion Labs launched its compact sensor, Lumen, in 2021, it positioned it as a flexible research platform and a way of gathering field data to build more precise models.

어떻게 이 문장이 이렇게 길어졌는지 공부해보자. 일단, When으로 이루어진 접속사절이 어디까지 이어지는지를 구분짓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다. 여기서는 2021 전까지가 접속사절, 그 이후가 주절이 된다. 아무리 문법적 용어에 거부감을 느끼더라도 접속사절/주절 정도는 잘 사용해주어야 한다. 접속사절의 내용은, Orion이 루멘이라는 센서를 출시했을 때, 2021년에 정도로 해석해주면 된다. 이렇게 고유명사들(기업이름, 상표, 사람이름, 교수이름)이 등장할 때 잊지 말아야 할 태도는 이들을 해석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어떤 하나의 단어정도로만 인식하고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 어쨌든 하고 싶었던 말은, 2021뒤에 있는 쉼표는, 접속사절과 주절을 구분하는 쉼표였다는 것이다. 그러면 Lumen 앞에 있는 쉼표는 무엇인가? 바로 동격을 의미하는 쉼표이다. 

When Orion Labs launched its compact sensor, Lumen 라고 하면, 

Orion Labs launched its compact sensor=Lumen 라고 읽어주면 된다. in 2021 앞의 쉼표는 무엇인가? 이런 in 2021 등을 나는 삽입된 것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런 것들을 읽어줄 때는 그냥 자연스럽게 2021년에, 정도로 해석에 끼워넣어주면 된다. 


위 문장을 다시 보면서 구분해 보자. 

첫 번째 , : 동격의 쉼표

두 번째 , : 삽입의 쉼표

세 번째 , : 접속사절과 주절을 구분하는 쉼표


지금까지 쉼표가 가질 수 있는 의미 3개를 분석해보았고, 다른 문장들도 공부해보자. 

We may observe and define certain flavors in a single dish, but we cannot call them traits of Sichuan cuisine, Mediterranean cuisine, or New Nordic cuisine without relying on our experience of other Sichuan dishes, of regional Mediterranean dishes, or of contemporary Nordic dishes.

길다고 해서 당황할 필요 없다. 대부분이 그냥 단순한 병렬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해석해보면, '우리는 단일 요리의 맛을 관찰하고 정의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들을 ~~~에 의존하는 것 없이는 ~~~의 특성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 이고, ~~~부분이 traits of 뒤에 나오는 내용들인 것이다. 


왜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냐면, 위에 내가 해석했던 것처럼 쉼표로 이루어진 trait 뒤의 긴 내용들이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만 한다면, 굳이 내용을 하나하나 해석할 필요 없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나온 쉼표들은 그냥 단순히 Sichuan, Medittereanean, New Nordic의 병렬이었다. 


이 문장의 해석에 어려움을 겪었다면 이유는 2가지이다. 

1. 고유명사들의 중요도가 낮음을 인지하고 그냥 이런게 있구나~하고 넘기는 태도가 장착되어있지 않아서 Sichuan, Medittereanean, New Nordic 같은 단어들을 보며 에너지를 낭비했기 때문에

2. 많은 쉼표들이 단순한 병렬임을 모르고 결국 문장의 뼈대 구조는 ‘우리는 ~~를 관찰할 수는 있지만 그것들을 ~~없이는 ~~라고 부를 수는 없다’임을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정리해보자.

1. 동격

2. 병렬

3. 삽입

4. 접속사절/주절 구분

5. 절 두 개를 이을 때 and나 but등의 접속사 앞에 씀

이 쉼표의 쓰임이다. 


Marcus Vitruvius Pollio, a practicing architect during the rule of Augustus Caesar, recognized that architecture requires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he listed the disciplines he felt the aspiring architect should master: literature and writing, draftsmanship, mathematics, history, philosophy, music, medicine, law, and astronomy-a curriculum that still has much to recommend it. 

[25학년도 수능 21번]


쉼표가 정말 많이 쓰인 정말 긴 문장이다. 하나하나 해석해보자. 

우선 첫 번째 MVP(Marcus Vitruvius Pollio)를 보고 이게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에 절대 시간을 쓰면 안되며 이런게 있구나 정도로 넘어가야 한다. 그리고 첫 번째 쉼표가 바로 동격의 쉼표(1번)로, MVP가 누구인지 Caesar까지가 꾸미고 있다. recognized 전까지의 실전적 해석은 ~의 지배시대에 살던 건축가 MVP는, 정도가 적절하다. and앞의 쉼표는 문장이 길어질 때 그냥 쓴 5번 의미이고, 그 뒤에 writing~로 이루어진 것들은 단순 병렬의 쉼표(2번) 이다. 이런 식으로 구조를 파악하면 의미의 강약을 파악할 수 있고 어디는 해석을 굳이 열심히 할 필요 없다 정도까지도 파악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시험장에서 위 문장을 보고 어떤 사고를 거쳐 해석해야 하는지를 알아보자. recognized 전까지의 해석은

‘MVP, AC의 지배 당시의 현업 건축가는, 알아차렸다.’ 이다.

여기서 that은 접속사이고,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올 것을 알고 읽기 시작한다. 

뭐를 알아차렸냐?

건축이 실용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을 모두 요구함을 알아차렸고, 이후 나온 listed는 recognized와 병렬로 볼 수 있겠다를 생각함과 동시에 

disciplines 와 the aspiring architect 사이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이 일어났음을 자연스럽게 알아차리며 건축가 지망생이 master해야할 학문의 목록은 ~가 있다. 정도까지 해석하면 되겠다.



25-6-22

Moreover, equal access to speech and hearing promoted the notion that property should be held in common, that goods and food in particular should be shared, and that everyone had a duty to take care of everyone else.


여기서 나온 쉼표들은 단순한 동격 접속사 that의 병렬이다. 

세 that이 모두 notion과 동격을 이루는 내용들이다. (무슨 개념인지를 설명)


It's possible, indeed likely, that we are born with a predisposition(타고난 성향) to cooperate with others-but only within human society do we come to understand this as moral behaviour.


여기서 indeed likely 가 삽입이며, 이럴 경우에는 그냥 해석에 단순히 의미를 첨가해주는 느낌으로 끼워넣어주면 된다. 여기서는 정말로 그럴 가능성이 높다, 정도의 의미를 추가해 주면 된다. 


결국 쉼표가 하는 역할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동격

2. 병렬

3. 삽입

4. 접속사절/주절 구분

5. 절 두 개를 이을 때 and나 but등의 접속사 앞에 씀


0 XDK (+10)

  1. 10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