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유 [1013346] · MS 2020 · 쪽지

2025-11-20 19:10:14
조회수 54

(교양 문제) 만족스런 답에 1000덕 드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707464

Q. 양안전쟁과 한국전쟁의 연관성과 연동성을 과거와 현재로 서술하시오




(진짜로 만족스런 답 써주시면 1000덕 더 드릴게요)

rare-윈터 아마멘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클러치 능력 · 1305014 · 16시간 전 · MS 2024

    한국전쟁은 냉전 시기 즈음 과거에 발생한 사건으로 자유주의 진형의 지원을 받는 대한민국과 사회주의 진형의 지원을 받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전쟁이다

    양안전쟁은 현재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건으로 사회주의 노선을 채택한 중국 본토와 자유주의 노선을 채택한 타이완 사이의 전쟁이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1.하나의 민족 사이에서 발생한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전쟁을 야기하였다
    2.민족 안에서의 전쟁에 국한되지 않고 미국 중심의 서방 자유주의 세력과 반미국적 세력 사이의 충돌로 확장된다
    (여기까지가 연관성/연동성 기준 내용)

    차이점은
    1.주체의 상이성
    두 사건 모두 미국과 반미국 세력 사이의 충돌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과거 한국전쟁 시기에는 소련 양안전쟁의 가능성이 높은 현재는 중국이 반미국 세력의 중심이라는 점에서 충돌의 주체가 상이하다
    2.전력의 비대칭성
    과거 한국전쟁 시기에는 남측과 북측 사이에 군 전력의 차이가 근소하였지만 현재 양안전쟁은 중국 공산당측과 타이완 측의 전력 차이가 크다
    3.미국의 적극적 개입 정도
    한국전쟁 시기에는 한반도가 동아시아 장악에 중요한 요충지이였기 때문에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였지만 현재 양안전쟁에는 미국의 정책 방향성과 국제 관계의 변화로 인해 미국의 개입이 과거만큼 적극적이지 않다

  • 리멤버유 · 1013346 · 16시간 전 · MS 2020

    국공내전 막바지 1949년 10월 24일부터 27일 벌어진 구닝터우 전투의 국민당 승리와 이듬해 한반도 전쟁 발화로 공산당은 금문도에 대해 철수를 하게 된다. 이때를 기점으로 대만의 국경이 확정 되었으며 애치슨 라인이 발표된 1950년 1월 이후 동아시아에 공산세력의 확대와 한반도 전쟁에 위기감을 느낀 미국및 유엔군이 참전한다. 국공내전의 종식과 한국전쟁의 시작은 서로 연결 되어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굴기가 있는한 불안한 미래로 남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제2차 한국 전쟁 발발시 미중러 유엔 상임 위원국은 한반도로 전장을 국한시킬 확률이 높으며 북한 지역에 대한 중러미한 4개국의 신탁통치가 될 가능성이 높다(동독, 서독) 대만의 사례는 센카쿠열도(다오위다오)의 일본 해상 자위권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인민해방군과 서태평양을 작전반경으로 하는 미 제7함대의 역량에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