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쉼표로 이어진 긴 문장의 해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91689
안녕하세요. 영어 과외하는데 학생 요청으로 만든 자료를 인터넷에도 올려봅니다. 쉼표로 이어진 긴 문장을 만났을 때 당황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긴 문장은 주로 여러 개의 쉼표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When Orion Labs launched its compact sensor, Lumen, in 2021, it positioned it as a flexible research platform and a way of gathering field data to build more precise models.
어떻게 이 문장이 이렇게 길어졌는지 공부해보자. 일단, When으로 이루어진 접속사절이 어디까지 이어지는지를 구분짓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다. 여기서는 2021 전까지가 접속사절, 그 이후가 주절이 된다. 아무리 문법적 용어에 거부감을 느끼더라도 접속사절/주절 정도는 잘 사용해주어야 한다. 접속사절의 내용은, Orion이 루멘이라는 센서를 출시했을 때, 2021년에 정도로 해석해주면 된다. 이렇게 고유명사들(기업이름, 상표, 사람이름, 교수이름)이 등장할 때 잊지 말아야 할 태도는 이들을 해석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어떤 하나의 단어정도로만 인식하고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 어쨌든 하고 싶었던 말은, 2021뒤에 있는 쉼표는, 접속사절과 주절을 구분하는 쉼표였다는 것이다. 그러면 Lumen 앞에 있는 쉼표는 무엇인가? 바로 동격을 의미하는 쉼표이다.
When Orion Labs launched its compact sensor, Lumen 라고 하면,
Orion Labs launched its compact sensor=Lumen 라고 읽어주면 된다. in 2021 앞의 쉼표는 무엇인가? 이런 in 2021 등을 나는 삽입된 것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런 것들을 읽어줄 때는 그냥 자연스럽게 2021년에, 정도로 해석에 끼워넣어주면 된다.
위 문장을 다시 보면서 구분해 보자.
첫 번째 , : 동격의 쉼표
두 번째 , : 삽입의 쉼표
세 번째 , : 접속사절과 주절을 구분하는 쉼표
지금까지 쉼표가 가질 수 있는 의미 3개를 분석해보았고, 다른 문장들도 공부해보자.
We may observe and define certain flavors in a single dish, but we cannot call them traits of Sichuan cuisine, Mediterranean cuisine, or New Nordic cuisine without relying on our experience of other Sichuan dishes, of regional Mediterranean dishes, or of contemporary Nordic dishes.
길다고 해서 당황할 필요 없다. 대부분이 그냥 단순한 병렬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해석해보면, '우리는 단일 요리의 맛을 관찰하고 정의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들을 ~~~에 의존하는 것 없이는 ~~~의 특성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 이고, ~~~부분이 traits of 뒤에 나오는 내용들인 것이다.
왜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냐면, 위에 내가 해석했던 것처럼 쉼표로 이루어진 trait 뒤의 긴 내용들이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만 한다면, 굳이 내용을 하나하나 해석할 필요 없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나온 쉼표들은 그냥 단순히 Sichuan, Medittereanean, New Nordic의 병렬이었다.
이 문장의 해석에 어려움을 겪었다면 이유는 2가지이다.
1. 고유명사들의 중요도가 낮음을 인지하고 그냥 이런게 있구나~하고 넘기는 태도가 장착되어있지 않아서 Sichuan, Medittereanean, New Nordic 같은 단어들을 보며 에너지를 낭비했기 때문에
2. 많은 쉼표들이 단순한 병렬임을 모르고 결국 문장의 뼈대 구조는 ‘우리는 ~~를 관찰할 수는 있지만 그것들을 ~~없이는 ~~라고 부를 수는 없다’임을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정리해보자.
1. 동격
2. 병렬
3. 삽입
4. 접속사절/주절 구분
5. 절 두 개를 이을 때 and나 but등의 접속사 앞에 씀
이 쉼표의 쓰임이다.
Marcus Vitruvius Pollio, a practicing architect during the rule of Augustus Caesar, recognized that architecture requires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he listed the disciplines he felt the aspiring architect should master: literature and writing, draftsmanship, mathematics, history, philosophy, music, medicine, law, and astronomy-a curriculum that still has much to recommend it.
[25학년도 수능 21번]
쉼표가 정말 많이 쓰인 정말 긴 문장이다. 하나하나 해석해보자.
우선 첫 번째 MVP(Marcus Vitruvius Pollio)를 보고 이게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에 절대 시간을 쓰면 안되며 이런게 있구나 정도로 넘어가야 한다. 그리고 첫 번째 쉼표가 바로 동격의 쉼표(1번)로, MVP가 누구인지 Caesar까지가 꾸미고 있다. recognized 전까지의 실전적 해석은 ~의 지배시대에 살던 건축가 MVP는, 정도가 적절하다. and앞의 쉼표는 문장이 길어질 때 그냥 쓴 5번 의미이고, 그 뒤에 writing~로 이루어진 것들은 단순 병렬의 쉼표(2번) 이다. 이런 식으로 구조를 파악하면 의미의 강약을 파악할 수 있고 어디는 해석을 굳이 열심히 할 필요 없다 정도까지도 파악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시험장에서 위 문장을 보고 어떤 사고를 거쳐 해석해야 하는지를 알아보자. recognized 전까지의 해석은
‘MVP, AC의 지배 당시의 현업 건축가는, 알아차렸다.’ 이다.
여기서 that은 접속사이고,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올 것을 알고 읽기 시작한다.
뭐를 알아차렸냐?
건축이 실용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을 모두 요구함을 알아차렸고, 이후 나온 listed는 recognized와 병렬로 볼 수 있겠다를 생각함과 동시에
disciplines 와 the aspiring architect 사이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이 일어났음을 자연스럽게 알아차리며 건축가 지망생이 master해야할 학문의 목록은 ~가 있다. 정도까지 해석하면 되겠다.
25-6-22
Moreover, equal access to speech and hearing promoted the notion that property should be held in common, that goods and food in particular should be shared, and that everyone had a duty to take care of everyone else.
여기서 나온 쉼표들은 단순한 동격 접속사 that의 병렬이다.
세 that이 모두 notion과 동격을 이루는 내용들이다. (무슨 개념인지를 설명)
It's possible, indeed likely, that we are born with a predisposition(타고난 성향) to cooperate with others-but only within human society do we come to understand this as moral behaviour.
여기서 indeed likely 가 삽입이며, 이럴 경우에는 그냥 해석에 단순히 의미를 첨가해주는 느낌으로 끼워넣어주면 된다. 여기서는 정말로 그럴 가능성이 높다, 정도의 의미를 추가해 주면 된다.
결국 쉼표가 하는 역할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동격
2. 병렬
3. 삽입
4. 접속사절/주절 구분
5. 절 두 개를 이을 때 and나 but등의 접속사 앞에 씀
0 XDK (+10)
-
10
-
게임하러가야지 0 0
고졸 백수의 삶 월공강 즐겨
-
님들도 이미지 트레이닝 하셈ㅋ 2 0
-
정시 컨설팅 1 0
어디가 좋음? 피오르랑 크럭스 윤앤고 정도가 유명한거 같던데 추천쫌 (근데 작년에...
-
영어 빈칸에서 0 0
2번이 하나라도 나와줬더라면!!!!!!!!!!!!!!!! 난 3등급이었는데 아니면...
-
생1 유전 가계도 특징) 2 1
유전병 ㅈㄴ 걸려대는데 애는 계속 낳음
-
나 근데 진짜 갈 데가 없네 3 0
난 내 인생에서 잘 본 수능인데 진학사 보니 어디 처음보는 대학만 나오네......
-
뭔가 잘못된 가계도 2 0
-
ㅈㄱㄴ 확통 해본적 없음
-
고1 영어 왤캐 어렵지 0 1
당황..
-
플스지금살만함? 0 0
-
공강타임 7 1
다들 긱사로 떠났고 난 버러졋다 외로워ㅓ
-
'실존의 배반'이란, 자기 자신이 처음에 규정했던 자기 자신의 실존, 곧 스스로가...
-
건희 햄 함 보고 싶다 2 0
제주대 쪽 어슬렁거리면 보이려나
-
내일 공강임 10 2
왜냐면 모레가 시험이니까
-
화작 2개 나갔는데 언매런은 6 0
에바임?
-
아 진짜 배고프다 0 0
움직이기 싫어
-
사문과 함께할 과목 0 0
동사 vs 한지
-
혀 밑에 뭔가가 달랑거리는데 9 1
이게 무ㅏ지..?
-
2027 대비 자이 마더텅 1 0
언제쯤 나오나요? 홈페이지 공지사항 들어갓는데 안보이네요..
-
반수생 라인 좀 잡아주시오 3 0
백분위. 언매-82 미적-96 영어-3등급 한국사-3등급 사문-85 지구-89...
-
'김대리는 집이 없다'…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53만 역대 최대 5 1
주택 소유가구는 '20만' 밑으로…주택 소유율 25.8%, 역대 최저 청년 1인...
-
경북대 논술 자연1 1번답 4 0
1/3 나왔었는데 맞나요..?
-
대학 라인좀 봐주세여 1 0
-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나와도 미국 대학원 못가네.. 16 2
미국 대학원 홈페이지에 이렇게 학생들 목록을 공개하는데 Stanford...
-
화1이 ㄹㅇ 개꿀과목이긴함 2 1
나같은 저능아가 3년연속 50 생1 3년연속 망함 싸갈
-
안되는거 알지만...ㅠ
-
내일 국어영어 이의제기 결과발표 40 0
24번 17번 과연 어떻게될지? 제발 ㅜㅜ
-
아똥존나마렵네 2 0
똥
-
도와주세요!! 2 0
현재 27수능을 보기로 결정한 현 삼수생(06)입니다. 제가 늘 탐구 선택과목과...
-
물지vs화지 1 0
수의대 목표라 무조건 투과탐 해야해서요 지구는 할 예정이고 나머지 하나를 물리랑...
-
나도메디컬가고싶다 9 0
원래 주제를알아서 메디컬에대한 갈망이 1도없었는데 내년에 걍 한번 더 하는김에...
-
강민철 사진만 올린건 왜 또 블라인드임?
-
고속 업뎃 써보신분 6 0
갑자기 왤케 후해졌지..?
-
다들 3모랑 비교했을때 수능성적 어떻게 나오셨나요..? 6 0
저는 3모 21254(화미영물생) 수능 22241(2)(화미영생지)로 탐구 오르고...
-
화작 2틀(-6) 87 표점 한번씩만 예상 부탁드려요 1 0
고속에서 131점 잡아주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메가는 129인데 너무 낮다...
-
낙지 고속 스나 3 0
3칸 연녹 61% 실채 뜨면 희망 접어야 할까요...
-
요즘 유튜브광고 근황 1 0
엄
-
암산테스트 개꿀잼이네 ㅋㅋㅋ 2 0
110점 뚫어보고 싶은데
-
[공식 채팅방] 고려대학교 26학번 아기호랑이를 찾습니다!!(고파스 오픈채팅방) 6 0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재학생 대표 커뮤니티 고파스의 새내기 맞이단입니다!...
-
어우 대가리아퍼 2 2
아으
-
지1 1컷 47기원 10일차 2 1
.
-
독재 이거 통학 오바인가요 9 0
ㅈㄱㄴ
-
대학 라인 어디까지될까요 2 0
언미생지고 원점수로 90 96 1 44 50 인데 어느정도 쓸만한가요?
-
목동 시대인재 수강신청 문자 0 1
11/18일에 목동 수강신청 하신 분들 결제안내 문자 받으셨나요?
-
자기야이제사람들내노래를들어 2 1
딴 세상 사는 그 사람도 날 안대 네 친구의 친구도
-
최상위 -> 28번 까지 그냥 쉽게 품 어중간한 1컷 턱걸이,높2 상위권 ->...
-
오르비 뱃지가 7 1
어디까지 있는거에요?
-
원화 가치 ‘곤두박질’…비상계엄 넘어 금융위기 수준 근접 19 27
원화 실질가치 16년 만에 최저치 지난달 하락 폭 세계서 2번째로 커 “환율...
-
소설 써봣는데 4 1
심심하신분들 읽어보시고 평가좀 해주세용,,
-
부산대 자전 힘들까요 1 0
수학때문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