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수능 국어 17번 이의제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69737
국어17번문제제기(20251118).pdf
안녕하세요. 작년까지 오르비클래스 강사였던 이해황입니다.
올해 수능 국어 17번에 대한 이충형 교수님 의견을 제가 대신 올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pdf를 참고해주세요.
--------
포스텍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이충형(chung@postech.ac.kr)이라고 합니다.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 보았습니다.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습니다. 그래서 ③번이 답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적어봅니다. 제 경험으로는 제가 새로운 생각을 하면 거의 대부분 틀리더라구요. 이번에도 그럴 것 같긴 한데, 어디가 틀렸는지 알려주시면 배움에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메일 주신 모든 분께 답을 드리지 못할 수 있는 점 미리 죄송하다고 말씀드립니다. 지금까지 이 글을 작성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신 이해황 선생님, 그리고 여러 경로로 제 말씀에 친절하게 답을 주신 손태랑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5년 11월 18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캬캬 내가 왓다 9 0
상륙을 해버렷다고
-
자기가 하고 싶은거 하면서 행복하게 사는게 베스트임.
-
이 짤이 ㅈㄴ폭력적임 ㅋㅋ 6 4
-
한의사 현실 인식이 어떰? 7 0
돈은 꽤 벌겠구나?
-
20번 빼고 너무 쉬웠음 20번도 시간 박으면 풀리는 문제여서.. 25수능보다는...
-
투과목 8 0
진짜로 투과목 응시자의 40%는 개념도 못끝내고 수능을 응시하나요? 정보가 없어서 질문드려봅니다
-
화작 2점 짜리 하나 틀린 90점인데 시대컷 기준이면 2등급인가요? 아니면 선택틀이여서 1컷인가요?
-
표본이 가형도 아니고 이게 만표가 130대라고?
-
이쯤되면 미적 28번 믿음의 2찍 막은게 다행 아닌가 5 5
미적 28번 2번이었으면...
-
화학 1컷 44 기원 7 1
제발 사실 45일거같긴함
-
팀플이싫다 6 3
지금까진 팀플 좀 버스탔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운전기사 해봄요 후회중임 크아아아악...
-
25수학 만표가 140이었잖아 8 1
26은 25보다 확실히 어려웠는데 왜 만표가 낮은데
-
덕코드림
-
미적하는 사람들이 잘해서 5 0
미적 표점이 안 나오는건가 근데 11~13이 너무 쉽긴해 ㅡ.ㅡ
-
호흡기질환이 끊이질않네 5 2
고통스럽다
-
이론상 개역대급 펑크 아닌감
-
까지 이걸하고 자빠짐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
27수능의대선택 5 0
자꾸 미련이 남아서 27수능 마지막으로 의대도전 수능 한번 보려고 하는데... 요즘...
-
이걸 못 죽이네 5 0
ㄲㅂ
-
웹소설 진짜 미치도록 재밌네 5 0
배꼽빠질뻔
와우
선생님은 오류라고 생각하시나요? 어떤가요
네, 저는 이미 영상으로 올려두었습니다. :)
https://youtu.be/ZJ0K-KFTyas

나는 맞춰서복수정답 안돼야하면 개추 ㅋㅋㅋㅋ
동일인이신가요? ㅋㅋ
평가원이 받아들일지 모르겠네여..
평가원은 권위로 더럽혀진 성채임..
매년 있는 WWE인가요 아님 진지한건가요 이 문제 맞췄는데....
안된다 난 맞았단 말이다..
뭔 내용인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복수정답 돼야하는 17틀단이면 개추ㅋㅋㅋ
복수정답 가자 !!
2번으로 밀었는데 이의제기 성공했으면 좋겠다 ㅎㅎ
이충형 교수님 과학철학 수업을 학부 때 교양으로 들었는데, 듣다가 이것들이 도대체 뭔 소린지 이해가 안 돼서 드랍한 적 있습니다
여전히 제 머리로는 도저히 알아듣기 힘들군요!
개같이 바라면 개추 ㅋㅋㅋㅋ
제발 복수정답
배점 3점짜리야??
쨍그랑!!!
복수정답 안돼요……
아 모르겠고 칸트 지문 보자마자 2로 쭈욱 민 2쭉단은 개추 ㅋㅋ
애초에 현장에서 "실제로 적확하게 저러한 논리대로 풀어서" 오답을 냈다면 이의제기를 할순 있겠지만
그게 아니라 "단순히 오류가 없었어도 틀릴 실력이었으면서" 이의제기로 정답처리가 되기를 바라는건
상당한 과욕이죠.
문제에 오류가 있더라도
답이 인정될 일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이 댓글에서 오류를 원하는 사람중에
이해황 강사님의 주장을 이해한 사람이 얼마나 될지도 뭐, 뻔히 보이구요.
인정이 안 될거 같다는 건 맞는데 오류가 있다고 인정을 하면 답도 당연히 바뀌죠
그리고 애초에 오류인거면 오류가 없었어도 틀릴 실력~이런 논의는 의미가 없습니다
뭐 존나 돌려서 말하긴 했는데 인정이 될것같지 않다는 말이긴 함
평가원식 "풀어서 답나오기엔 지장없잖아"를 피해갈수 없을것같다는거
그건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설물리 졸 -> 철학 박사... 그저 GOAT
그 시절 설물리면 ㄷㄷ
"문제 없음"
지문 밖의 내용을 너무 끌어다 쓰시는 듯
잘 읽어보았습니다만, (그리고 위 글의 내용 대부분은 수능 시험 현장에서 제가 17번 문제 선택지 판별 순간에 했던 고민들이 요약된 것이었지만) 이의제기가 받아들여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화용론적 해석'으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라는 식의 논리로 정답을 결정한 사례가 꼭 이 경우 말고도 LEET시험에서도 여러 번 있었으니까요.
저는 시험현장에서 우선 3번 선택지에 대해서 (해석1)처럼 생각하였기에 일단 선지 정오 판단을 유보했고, 그 뒤에 나머지 1,2,4,5번 선택지를 절대 납득할 수 없다고 생각한 뒤에, (해석2)를 떠올리고 다시 1문단을 2번 정도 더 읽어본 뒤에 3번으로 정답을 결정했습니다
3번 선택지 자체가 엄격한 논리적인 명제를 진술한다기보다 '일상언어적인 진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일상언어적인 진술에서는 필연적인 논리의 연쇄가 화용론적인 해석에 의해 건너뛰어질 수 있기 때문에, 3번 선지에 다소간에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더라도 정답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이죠.
흥미로운 의견이라는 점은 공감하구요. 이번 수능 국어 시험 전체에서 가장 논쟁이 있을 만한 문제라는 점에는 공감하지만, 대다수의 수험생들에게는 큰 의미 없는 논의로 보입니다.
수능특강 내용을 들어 설명하니까 무엇이 문제인지 이해가 되네요
https://orbi.kr/00019209042
이때랑 똑같아 보여요
개인적으로 두 글 다 납득은 되는데 평가원이 국어에서 오류를 인정할리는 잘 없고 다만 어디까지 깊게생각해야하는지, 평가원에서 문제를 만들때 고려하는 사고의 선이 어딘지를 파악하기엔 좋은 논쟁거리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