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ux] 환동 [925060]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5-11-22 17:22:43
조회수 2,766

왜 미적은 공통선택 틀리는게 비슷한데 확통 기하는 선택을 틀리는게 불리하느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56030


이거는 올해 9모의 결과를 가장 많이 참고해서 말씀드린거긴 합니다

선택과목 난이도는 개인적으로 9모 경향을 거의 유사하게 따라갔다고 생각을 해서 x, y 계수차도 거의 비슷하게 따라갈 것으로 생각을 했습니다.


확통은 거의 무조건 x계수가 더 크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아닙니다

확통이 어려웠던 22, 23수능에서도 이미 y계수가 더 크게 나온 전례가 있습니다

확통이 오랜만에 어렵게 나온거라 여러분이 잘 모르신거예요


22수능

23수능







기하 같은 경우는 y계수가 더 크게 나올 이유가 명확합니다

평균적으로 기하 선택자들이 미적 선택자들보다는 공통과목을 훨씬 못 합니다

근데 제가 위에 표시한 상수항 부분은 공통과목 평균에 크게 영향을 받는 부분이에요


그래서 보통 기하가 미적분이랑 표점이 맞먹어도 저 상수항은 거의 무조건 미적분이 더 높게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기하가 미적분이랑 만점 표점이 맞먹을때, 이 표점을 어디서 영끌해올까요?

여기서 영끌해옵니다. y계수가 미적분에 비해 확연히 큰 거 보이시죠?

그러면 이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바로 y가 큰 사람입니다. 즉, 선택과목을 잘 본 기하러가 미적분과 맞먹는 표점을 누릴 권리가 생기는거죠


둘이 만점 표점이 똑같은데 왜 미적 1컷은 88이고 기하 1컷은 88~89인가요? 라고 질문하시면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x계수와 y계수의 차가 크기 때문에 기하를 잘 봤으면 그래도 괜찮은데, 기하를 망쳤으면 89 같은 이상한데서 컷이 끊길 우려가 있어요


그래서 기하 선택해서 선택과목 22~26점 받으시는 분들은 진짜 탁월한 선택을 하신거긴 한데... 무슨 14점 같은 점수 받으시는 분들은 미적 가서 14점 받는게 표점이 1점이라도 높을텐데 차라리 미적으로 가는게 더 나은 선택이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










어... 그리고 미적 88 이상이 작수보다 올수가 더 적어야 하지 않냐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작수 같은 경우에는 88 이상자의 인원 분포가 88, 92, 96, 100에 적절히 분산된 반면

올수 같은 경우에는 92, 96, 100은 작수보다 줄어들거고 그만큼 88에 몰빵된 분포일겁니다

88이랑 92 받는 난이도가 천지차이인 시험이었으니까요


92 이상자의 비율은 올해가 더 적은게 자명한데 88 이상자는 올수랑 작수랑 크게 차이나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예측글에도 말씀드렸듯이 3문제를 제외하고는 1등급 수준에서 틀릴만했다고 봐줄 문제가 하나도 없습니다

rare-matplotlib rare-OpenAI rare-Jupyter NB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