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번 이의제기 아마도? 확실한 반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85033

위 사진에서 보듯
지문 3문단에는 "영혼이 자기의식을 한다" 와 "생각하는 나는 생각한다" 가 같은 의미라고 되어 있습니다.
'자기의식'이 '나는 생각한다'로 지문에서 제시된 것을 고려하면, 위 두 문장이 같은 의미라는 것은 (적어도 이 지문에서는) '영혼'이 '생각하는 나'와 같게 취급해도 되는 단어임을 함축합니다.
그러므로 이충형 교수님께서 PDF에서 제시하신 핵심 1과 핵심 2 모두 성립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교수님께서는 지문 내에 제시된 두 개념(생각하는 나-영혼) 사이의 연결고리가 2문단에 있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 이라는 표현 하나뿐이라고 하셨는데, 아마 저 부분을 못 보셔서 그렇게 생각하신 듯 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정 전 마지막 수능은 불임? 3 0
보통 어떻지 궁금하네
-
지역의사제 티오 지역인재는 입결 어디까지 떨굴까? 1 0
ㄹㅇ
-
부산교육청이 거의 정확한거죠? 3 0
24땐가 25땐가 거의 정확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저기가 틀리기도 하나요?
-
나 약간 6 0
의사소통에 장애있는거같음
-
자꾸 이런 창 뜨는데 어케해야하나요 저거 체크표시를 다해도 지랄 아예 안해도 지랄...
-
'쯔양 협박' 구제역, 구치소 수감 중 은퇴 선언 "너무 많은 분들께 상처 입혔다" 7 2
[파이낸셜뉴스] 구독자 1000만명을 보유한 먹방 유튜버 쯔양(28·본명 박정원)을...
-
이슨타 구독 아테 췻함? 2 0
잘놋눌름
-
카관의 쓰실 분들 조심하세요 3 0
학자금대출,국가장학금 아무것도 안됨 님들 돈 내고 다녀야됨 근데 의대 갈 정도면 부자라서 괜찮으려나
-
교육청 등급컷이 뭐에요? 3 0
교육청이 등급컷을 예상을 원래했었나요? 공식 등급컷은 평가원이 내는거 아닌가요?...
-
수능만점자들 신상은 1 0
강제로 공개되는거임?
-
시대 추정 81인데 진짜 정병 오지네요 하 공통 3틀 기하 2틀인데 ㅅㅂ...
-
미적 1컷 88 아님? 5 0
왤케 현실 부정하는 애들이 많지 ㅇㅅㅇ?
-
보통어느정도면 교수님들이 서울대에서 공부가능하다고 생각하실까요, 2 0
보니까 정시 3등급중후반도 합격하고 내신이 5-6도 합격하고 그러던데 몇등급이면...
-
연고대 낮은 과 갈 수 있을까요?
-
내년 생1이 아무리그래도.. 2 0
투과목보다는 낫겠죠?
-
메가패스 질문 2 0
예비 고3인데 3학년때 사회문화 윤성훈 선생님 강의 들으려고 하는데 메가패스를...
-
수2 할땐 쎈발점 했는데 계산 많아서 개짜증났는데 킥오프가 수능용쎈이라고 들어서...
-
작년에 나도 터진 건 아니었는데 유난히 잉크가 많이 나왔어서 번지고 컴싸 이상했다고...
-
이래도 지랄 저래도 지랄 1 0
세상은 초라한 모습을 날것 그대로 보여주면 왜 그것밖에못함? ㅂㅅ내가 해도 그것보단...
-
내일부터 헬스장 간다 2 0
김종국 흑자헬스 윤성빈 딱기다려 형이 너네 따잇해줄게 40년 뒤엔 내가 따잇 ㅆㄱㄴ이여 으흐흐흐흐


지문 내에서 칸트 이전의 견해가 1. 단일한 주관 , 2. 생각하는 나의 지속을 통해 동일한 인격체가 보장된다고 했는데.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을 통해서 동일한 인격체가 보장된다고 하는 갑의 입장을 어떻게 부정하나요
조건이 두 개 있는데
위 문장에서 주어 부분을 대치시켰기 때문에 두 개념의 의미가 같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칸트의 설명이 칸트 이전 유력한 견해에 곧바로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은 일단 차치하고, 논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생각하는 나는 생각한다'라는 말은 동어반복인 명제로서, 항상 옳지만 실존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해당 부분에서 암묵적 전제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영혼은 생각하는 나"이므로, '생각하는 나' 대신에 영혼을 넣어도 진리치는 유지된다는 것 정도이고, "생각하는 나는 항상 영혼과 동일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필요충분관계가 아닌데 왜 두 전제를 다름없다고 표현했느냐? 맥락상 이는 해당 명제가 항상 타당한 동어반복일뿐 실존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비유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파이썬은 용이다. = 영혼은 자기의식을 한다. (원래의 두번째 전제)
파이썬은 드래곤이다. = 영혼은 생각하는 나다. (변형을 위한 암묵적 전제)
드래곤은 용이다. = 생각하는 나는 생각한다. (동어반복, 변형된 두번째 전제)
--> 원래의 두번째 전제를 바탕으로, 영혼은 인격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의식의 개념이 다르므로)
즉, 개념상 파이썬은 용이라는 전제를 받아들인다고 해서 파이썬이 실제로도 존재한다고 단정하는 것은, 마치 드래곤은 용이라는 명제(동어반복)가 참이므로 드래곤은 실존해야 한다고 도출하는 것과 같이 부당한 것입니다. 이는 영혼이 자기의식을 한다는 전제를 받아들이더라도, 이는 기껏해야 생각하는 나는 생각한다는 동어반복과 마찬가지로 공허한 것이고, 영혼이 실존한다고 믿을 만한 근거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만 두 명제는 다름없는 것입니다. 위 논증의 과정에서 영혼이라는 주어를 생각하는 나로 대치했다고 해서, 생각하는 나는 항상 영혼이라고 등치했다는 것은 오해입니다. 이는 드래곤의 개념에 파이썬만 존재한다고 말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생각하는 나 -> 영혼의 관계는 해명되지 않은 상태이고, 갑이 말하는 프로그램 재현의 사례는 실제로 영혼에 이르지 못한 생각하는 나로 평가될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사료됩니다.
더 변형해서 말해본다면, 사과는 사과라는 명제는 오렌지는 오렌지라는 명제와 다름이 없지만, 사과가 오렌지와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