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 국어 오답률 1위 열팽창 12번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73156
평가원이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창의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왜 오답률이 77.7%나 되었는지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하면서 뉴스를 도배했는지 꼭 먼저 문제를 풀고 해설을 들어보세요.
https://youtu.be/h5cV0a-BE5U?si=uFpOELFNL6R2-WY1
참고로 아래는 학생들에게 배부한 실전적 해설의 일부입니다.
12번 (정답 ① : □□□ ft. 이론과 실제)
출제의 원리를 선생님이 □□□(이)라고 처리했어. 이것이야말로 창의적 사고력을 검증하는 평가원의 살수(殺手)면서 비기(祕技)거든. 어지간한 학생들은 한방에 다 나가떨어지게 만들 수 있는 출제 원리야.
오답률만 봐도 알 수 있잖아. 2026 수능 국어 오답률 top of top(77.7%)이야. 올해 응시생을 기준으로 보면 대략 43만 명 정도의 학생이 이 문제를 틀렸어. 왜 그럴까. 그림이 무시무시해서? 아닌데. <보기> 그림은 출제자가 학생들을 친절하게 배려해서 나름 텍스트 이해를 돕기 위해 그려준 건데.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그렇게 강조했지. 비문학 최고난도 <보기> 문항은 이것을 출제 요소로 해서 반드시 출제된다. 그러니까 우리는 반드시 노리고 들어가야 한다. 노리지 않고 들어가게 되면 반드시 당한다고 강조하고 또 강조해 왔어. 야구에서도 상대 팀 에이스 투수를 공략해 내는 강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해? 볼을 노리고 들어가야 해. 상대 투수의 패턴을 익히고 노리고 들어가야 하는 거야. 그렇게 해도 안타를 만들어내기 쉽지 않은데 무작정 타석에서 감으로 반응해서 치려고 하니까 어이없는 헛스윙이나 염장 지르는 병살타가 나오는 거야.
수능은 개념의 해석과 적용이 본질이야. 그래서 수능이 요구하는 창의적 사고력이란 적용 능력을 의미한다는 거지. 그런데 그 적용 능력의 정점에 응용 능력이 있어. 이 문항이 이토록 오답률(77.7%)이 높았던 이유는 바로 응용 능력을 묻고 있기 때문이야.
그러면 응용 능력의 정체는 뭘까? 이론과 실제가 다른 바로 그 지점을 파고 드는 힘이야. 이론과 실제가 그냥 똑같다면 그것을 적용이라고 하지 응용이라고까지 하지는 않아. 가령 경제학 이론이라고 해보자. 모델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게 뭐야. 그렇지, 기본 가정이 필요한 거야. 기본 가정을 해야만 이론이 성립할 수 있는 거야. 그런데 현실은 어때? 훨씬 복잡하지. 변화 무쌍하지. 이론에서 설정한 기본 가정이 무너질 수 있는 거야. 이 차이를 잡아내서 문제를 해결해 보라고 평가원이 12번 문항을 출제한 거야. 그것이 바로 창의적 사고력이기 때문이지.
지문에서의 기본 가정이 <보기>에서는 무너져 있어. 지문에서는 휨을 방해하는 외부의 힘이 없다고 가정했는데 어때, <보기>의 그림을 보면 한가운데 뭐가 있어? 휨을 방해하는 무언가가 있지. 바로 띠가 휘어져 나가면서 잡을 물체가 띠가 휘는 것을 방해하고 있잖아. 기본 가정과는 다른 거야. 그러니 우리가 12번 문항을 풀 때는 선지가 이론을 묻고 있는지 실제를 묻고 있는지부터 구별해 낼 수 있어야 해.
그러니 정답이 ①번이야. ①번은 그림에서 보여주는 실제가 아닌 기본 가정을 따르는 이론을 묻고 있기 때문이야. 3문단 4문장에서 온도 변화가 클수록 띠가 더 휘어진다고 했고 5문단 4문장에서는 이 힘은 띠의 끝이 최대 이동 거리에 도달하여 휨이 완료되었을 때 소멸된다고 했으며 5문단 5문장에서는 힘이 소멸되는 시점은 최대 이동 거리에 도달했을 때이고, 이는 최대의 곡률에 도달했을 때와 같다고 하고 있으니까 이들을 연결하여 결합해석을 하게 되면 T₀에서 T₁으로 올렸을 때보다 T₀에서 T₂로 올렸을 때 T₁<T₂이므로 a와 b 모두 T₁이 아닌 T₂에서 외부에 가할 수 있는 힘이 소멸되는 시점 곡률이 크다는 것을 추론해 낼 수 있는 거야. 나머지 선지들 역시 같은 원리로 다 해결할 수 있어. 그러니 이제 선생님이 □□□(이)라고 한 출제의 원리가 무엇인지 알겠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애초에 집 밖에 나갈 일이 없잖아
-
두시간동안 오르비만함 허허..
-
수능때까지 방에 쳐박혀서 시중에있는 모든 고난도 n제랑 실모 다 풀고싶다
-
뭔가 아쉬움이 보이는 걸까 오타 살짝 보이고 서술 좀 다르게 할 걸 그랬나 싶기도 하네
-
제 엠비티아이 9 0
이엔티피임
-
군대갔다오면 6 0
24살이네 쉽지않아.
-
내 MBTI 안궁금하냐??? 9 1
난 L O V E 임 LOVE임
-
걍 어느새부턴가 3 1
노래를 ㅈ같이 내는게 유행이된듯함 시발 르개라핌이맞는거같다
-
파티온 얘네 어떰 9 0
다이소에서 국소크림인가도 질럿는데 이거 효과 좋나여 얘네 세럼도 쓰고 잇삼
-
허들링n제 미적분 베리굿이네요 0 0
부분역함수 문제 앞쪽에 좀 많은거같은데 문제 ㅈㄴ 잘 만들어놓음
-
저 수학 기출 풀꺼임 4 0
ㄹㅇ
-
이거 홍대 되나요? 9 0
낮은과라도.. 안 되면 어디까지 되나요?
-
존나 짜증나는데 그 이유가 나 때문이라 더 화남 0 1
씨발 수능 잘봐서 인생 다 가진거 같은 성공한 느낌이였다면 세상이 아름다워 보였을거...
-
뭔가 하나를 하더라도 제대로 해야되는데 여러 분야에 걸치고 있다가 결론적으로...
-
컷이 높다
-
재채기 안하는 사람도 잇다던데 4 0
신기
-
아이돌 노래 좆같이 내기 시작한 시발점이 누구임? 8 0
하 시발 옛날 트와이스 레드벨벳 블핑때 같은 노래눈 다시 안나오는거임(?
-
취미가 씻기임 5 2
씻으러 들어가면 엄청 창의적이어짐... 작곡 아이디어나 문만 아이디어같은것도 좀...
-
배고프다 2 1
배고파배고파
-
배고픈데지금라면끓일가 10 3
들키면 등짝맞을텐데 엄마몰래라면 ㄱㄱ혓
-
내일 학교가야하네 2 0
-
졸리다 10 0
근데 모 고닉이 인증할거같아서 보고싶은데
-
과를 바꿀 수가 없음 3 0
과 바꿔서 가면 무조건 유급 당할거 같음
-
집에서썩은내남 3 1
몸과마음도썩어가고잇음
-
똥 2 0
이나먹어라 ㅋㅋ
-
좆같이 같잖은게 6 0
애매하게 노력해서 애매하게 성공했으며 애매한 능력으로 남 가르치려 드는거 지가...
-
왜 비몽사몽 안하지 9 0
일어나자마자 자연스럽게 오르비 눈도 걍 잘 떠짐
-
이야기에둘러싸여살아야겠다 0 0
인간관계라곤없는삶이니김독자처럼하는게맞지않을까
-
잠안와 7 1
잠안와잠안와
-
하요이가 라방 중이네 2 0
안 봐야지
-
난 과팅 나가서 한평 낮춰봄 6 0
한의대는 다들 이상한가봐 웅성웅성..
-
어는게 더 어려운가요?
-
왜 남자는 여대 못 감? 0 0
나도 여자 만나고 싶어
-
나보다 옛날 폰 쓰는사람있나 6 0
내꺼 xs인데 이제 노래들으면서 오르비보면 렉ㅈㄴ걸림
-
공부도 유전이란걸 2 0
인정 못하는 애들은 노력을 덜 했거나 본인 머리가 좋은데 난 순전히 노력으로...
-
왜 안 자요 7 0
주무세요
-
술담배 평생 안할거임 ㅁㅌㅊ 4 0
사실 못함 췌장이랑 간 진짜 안좋아서
-
친구들이랑 아이큐 멸망전 뜨기로 했는데 ㅋㅋㅋㅋ 0 0
순수재미로 ㅋㅋㅋㅋㅋ 아직도 일정은 못잡음
-
ㅇㅇ
-
내일이 오면 6 0
사라져버릴 것들에게 더 이상은 정을 주지 말자
-
졸업하면 남는친구 하나도 없네 2 0
걍 있어도 겉친이었음 다 그마저도 얼마 없지만..
-
왜 컴퓨터바이러스를 4 2
컴퓨터세균이나 컴퓨터곰팡이라 안부르고 바이러스라고했을까 사실 바이러스의 성질도...
-
암만봐도 작년 입시가 꿀이었어 3 3
의대증원에 올해보다 사람 수 4만은 더 적고
-
그렇다고 못생겼단 건 아닌데 눈 스타일이나 해서 뭔가 다 똑같이 성형한 느낌 ?...
-
올2인데 성대 가능할까요? 2 1
유리한 반영비도 뭔지 애매해서 대학라인을 가늠하기 애매하네요
-
남자 성형 인식은 왤케 안좋지 30 1
여자 성형은 요즘은 준 자기관리고 화장은 거의 디폴튼데 남자는 자연빵으로 잘생기게...
-
인생망한 본인스펙 ㅁㅌㅊ 13 0
179/88 비만 대학 7떨위기 수능 좆박고 지거국 적정 모쏠아다 친구없음 정신과...
-
하 수학 이 시발련 1 0
백분위 1 올리기가 왜이리 어려운거냐 이런 시발
-
인스타 따는건 머임?? 5 0
인스타 안하는 사람인데 제가 분석하기로는 아마 인스타에서 어떤 사람인지 대충...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