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크랙 [1418652] · MS 2025 · 쪽지

2025-11-21 12:28:23
조회수 306

[칼럼] 10/10편 - 대학 원서라인 스스로 잡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23300

이번 10편은 실제 수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두 학생의 의사결정 과정을 비교하는 글입니다.

두 학생의 점수대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계열 선택 → 군별 흐름 판단 → 진학사 모의지원 추적 → 학과별 변동성 해석 과정에서 의사결정이 갈리면서 최종 합격 여부가 극명하게 달라진 사례입니다.





1) 합격 사례 – 상경계열 희망 학생 (국88 수92 영1 탐89)


① 학생의 목표와 전제 조건


이 학생은 상경계열을 희망했고

기본 목표는

중앙대 상경 > 경희대 경영 > 건대 경영

순으로 선호했습니다.

과감한 상향보다 현실적 상향 + 확실한 적정을 원하는 스타일이었습니다.


② 당시 분포에서 이 점수대의 의미


국수탐 평균 백분위가 약 90대 초반이면

올해 분포 기준으로 상위권에 가까운 중상위권입니다.

상위권 인원이 예년보다 적기 때문에

상향 가능 영역이 넓은 점수대입니다.


다만 가군에서 상위권 몰림 현상이 강해

가군 상향은 불리하고

나군 상향이 유리한 구조가 반복되었습니다.



③ 진학사 모의지원에서 확인된 흐름



이 학생의 진학사 모의지원 기록을 추적해보면

가군에서 중앙대 경영·한양대 파이낸스 등

상향 포지션 학과에 상위권이 집중되고 있었고

반대로 나군 중앙대 사회과학, 경희대 경영은

상위권 비율이 예년보다 낮았습니다.


즉 가군 과열 / 나군 완화 패턴이 명확했습니다.

이 학생이 상향을 시도할 군은 나군이라는 결론이 자연스럽게 나옵니다.


④ 최종 원서 구성


가군: 경희대 경영 (사실상 실적정)

나군: 중앙대 사회과학대학(상향 적정 조합)

다군: 숭실대 경영학부(안정)



⑤ 실제 결과


가군 불합격

나군 합격

다군 추가합



⑥ 왜 합격했는가 (구조적 이유)


  1. 나군을 상향군으로 정확히 선택함
    올해 나군은 상위권 분산 → 컷이 내려가는 군
    이 학생 점수대에서 나군 상향은 확률적으로 가장 유리했습니다.
  2. 가군 상향을 배제함
    가군 상향몰림 + 중상위권 겹침 → 컷 상승
    가군에서 상향을 배제한 결정이 합격률을 높였습니다.
  3. 다군 안정 선택이 정확함
    다군 충원율이 높은 전형을 선택해
    추합 가능성이 높은 구조를 확보했습니다.


즉 당시 구조(분포 + 군별 흐름 + 충원율)를

정확히 반영한 조합이었고,

가군 실패에도 전체 전략이 흔들리지 않도록 설계된 점이

결정적인 합격 요인이었습니다.



2) 불합격 사례 – 상경계열 희망 학생 (국85 수88 영2 탐84)


① 학생의 목표와 우선순위



컨설팅을 받지 않았던 이 학생 역시 상경계열을 희망했고

건대 경영 → 경희대 경영 → 동국대 경영

순으로 선호했습니다.


즉 선호 자체는 앞선 사례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② 당시 분포에서 이 점수대의 의미



백분위 85~86 구간은

2024 수능 분포에서 가장 복잡한 구간입니다.

중상위권 밀집 구간이라 동점자·근접점수대가 매우 많고

상향 성공률이 가장 낮은 구간입니다.


따라서 상향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구간이며

특히 가군 상향은 절대 금물인 점수대입니다.



③ 진학사 모의지원에서 관찰된 흐름



이 학생 모의지원 기록을 추적해보면

가군 건대 경영·경희대 경영 같은 인기 학과에

상위권과 중상위권이 동시에 몰리고 있었습니다.

즉 가군은 올해 상향 포지션이 아니라

중상위권까지 경쟁을 가중시키는 “밀집군”이었습니다.


반대로 나군은 상위권이 빠져나가서

컷이 내려갈 신호가 여러 번 포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학생은 이 흐름을 그대로 무시하고

가군을 상향군으로 오판했습니다.



④ 최종 원서 구성



가군: 건국대 경영 (상향)

나군: 경희대 경영 (상향에 가까운 소신)

다군: 국민대 경영 (적정)


즉 가·나군 모두 상향이 되어버린 조합입니다.

실질적으로 안정이 없는 구조였습니다.



⑤ 실제 결과



가군 불합격

나군 불합격

다군 예비 150번



⑥ 왜 불합격했는가 (구조적 원인)



  1. 점수대 자체가 상향 불가 구간임을 모름
    85~86 구간은 올해 상향이 거의 막힌 구간이었는데
    가군 상향을 강행함.
  2. 가군 군별 난이도 오판
    가군은 상향 몰림군 → 중상위권에게 최악
    여기에서 상향을 넣은 시점에서 실패 구조가 확정됨.
  3. 나군을 적정군으로 활용하지 못함
    나군 컷이 내려갈 신호가 있었음에도
    나군을 안정·적정으로 활용하지 않고 소신을 선택함.
  4. 안전판 부재
    다군 적정은 위험군이며
    올해 다군은 안정으로 써야 예비권 확보가 가능했음.


최종 요약



같은 계열

비슷한 성적

비슷한 선호

비슷한 대학군을 보고도


결정 과정이 달라지면 결과는 완전히 갈린다.


합격 사례는

분포 → 군별 난이도 → 모의지원 흐름 → 충원율

이 순서로 구조를 읽고 배치했고


불합격 사례는

선호 → 작년 입결 → 감 → 경쟁률

이 순서로 판단했습니다.


앞선 글을 읽고 위 분석을 보셨다면 많이 이해하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라도 감이 잡히셨다면 팔로우 좋아요 부탁드려용~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