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대 T1 헷갈리는 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56812
2번 보기에 나온 법고창신 개념은 21학년도 논술에도 출제되었던 개념이에요. 여기 따르면 1번 조건에 “기존의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만든다“의 해석은 기존의 것을 변형시키는 것이기에 AI는 충족시키지 못 하는 조건으로 봐도 될 것 같아요. 물론 이 당시의 출제자의 생각과 지금 출제자의 생각이 다를 수도 있지만.. 과거 출제된 제시문과 초경집서 원문을 고려하면 1번 조건은 충족되지 않습니다. 근데 보기에 제시된 내용민 뚝 떼서 보면 논란의 여지가 있긴 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도 사실 응가를 싸본적 없어 4 2
배 아프면 그냥 위로 쭉쭉 역류시켜서 입으로 냠냠했음
-
근데 수능 신청 5 2
국사는 필수로 아는데 국어영어탐구 신청안하고 수학만 신청하면 셤안볼땐 대기실 가있나요
-
왜쫄리지 3 0
내 뒷모습이 만천하에 까발려지는 순간인가
-
시갤에서 본 짤 ㅈㄴ웃기네 5 1
부남 어감부터 뭔가 앰생같고 폭력적임 ㅋㅋㅋㅋ
-
한양대 상경 논술 4 1
인논 주제: 인공 임신 중절 수술의 도덕적 정당화 (나)는 (가)의 ㄱ에 대한...
-
드릴드 뒤에 숫자가 7 0
의미하는게 머임요?
-
시대인재랑 사설에 절여진 애들이 하는 말이라 추가적으로 기하 쉽다는 것도 가형...
-
이번에 좀 나대긴했어 4 5
28은 시도했어야지
-
어느 사이트에서는 47까지도 예상을 하더군요. 제가 수 년 간 평가원의 발자취와...
-
[생1 기출/N제 저자] 수능 생명과학1 과외 모집 3 0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설경 5 0
가능성 있나요?
-
과탐 2컷은 입시사이트랑 실제랑 다른경우 많음? 4 0
화학 42점인데 진학사 빼고 모든 입시사이트가 43점이 2등급컷이라고함 2등급컷이...
-
[단독] "학원 무단발췌 그만" 뿔난 문저협, 시대인재에 가처분 신청·형사 고소 3 1
[서울경제] 문학·학술·예술 분야 저작권 신탁관리단체인...
-
아 화난다 3 2
마구패고싶다 sips들을
-
이게 유행이라면서요 3 1
모 고닉의 요청으로 잠깐만 프변하겠습니다
-
진학사 555전략 어떤거같나요 3 0
성공하면 도파민, 실패하면 재수…
-
100% 확률로 존예녀 사진 3 3
-
99.9%의 확률로 설사짤 3 0
0.1%의 기적을 믿으렴 :)
-
걍 지피티한테 맡길까 했는데 이새기 존나 못만듦
-
ㅋㅋ
문제 자체가 비교.평가이고 과거 외대 비교.평가 문제 경향성을 봤을 때 그렇게 낼 거 같진 않아보이는데...만약 조건1이 아니라면 그 이유도 적어줘야할텐데 그 이유는 뭘까요?
법고창신의 핵심은 기존의 것을 변형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이 1번 조건이 제시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AI의 경우 지브리스튜디오의 화풍을 그대로 답습할 뿐 변형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1번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습니다. 오히려 (가)의 리히텐슈타인과 케데헌의 걸그룹이 1번 조건을 충족시키는 예로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작성자님 말씀대로 과거 논술기출이나 법고창신의 원래개념대로만 그게 맞을 수 있는데 논술문제에선 그런 걸 아는 걸 요구하지않으니 제시된 조건만 따지고보면 조건1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지않나요?
음… 물론 그럴 수도 있지요. 근데 정말 그렇다면 저는 외대에 법고창신의 개념을 이미 알고 있는 학생과, 과거 기출을 풀어본 학생 모두 바보로 만드는 시험이었다고 이의제기할 생각입니다
음 근데 논술이 배경지식으로 푸는 시험이 아니지 않나요?
외대에서 내놓은 선행학습 영향평가서를 보면 “출제 과정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참여시켰으며 고등학교 교육을 성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내용 이해에 어려움이 없었을 것“이라는 문구가 자주 등장합니다. 이것 자체가 논술이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을 배경으로 풀도록 만들어졌단 점을 함의합니다. 이는 상기한 제시문의 출처가 고등학교 생윤과 한국사인 점을 감안하면 더욱 확실해집니다.
이의제기 해봐야 교과 외 아니면 얄짤없이 기각엔딩인데
그리고 외대는 문제 자체가 정형화라서 제시문 몇번 읽어도 분류 자체가 깔끔하게 떨어짐
비교 및 평가인데
조건 1과 조건 2 둘 다 같은 실질적 의미로 주는게
외대의 형식인가요?
근데 형식이랑, 같은 실질적 의미로 주는게 무슨 상관인가요?
진짜 어느 쪽이라고 해도 납득할 거 같음.. 그냥 운에 맡기는것..
저도 조건1 충족안한다고 썻느네 하 ㅅㅂ개쫄리는데 뭐가맞는건가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