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헷 현역 물2지2러 [1373439]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11-21 14:56:51
조회수 2,419

난이도 배치의 중요성[수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25374

면접이 끝나서 수능 얘기를 써보려 합니다(사실 모고 홍보임)


일단 전 a*b가 아니라 a*c (점 B의 x좌표)로 구해서 449로 답 적고 틀려서 96점입니다..


시간은 7~8분정도 남았어요




평소 실모 풀때, 6모 9모 다 시간 남은적이 없었는데 더 어려웠던 수능에서 시간까지 남기고 고득점을 할수 있었던 이유가 뭐였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수능이랑 똑같은 주요문항 난이도 배치의 모의고사 세트를 푼 적이 있어서 입니다

사실, 그냥 푼 정도가 아니라...


예 제가 만든 모의고사입니다ㅋㅋ

https://orbi.kr/00074241158


14번

수능

투투모


기존 평가원 도형에 비해 계산 많고 어렵습니다



21번

수능

투투모


현재 수능에서 미적, 공통 다 합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되는 문항입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요.

투투모 21번도 저 시험지 세트에서 가장 어려웠습니다.

정답률이 거의 0%였던것으로 기억해요


22번

수능

투투모

제제는 달라도 난이도는 비슷해요

일단 수능 22는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쉬웠을거고

누군가에게는 엄청 어려웠을겁니다.

투투모 22도 비슷해요

어렵다는 평이 대부분이었지만 중간중간 쉬웠다는 사람들도 있었어서..

정답률도 꽤 높았습니다

누군가의 풀이...

저거처럼 투투모, 수능 둘 다 숫자 감각 좋으면 바로 풀리지만 

그렇지 않으면 한참을 헤메야 한다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미적 28번

수능

투투모

둘다 겉보기에도, 실제로도 크게 어렵지 않은 문제입니다


미적 29번

수능

투투모

둘다 무난한 수열 문제입니다. 

다만 계산은 수능이 좀 더 많고 난이도 자체는 투투모가 좀 더 어렵긴 해요


미적 30번

수능

투투모

둘다 실제로 풀면 별거 아니지만, 겉보기 난도 때문에 체감 난도가 확 올라간 문제입니다.


저는 수능 끝나고 30번이 쉬웠다는 평이 대부분일줄 알았는데 다들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겉보기 난도에 쫄지 않는게 굉장히 중요한거 같습니다.




결론


물론 각 문항의 소재가 14번을 제외하면 다르긴 하지만, 위에 쓴 주요문항 5개의 상대적 난이도는 21>30>>>>14=28>29라는 점은 26수능과 투투모 모두 같았습니다.


15번은 예외적으로 수능은 매우 쉬웠고 투투모는 어려웠지만, 나머지 주요문항만 보면 상대적인 난도 배치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난이도 배치로 낸 실모가 투투모가 유일하기에

(혹시 이외에 수능과 유사한 난이도 배치의 실모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제가 푼것중에는 이런 난도 배치 못본거 같아서..)

투투모를 제대로 풀었다면 본인 실력보다 최소 4점은 올랐을겁니다.


생각보다 다양한 난이도 배치의 실모를 풀어보는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사설에서 9번부터 막힌다고 욕하지 말고, 최대한 다양한 상황을 풀어보는게 27 수능 대비의 핵심이 될듯 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