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95점 언 1 문1틀의 국어 커리큘럼 가이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79029
법지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요?
생명과학 지문에서는요?
떠오르셨나요?
질문을 듣고 3초안에 떠오르지 않았으면, 제가 추천하는 대로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겁니다.
일단 저 질문들에 대한 답을 머리에 박아야 합니다.
정답만 알면 된다는게 아니고, 왜 그런지를 같이 알아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 가장 좋은 것은 강의입니다.
기초를 만들기 좋은 선생님은 김승리 선생님이라고 생각해요. 올오카 정말 좋은 강의라고 생각합니다.(올해 듣지는 않았지만)
그냥 피지컬로 풀기 급급했던 내게 체계적 골조를 만들어준 강의였습니다. 아까 한 질문들에 대한 답도 당연히 찾을 수 있습니다.
근데 개인적인 생각으로 그 다음 커리를 계속 쫓아가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작년에 올오카 듣고 올해 김승리 kbs 찍먹만 한건(그럼에도 불구하고 kbs 영상화는 진짜.... 빅플릭스 너무 좋았습니다.)
1. 이 선생님 너무 적중에 대한 강박이 심하다.
앱스키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적중에 대한 강박은 수험생도 은연중에 영향을 받습니다. 사실 연계라는게 맞추면 좋고 아니면 말고지. 집착하게 되면 괜히 신경쓰인단 말이에요?
독서 문항배치도 그냥 사실 뭐 가나지문이 앞에 나와도, 맨 마지막에 나와도 상관없이 그냥 신경 안쓰고 풀면 되는데, 너무 많은 것에 집착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오카는 꼭 한 번 들어야 할 강의라고 생각해요. 들어보십쇼. 국어라는 건물을 짓는데에 골조를 세워줄 겁니다.
김승리를 그만 들으라는 건 그러면 인강을 드롭하라는 소리냐?
아닙니다.
이원준 선생님의 브레인크래커로 가십시오. (정석민 선생님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들어보지는 않았지만 pcr 16번에 대한 설명은 정석민 선생님의 설명이 합리적인 설명이라고 생각, 그리고 다른 디테일적인 부분도 분석서 보면 좋았음.)
대성에서 메가로 가는거라 금전적 부담이 있기는 하겠지만, 단언컨대 인강 선생님들 중 국어 goat.입니다.
가끔가다가 사소한 오류들이 조오금 있기는 한데(pcr 16번을 양/질로 설명한다던가 이거 양/질 맞습니다. 제가 착각했어요.) 국어력(비문학의 힘)이 가시적으로 오르는 강의였습니다. 브크 듣고 리트 300까지 부숴주면 됩니다.
근데 문학은 좀 다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 문학에 너무 많은 판단 원칙을 만들면 안됩니다.
문학은 디테일이 전부거든요. 그래서 김승리 선생님 올오카로 골조 만들어 준 다음에 스스로 기출 분석하면서 평가원의 오묘한 선지 판단 기준을 직접 느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 다음에는 국어 양치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푸세요.
국어 모의고사 LIST(개인적 평가)
1. 이감 - 단언컨대 국어 모의고사 GOAT 현장에서 응시하면 더 좋음.
2. 바탕, 한수 - 적당한 난이도의 멘탈 유지용으로 풀어보면 좋은 모의고사
3. 김승리 모의고사- 문학의 오묘한 맛. GOAT.
4. 강k- 이정수 현강응시반 이거때매 듣다가 막바지 급격한 퀄 하락으로 드롭함.
5. 상상,서바- 서바는 2회차정도만 풀어봤는데, 출제진이 같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묶어서 놓음.
얘네 둘은 수능 보기 전에는 너무 과하다는 생각이 들었음. 시간이 항상 5분정도 부족했음. 선지의 구성은 좋은데도 불구하고. 그래서 하반기 수능대비용으로는 부적절하다. 이감도 시간이 남는데 이 괴랄한 난이도는 뭐지?... 했는데 수능보고 나니까 생각이 달라짐. 이 난이도로 연습해야 합니다.
수능장에서 마지막에 시간이 부족했고, 급박하게 매체를 풀었습니다. 상상 모의고사의 난이도는 26 수능을 연습하기에 "대단히" 적합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수능 보기전에는 너무나도 과하다고 생각해서 드롭했지만, 내년에는 빠짐없이 풀 모의고사입니다.
언매는 김승리의 선택 들으시고, 파이널은 전형태 선생님이나 강민철 선생님 괜찮습니다.(김승리 쌤은 너무 언매 파이널 개강 시기가 늦어요.)
내년을 위해 저만의 기록장을 만들다가, 올해 오르비 본채만채님 칼럼에서 도움을 많이 받은게 떠올라, 혹시나 도움이 될까 싶어서 공개용으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6년생#07년생#08년생 smart is sexy 35 15
-
27수능 국어 난이도 2 1
22독서 24 문학 26언매
-
스타듀벨리 해본사람 0 0
ㅈㄴ 심심한데 폰으로 이거라도 해볼까
-
철학과 교수 “수능 국어 17번 정답 없어”…“지문에서 벗어난 해석” 3 6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
08이 최대 피해자 2 0
개정 전 마지막 수능 + 올수 불수능 >>> 역대급 표본
-
잇올 내일부터 등원합니다 23 5
저는 쉴 자격이 없어요 일주일이면 많이 놀았네요
-
ㅈ됐네
-
ㅂㅅ짓하는 애 손절치면 따돌림이라고 걍 1호 처분 주더만ㅋㅋ 뒷담 까도 1호고ㅋㅋ...
-
28도 통합수능이라 부름 ㅅㅂ 28은 통통합수능이노
-
본인 생기부II는 0 1
이미 보존기간 만료로 역사속으로 사라짐
-
03 04 05 06 07 수능 원서비로 조의금 내고 참전해야 응당맞당고도리...
-
근데학폭처분이라는게 2 1
일반 범죄도 판사가 판결해도 억울한 사람이 생기는데 좀 그런부분이있는것같음...
-
번개 무서운 척하기 3 2
나 무서운데 오늘 하루만 혹시 같이 있어줄 수 있어…?
-
1타결정전 빅팀 미안해 0 0
아무래도 좃된것같다
-
학폭 일거 척결 0 0
-
당장 다음주가 논술인데 가천대 논술 가야 할까요? 진학사는 일반2 8칸 나오는데...
-
학폭 처분에 관련된 법적 기준을 억울한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수정해야함(o) 라고 생각함
-
소신발언 ) 미적 27번 1 2
e^x cos(f(x)) 꼴 미분 까먹고 시간 ㅈㄴ 끎
-
졸업 후 4년 보관이니 5수 or 6수하면 불이익없는
-
올수 미적분 27번 계산량 어캐줄임? 10 0
저런거 가끔 논술 기출에서도 시간끌기용으로 많이 보이는 유형인디.. ㅅㅂ 저따구로...
-
17번 문항은 갑의 주장의 타당성을 평가하라는 것이 아니라, 본문의 칸트 이전의...
-
성대 논술 3교시 4 0
성약 논술 쓴사람 있나요 몇점정도에서 끊길까요
-
반수해서 조금 올렸는데 6,9모 서성한공대, 고대공대 정도 나오던 성적이었어서 많이...
-
생윤 윤사 ㅈ같음 지리 역사 암기량 ㅆㅅㅌㅊ 경제 선택자수 ㅆㅅㅌㅊ 정법 엄 사문...
-
걱걱걱거거걱 2 0
ㅋㅋㅋㅋ각각거ㅓ거걱걱
-
미적vs기하 5 0
내년에 3수함 현역 미적>>재수 기하 인데 올해 공통에서 2개 계산 틀하고 22...
-
화장품 쪽은 ㄹㅇ 광고 천지네 2 0
이거 좋은가요 ㅠㅠ 이러는 게시물들 보면 단 하나도 빠짐 없이 댓글에서 광고해댐...
-
과 CC는 못 해봤습니다. 0 0
인연이 아니었나 봅니다.
-
확통 30틀 88인데 저 희망 가져도 되나요..? 백분위 96이면 좋겠지만 95...
-
나 이런거해보고싶어 4 0
드라마엑스트라
-
이건 ㄹㅇ찐맛잘알들만앎
-
정답은 1 0
Minji 입니다!! https://orbi.kr/00075681706#c_75681765
-
언매 1틀인데 문학을 4틀해버린.... 한문제는 옳은걸 찾는건데 틀린거 골라서 틀리고.. 흐...
-
투리구슬님께 4 3
내년에도 매체풀다 안보여서 한줄찍하고 의대떨하신후 2028년도부터 기존 내신...
-
아까 올린 이 글이요 5 1
https://orbi.kr/00075676773/%EC%A0%90%EC%88%98%...
-
저 이제 곧 파이어볼 쓸수있음 4 0
마법사됨
-
https://orbi.kr/00075681668#c_75681694 여기
-
여소좀 12 1
레제 소개좀
-
9번은 9번 치고 정적분 대칭 딸깍이 아니라 묵직했고 19번은 누가봐도 극값이라...
-
이 이의제기 답변 언제였더라 물리학이랑 틀리지 않냐 했더니 알빠노했던거
-
얘 더하기 얘는? 2 0
-
“너 고3까지 키운 비용 갚아라…얼마냐면” 2억298만원[아하일본] 5 3
게티이미지뱅크 일본에서 자녀 1명을 고등학교 3학년까지 키우는 데 2억 원가량...
-
화학으로 런.. 2 0
어케 생각하십니까 다들 원래 생지인데 화지로 틀까합니다..
-
종로 칼국수 맛집 추천 9 1
종로3가쪽에 종로할머니칼국수라고 있는데 여기 멸치육수안쓰고 사골육수써서 묵직하니 맛있음
-
대학가면 여자친구 생겨요? 18 0
사실 나도 대학에 가본 적이 없어
-
프사바꿨어 12 0
마키마..
-
9잘수망 재수생 군대가서 3수 4수 하는거 어케생각 14 0
성적표 국어때 머리가 텅 막혀서 도저히 납득이 안됨 부모님은 삼수는 안된다해서.. 하는게 좋을까요
-
성적표 나오면 1 0
98 97 2 99 96으로 바껴있으면 조켓당 헤헤
-
국어 17번 이의제기 2 0
안받아들이겠죠?
-
근데 수학 20번 첨에 벙찜 4 1
식이 ㅈ같이 생겼는데 진짜 저거 계산하라고 ..? 생각 들어서 (가)에서 시간 좀 씀
-
다들 12 15로만 갈리네

좋은 국어칼럼은 언제나 ㄱㅐ추정석민 이원준 스타일 비슷한가요?
정석민 t 안들어봤습니다. 분석서만 봤어요.
독서 브크 듣고 기출 2회독 정도 했는데 올오카도 듣는 게 좋을까요?? 참고로 기출 지문 구조를 막 분석하고 그런 건 못했고 그냥 지문내용 정확히 이해했는지랑 선지가 왜 틀렸는지까지만 봤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기출 지문 구조를 일부러 분석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제재/주제의 지문을 같이 묶어서 보면 어느정도 자동적으로 되는 면이 있다고 생각하고요. 브레인 크레커에서 추구하는 기출의 분석과 올오카에서 추구하는게 약간 좀 달라요. 이원준 선생님은 제재별로 접근법을 다르게 가져가시지는 않잖아요? 제 기억상으로는 그랬는데, 김승리 선생님은 제재별로 접근법이 약간씩 다르십니다. 전 둘다 할 줄 알면 좋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법지문이랑 생명과학 지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뭔가요?
법 지문에서는 요건과 예외, 생명과학 지문에서는 순서도...가 아닐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합니다.
이원준 선생님 체화 어떻게 하셨나요
지문 읽고, 풀고, 강의 들었습니다. 특별한 건 없는 것 같아요.
PCR 16번 양/질로 푸는거 맞지않나요
네, 맞습니다. 제가 착각했네요. 본문 내용은 수정하겠습니다.
좋은글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