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망 [1148999]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5-11-22 19:57:00
조회수 450

한양대 오후 2 인문 복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58815

(가)의 ㄱ은 암묵적으로 구성원의 사회적 행동을 조정하는 공통의 앎의 파급력을 설명한다. 명시적인 법,제도,체제 역시 사회적 약속으로써의 공유된 앎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가)는 주장한다.

이를 토대로 (나)를 분석해보자. (나)의 임금은 허례허식에만 신경쓰는 전형적인 인물이다. 제봉사 형제는 공유된 앎을 이용해 임금으로부터 이익을 얻어내고 있다. 이는 구성원이 공유하는 앎이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신하는 형제가 전파하는 공유된 앎에 통제되는 이들이며 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하의 행동을 통해 ㄱ이 구성원을 통제하는 원인 중 하나로 사회적 위신을 유추해볼 수 있다. 백성이 임금의 모습에 놀랐음에도 옷을 칭찬하는 데에도 ㄱ의 영향력이 나타난다. 그러나 옷이 없음을 아는 백성들의 억제된 앎이 소년의 외침이라는 공통된 사건을 통해 공유된 앎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통해 지금 공유되고 있는 앎이 거짓일 수 있으며 

공통된 앎 또한 성찰과 비판적 해석의 대상임을 알 수 있다

공유된 앎이 거짓을 폭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없는 옷을 있다고 여겨 거짓을 정당화하는 점에서는 부정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ㄴ이 의미하는 공유된 앎의 이중적 면모인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다) .. 부터 기억안남


대충 해결책으로 b같이 혐오조장하는 애들 막는 법적 장치 마련이랑 언론 윤리, 개인적으로는 리터러시 능력 키우기 및 이를 교육적으로 지원이라 씀


근데 개 쳐망한거같아서 한양대는 ㅈㅈ 칠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