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 국어 오답률 1위 열팽창 12번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73156
평가원이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창의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왜 오답률이 77.7%나 되었는지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하면서 뉴스를 도배했는지 꼭 먼저 문제를 풀고 해설을 들어보세요.
https://youtu.be/h5cV0a-BE5U?si=uFpOELFNL6R2-WY1
참고로 아래는 학생들에게 배부한 실전적 해설의 일부입니다.
12번 (정답 ① : □□□ ft. 이론과 실제)
출제의 원리를 선생님이 □□□(이)라고 처리했어. 이것이야말로 창의적 사고력을 검증하는 평가원의 살수(殺手)면서 비기(祕技)거든. 어지간한 학생들은 한방에 다 나가떨어지게 만들 수 있는 출제 원리야.
오답률만 봐도 알 수 있잖아. 2026 수능 국어 오답률 top of top(77.7%)이야. 올해 응시생을 기준으로 보면 대략 43만 명 정도의 학생이 이 문제를 틀렸어. 왜 그럴까. 그림이 무시무시해서? 아닌데. <보기> 그림은 출제자가 학생들을 친절하게 배려해서 나름 텍스트 이해를 돕기 위해 그려준 건데.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그렇게 강조했지. 비문학 최고난도 <보기> 문항은 이것을 출제 요소로 해서 반드시 출제된다. 그러니까 우리는 반드시 노리고 들어가야 한다. 노리지 않고 들어가게 되면 반드시 당한다고 강조하고 또 강조해 왔어. 야구에서도 상대 팀 에이스 투수를 공략해 내는 강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해? 볼을 노리고 들어가야 해. 상대 투수의 패턴을 익히고 노리고 들어가야 하는 거야. 그렇게 해도 안타를 만들어내기 쉽지 않은데 무작정 타석에서 감으로 반응해서 치려고 하니까 어이없는 헛스윙이나 염장 지르는 병살타가 나오는 거야.
수능은 개념의 해석과 적용이 본질이야. 그래서 수능이 요구하는 창의적 사고력이란 적용 능력을 의미한다는 거지. 그런데 그 적용 능력의 정점에 응용 능력이 있어. 이 문항이 이토록 오답률(77.7%)이 높았던 이유는 바로 응용 능력을 묻고 있기 때문이야.
그러면 응용 능력의 정체는 뭘까? 이론과 실제가 다른 바로 그 지점을 파고 드는 힘이야. 이론과 실제가 그냥 똑같다면 그것을 적용이라고 하지 응용이라고까지 하지는 않아. 가령 경제학 이론이라고 해보자. 모델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게 뭐야. 그렇지, 기본 가정이 필요한 거야. 기본 가정을 해야만 이론이 성립할 수 있는 거야. 그런데 현실은 어때? 훨씬 복잡하지. 변화 무쌍하지. 이론에서 설정한 기본 가정이 무너질 수 있는 거야. 이 차이를 잡아내서 문제를 해결해 보라고 평가원이 12번 문항을 출제한 거야. 그것이 바로 창의적 사고력이기 때문이지.
지문에서의 기본 가정이 <보기>에서는 무너져 있어. 지문에서는 휨을 방해하는 외부의 힘이 없다고 가정했는데 어때, <보기>의 그림을 보면 한가운데 뭐가 있어? 휨을 방해하는 무언가가 있지. 바로 띠가 휘어져 나가면서 잡을 물체가 띠가 휘는 것을 방해하고 있잖아. 기본 가정과는 다른 거야. 그러니 우리가 12번 문항을 풀 때는 선지가 이론을 묻고 있는지 실제를 묻고 있는지부터 구별해 낼 수 있어야 해.
그러니 정답이 ①번이야. ①번은 그림에서 보여주는 실제가 아닌 기본 가정을 따르는 이론을 묻고 있기 때문이야. 3문단 4문장에서 온도 변화가 클수록 띠가 더 휘어진다고 했고 5문단 4문장에서는 이 힘은 띠의 끝이 최대 이동 거리에 도달하여 휨이 완료되었을 때 소멸된다고 했으며 5문단 5문장에서는 힘이 소멸되는 시점은 최대 이동 거리에 도달했을 때이고, 이는 최대의 곡률에 도달했을 때와 같다고 하고 있으니까 이들을 연결하여 결합해석을 하게 되면 T₀에서 T₁으로 올렸을 때보다 T₀에서 T₂로 올렸을 때 T₁<T₂이므로 a와 b 모두 T₁이 아닌 T₂에서 외부에 가할 수 있는 힘이 소멸되는 시점 곡률이 크다는 것을 추론해 낼 수 있는 거야. 나머지 선지들 역시 같은 원리로 다 해결할 수 있어. 그러니 이제 선생님이 □□□(이)라고 한 출제의 원리가 무엇인지 알겠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취하는 그 감각이 너무 불쾌해
-
술 마시면 마실수록 6 0
몸속의 영양소가 싹 사라져서 피부가 좋아짐
-
맞팔구 0 0
-
오늘의 노래 추천 0 0
좋습니다...
-
과탐 0 0
과탐이 둘다 2컷이면 수학국어둘다 잘봐도 샤대는 힘든가유
-
왤케 이 사진이 웃기지 1 1
계약서 깠다고 거짓말하다 코가 커져버린 케인인님
-
ㅈㄴ 올라서 빌빌대다가 배는 안 고픈데 뭐라도 안 먹으면 뒤질 것 같아서 죽 사먹고...
-
작년 소비의 30%는 7 0
일본에다 바친듯
-
wwe덱 공유 3 0
오늘 어디 갔다는 글에 사진 있으면 구글 렌즈로 어딘지 찾은 다음에 ~ 검거...
-
오수떡밥으로 단숨에 GOAT 등극 2트만에 시립대 입갤 최근엔 여친도 생김 하
-
현우진 수강생에게질문 16 0
선생님 수학적으로 ㅔ장점이 뭔가요
-
롤하고싶노 5 0
ㅇㅇ;
-
롤 왜함 1 0
왜함 Speak
-
. 0 0
하루 종일 힘들구나 ㅇㅅㅇ
-
https://youtube.com/shorts/j-bT0jEF3qY?si=GE4dp...
-
혼자서 다녀도 돈많이씀 11 0
맛집탐방너무많이하나
-
일러 투척 0 0
-
근데 나 담피리라서 0 1
아무도나랑결혼안해줄것같으니까그냥결혼적령기쯤죽을라고
-
ㅅㅅ 2 0
-
유기화학 생화학 이거 어려움? 4 0
중딩때 화학식? 0점이엇는데 이거 가면 좃되는 거 맞냐
-
오늘여기감 11 0
여기가어디일까요
-
김동욱 0 0
김동욱샘 조교 지원 어케하나요
-
군대를 강원도로 가야하는 이유 15 2
고도가 높아서 중력포텐셜이 큼 중력장에 의한 시간지연이 적어서 시간이 빨리 감
-
데이트에 쓰는 돈 안 아까움 6 2
이제는 쓰고 싶어도 못 쓰게 됐는데 뭐... 날선 말 하지 말고 그냥 맛있는 거...
-
서강반 0 0
메가식으로 지금 508 정도 나오는데, 힘들려나욥?
-
숨을제대로못쉬니까 속부터곪네 0 0
좋은말하나못하고 걍 다 좆같고 이런새끼는 누가 안락사좀 시켜주는게 맞지않나 피해만끼치는삶이된거같은데
-
아 술마셨더니 7 0
똥 마려움
-
ㄹㅇ 화작 못해먹겠음..
-
전에 가봤는데 엄청난 산이더라고요
-
하 대치현강 ㅈㄴ설레네 6 0
막 스카이캐슬같이 진짜 그런건가 너무설렘진짜 완전 시골쫀년이라 잘모름그런거
-
휴릅은 어떻게 하는거임? 2 0
그냥 계정은 살려둔채 안들어오는건가
-
오오오 민족성대 7 0
성대 민족성대
-
수능형 국어 내신 버티는 법좀 12 0
다른 학교는 문학 작품 5개,문법이 시험범위 일때 저희는 30개 + 독서 10지문...
-
전부 노베이스입니다 언매 미적 영어 생1 지1으로 할거예요 도와주세요
-
현역 스나이퍼 후기 0 1
가군에 덕성약이나 고대 걸어놓고 반수...예정ㅜㅜ고민되네요
-
세상이 둥근 것처럼 우리 인생은 회전목마
-
한양대 오후2 3 0
한양대 수논 오후2 메디컬 제외하면 보통 몇문제정도 맞추면 합격확률 높아질까요.....
-
진짜 대성은 수학라인업 왜이럼 0 0
어그로ㅈㅅ 사실 19패스사서 누구들을지 고민하는데 다들 너무 좋으신 분들이긴한데...
-
"겨드랑이에 느타리버섯이 자라는 느낌이 들었다" 1 2
"에이씨 증말 드럽게" 라고 한탄을 해봤으나 소용 없었다.
-
30수능이 블루오션임 3 0
그때 노리는게 맞는듯 ㅇㅇ 27 28은 별로 먹을거없다
-
동홍 낮은과 될까요?? 10 0
국어 언매 54/20 74점 백분위 81~84 수학 미적 66/18 84점 백분위...
-
선유재 스토리 신파 뭐지다노
-
전 어차피 연애못함 ㅇㅇ 9 0
뭐든지 혼자 하는걸 좋아해서... Ex 혼자여행 혼코노 혼영 혼만카 등등
-
스나이퍼 후기 2 0
수능 망했슨 시립대 이건 중앙대인데 좀 많이 후한듯? 서울대를 꿈꾸고 투투를 한 나
-
내일부터 과외용으로 확통할건데 18 0
Ebs도 ㄱㅊ음? 저거 하나 때매 메패나 단과는 ㄹㅇ 개에바 같은데 김유빈?쌤 어떰
-
3.5이상 유지하면서 무휴반 물리적으로 가능? 술자리같은데안나가면
-
할 만한 게임 추천 19 0
오네가이시마쓰
-
08임 참고로 중학교 3학년 때 나온 경우의 수에서부터 어리바리 탔고 고1 수학하...
-
통통이 분들 헲 2 3
확통 처음 공부하는데 뉴런부터 해도 되나요? 진짜 아무것도 모름요
-
클럽 특징) 1 0
있다고는 들었는데 가본적이 없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