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17번 이의제기 관련 궁금증, 의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90746
이는 칸트의 견해이기는 하나 ‘주관’을 ‘영혼’으로 대체하면, 지문에 설명된 칸트 이전 견해의 내용과 충돌하지 않습니다.
즉, 선행하는 영혼에서 사유된 내용이 후행하는 영혼에 온전히 전달되고 그 사유가 동일하게 ‘나’라는 이름하에 사유된다면, 복수의 영혼으로 구성된 사유 주체가 이를 동일한 인격을 마주치는 것으로 의식할 수 있고, 이 경우 인격의 동일성, ‘생각하는 나’의 동일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단순화하면, 손흥민 선수의 영혼이 새로운 영혼으로 대체되면서 손흥민 선수가 사유한 내용이 새 영혼으로 온전히 전달되고 이 사유가 동일하게 ‘나’라는 이름하에 사유되면, 손흥민 선수의 영혼도 ‘생각하는 나’이고 새 영혼도 ‘생각하는 나’이고 그리고 ‘생각하는 나’는 지속하지만, 영혼이 지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각하는 나’가 지속한다고 해서 영혼이 지속하는 것이 아니게 됩니다.
위의 글은 이해황 선생님의 이의제기 게시글의 내용인데, 이 부분 관련해서 궁금증이 있습니다.
지문에 따르면 칸트 이전까지의 견해에 있어서 인격동일성은 《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 》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의제기 글에 따르면 위 예시(손흥민 예시)의 경우는 '인격의 동일성이 확보되는 상황'인 한편, '영혼이 지속하는 상황'은 아닙니다.
그런데, 수능 지문에서 몇 가지 형용사, 부사절을 제거하고 핵심만을 남기면 (칸트 이전까지의 견해에 있어서의) 인격동일성은 '( ~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어쨌거나 '영혼이 지속'해야만 인격동일성이 충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석에서 본다면 이의제기글의 내용 중, '영혼이 지속'하지 않으면서도 '인격의 동일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이 칸트 이전 견해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소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에 대해서 다들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 어쨌거나 이 글의 요지는, 이의제기글과 같은 반례를 드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없는지는 차치하고서라도, 애초에 이의제기글에서 제시하신 반례의 내용에 있어서도 지문과 상충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는 것입니다.
#오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합7최저 충족률 1 0
얼마나 되려나요?
-
문과 삼반수 ㄱㄴ? 5 0
다른 이유는 아니고 고대가 가고 싶음 로스쿨이라도 좋으니까 고대가고싶은데 솔직히...
-
근데 사탐은 이쁜 선생님이랑 함께 하는 거 아니었음? 5 1
왜 쌍지 가니까 아저씨가 있는거임…
-
대학 상담 좀 부탁 6 0
이 성적이면 경희대 경제나 나군 중앙대 ㄱㄴ? 불가면 어디 갈 수 있음 재수생 살려ㅠㅠ
-
근데 69평 지로 22번도 예비시행 한번만 봤으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함 2 0
절대 막 대단한 예측력 이런 건 아니라고 생각함
-
많음?
-
수능 수학 2등급 이상 애들이 50퍼이상이겠죠?? 와...
-
일단 선택권이 지들한테 있다는걸 무의식적으로라도 전제한거잖아 씨발
-
무당도 아니고 펑날 과를 대체 어케 미리 예측함
-
부의가 그 정도라고? ㄷㄷㄷ 6 0
걍 고신대랑 비슷한줄
-
하..
-
내가 경험한 어른들의 거짓말 2 3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 아님 늦게 자면 키 안 큰다 - 누군가한텐 아님 대학...
-
포스텍에 철학과가 있는 이유 6 1
"철"학과
-
외모 맘에 안드는 이성이랑 노는것은 시간낭비다? 4 0
외모 맘에 안들어도 같이 노는건 좋다vs차라리 혼자있는 게 더 좋다
-
지거국 고고혓 4 1
나는 이번생에 인설은 안될거같다....
-
난 MS 2021 5 1
M생 SINCE 2021 라는거임 실제로 그때부터 수능의 시작이엇으니까
-
뱃지 왜 안달리냐... 1 0
가입하자마자 신청햇는데
-
아니 시발 이제 2010년생이 고닥교 입학한다고? 3 0
1n년생이냐 이제 시발
-
진짜 피곤하다 5 0
집가자마자 밥먹고 바로 자야지
-
[칼럼] 8/10편 - 대학 원서라인 스스로 잡는법 5 1
이편에서는 실제 합격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판단 기준을 추상적 전략이 아니라...
오류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다 그렇게 생각할걸요? 애초에 칸트이전은 받아들이지도 않을 전제를 바탕으로 한 손흥민 반례는 의미가 없어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