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17번 오류, 이의제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87709


지문 내에서 칸트 이전의 견해가 1. 단일한 주관 , 2. 영혼의 지속을 통해 동일한 인격체가 보장된다고 했는데.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을 통해서 동일한 인격체가 보장되지 않는다고 하는 갑의 입장을 어떻게 부정함.
평가원은 누가
오늘 저녁밥을 먹기 위해서
운동도하고 공부도 해야한다라고 말한 거 보고
운동만 하면 저녁밥 먹을 수 있구나로 해석함?
현장에서 답 없어서 뺑뺑이 돌렸던 거 생각하면 화 개나는데
‘만‘이란 보조사를 왜 생각없이 쳐쓴거지
지금까지 본 17번 이의제기에 대한 반박글 특
97% 나는 맞췄으니 문제 없음
3% 개소리 or 말 자체를 이해 불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과 삼반수 ㄱㄴ? 6 0
다른 이유는 아니고 고대가 가고 싶음 로스쿨이라도 좋으니까 고대가고싶은데 솔직히...
-
근데 사탐은 이쁜 선생님이랑 함께 하는 거 아니었음? 5 1
왜 쌍지 가니까 아저씨가 있는거임…
-
대학 상담 좀 부탁 6 0
이 성적이면 경희대 경제나 나군 중앙대 ㄱㄴ? 불가면 어디 갈 수 있음 재수생 살려ㅠㅠ
-
근데 69평 지로 22번도 예비시행 한번만 봤으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함 2 0
절대 막 대단한 예측력 이런 건 아니라고 생각함
-
많음?
-
본인 수분감 공통 2회독 듣고있는데 다른강사 기출은 다를까 궁금해서...
-
수능 수학 2등급 이상 애들이 50퍼이상이겠죠?? 와...
-
일단 선택권이 지들한테 있다는걸 무의식적으로라도 전제한거잖아 씨발
-
무당도 아니고 펑날 과를 대체 어케 미리 예측함
-
부의가 그 정도라고? ㄷㄷㄷ 6 0
걍 고신대랑 비슷한줄
-
본인은 외대에서 로스쿨 트랙을 밟고 있고, 주변에 로스쿨 교수, 로준생, 로생 등을...
-
하..
-
내가 경험한 어른들의 거짓말 2 3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 아님 늦게 자면 키 안 큰다 - 누군가한텐 아님 대학...
-
외모 맘에 안드는 이성이랑 노는것은 시간낭비다? 4 0
외모 맘에 안들어도 같이 노는건 좋다vs차라리 혼자있는 게 더 좋다
-
지거국 고고혓 4 1
나는 이번생에 인설은 안될거같다....
-
난 MS 2021 5 1
M생 SINCE 2021 라는거임 실제로 그때부터 수능의 시작이엇으니까
-
뱃지 왜 안달리냐... 1 0
가입하자마자 신청햇는데
-
아니 시발 이제 2010년생이 고닥교 입학한다고? 3 0
1n년생이냐 이제 시발
-
진짜 피곤하다 5 0
집가자마자 밥먹고 바로 자야지
-
[칼럼] 8/10편 - 대학 원서라인 스스로 잡는법 5 1
이편에서는 실제 합격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판단 기준을 추상적 전략이 아니라...
그니까요 받아들여져서 억울함이해소되기를바랍니다
이런 거 보면 수능이고 뭐고 다 개좆같은게 제대로 풀은 나는 개손해보고 3번은 절대 아니다 하고 샤프 굴려서 찍어서 틀리고
누구는 대충 풀었기 때문에 맞춤.
인생 불공평하다는 걸 미리 알려주는 거야 뭐야
갑의 보기 첫 문단이 칸트 이전 견해에 반대되는 내용이라서 그렇게 해석하면 안될 것 같아요
‘그러나‘라는 접속사가 어디까지 부여된 것인지도 명확하지 않을 뿐더러.
A는 B와C라고 했다
그러나
D는 E라고했다 라고해서
A가 B,C를 말했던 것이 부정될 순 없습니다.
또한 E의 반대가 B와C일 필요도 없습니다
나는 정석민 강의를 들었다
그러나 너는 강민철 강의를 들었다 라고 해서
나가 정석민 강의를 안 들은 게 아닐 뿐더러
강민철의 반대가 정석민도 아닙니다
칸트 이전 견해의 내용은 생각하는 나= 영혼 = 단일한 주관=자기의식 아닌가요? 이걸 반박하는 내용으로 갑의 주장이 신체가 아닌 자기의식의 동일성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이 보장이 되지 않는다는거구요 저는 현장에서 이렇게 읽고 풀었어요
1. 생각하는 나 = 영혼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 볼만할 여지가 있는 부분이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 이 부분인데
A인 B가 C하는 것이 A=B의 완전한 같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직사각형인 정사각형은 네 각의 합이 360도 이며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직사각형. = 정사각형은 아닙니다.
같다고 할 수 없습니다.
2. 영혼 = 단일한 주관
지문 내용 중 ‘생각하는 나‘인 영혼의 단일한 주관으로서의 지속이 동일한 인격체를 보장한다는 표현이 있습니다.
생각하는 나인 단일한 주관의 단일한 주관으로서의 지속이 동일한 인격체를 보장한다.
비문입니다.
영혼 = 단일한 주관이 아니며
단일한 주관으로서의 존재는 실재성을 의미합니다
( 칸트는 생각하는 나의 단일한 주관으로서의 실제로 존재 즉, 영혼의 실재성 이라는 지문 내용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자기의식은 칸트 견해 이후에 나온 표현으로
자기의식 = 나는 생각한다 라는 인식을 하는 것으로 명시되어있습니다 같다고 볼 여지가 없습니다
지문상에서 칸트 이전의 핵심 견해는 결국, 생각하는 나가 단일한 주관으로서 통시적인 흐름 속에서 실재함-> 따라서 인격은 동일하다라는 건데요. 갑의 주장은 보기에서 나와있듯이 생각하는 나의 지속 + 동일한 신체 -> 동일한 인격이라는 얘기입니다. 즉 갑은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이 아닌 동일한 신체 역시 무조건 요구하는 입장인 것이고, 칸트 이전의 견해는 동일한 신체는 있거나 말거나 상관없이 결국 생각하는 나가 통시적인 흐름 속에서 존재만하면 된다는 얘기지요. 반대로 3번 선지가 틀렸다고 가정한다면, 칸트 이전의 견해는 생각하는 나의 지속이 아닌 다른 무언가를 더 요구한다는 얘기가 되는데 이건 모순입니다.
칸트 이전과 칸트의 대립점은 의식이라는 키워드 안에서 단일한 주관이느냐 vs 복수의 주관이느냐로 갈리는 것이기 때문에, 지문에서 명시되어있듯이 칸트는 의식만을 인격의 구성 요소로 본 반면 갑의 주장과 대응되는 스트로슨은 의식과 신체를 인격의 구성 요소로 봤다는 부분에서 칸트와 칸트 이전의 견해가 모두 의식만을 인격의 구성 요소로 봤다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3번 선지는 옳습니다
실재랑 존재는 다른 개념입니다
시간의 통시적인 흐름에 존재하기만 하면 된다 <- 이 부분이 오류입니다
단어를 오인하신 거 같습니다
통시적인 흐름에서 실재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