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올러 S [1265766] · MS 2023 · 쪽지

2025-11-18 21:42:26
조회수 2,996

혹시 계신가요? (Ft. 수능 통합과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67883

(486.5K) [228]

만점완성 디올 [통합과학] Introduce.pdf

(707.3K) [243]

만점완성 디올 [통합과학] Preview.pdf

(5.7M) [54]

만점완성 디올 생명과학1 유전&비유전편 Preview.pdf

(10.5M) [53]

만점완성 디올 수학_Preview.pdf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수능 학습의 모든 것, 디올]

https://atom.ac/books/13360


https://atom.ac/books/13083


[수능 날 느낄 기시감과 훈련, 디올 N제]

https://atom.ac/books/12375


https://atom.ac/ebook/13362/








2027 만점완성 디올 생명과학1 원고를 전해드렸습니다




더불어


2028 만점완성 디올 통합과학 초고가 완성되어


소중한 오르비언 분들께 여쭤보려 글을 올립니다.





"수능 통합과학, 준비하고 계신가요?"


"준비하고 계시다면 어떤 부분이 막연하신가요?"





학생 분들도 고1 과목이 수능 과목이 되는 게 낯섦의 연속일 것이고


저희 또한 처음으로 드리는 교재이다 보니


학생 분들의 고견을 최대한 반영하려 글을 드렸고





타 교재들과 차별화되는 디올의 특장점을 한 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제될 수 있는 고난도 유형에 대한 실전개념의 모든 것"  (EX 개수 추론, 중화 반응, 금속 반응, 역학, 코돈 추론)  





지금 2028 통합과학 수능을 대비하고 계시다면 좋아요


수능 통합과학 대비에 있어


막연한 부분이나 필요한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더 좋은 컨텐츠를 전해드리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 남겨주신 분들 중 양질의 의견이라 여겨지는 분들께는 치킨 기프티콘을 선물해 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생 투리구슬 · 1426095 · 11/18 21:43 · MS 2025

    헤헤헤헤ㅔ헤헤헤헤헤헤 통과 공부헤얒;

  • 디올러 S · 1265766 · 11/18 23:10 · MS 2023

  • ehclfpdhd · 1402111 · 11/18 22:27 · MS 2025

    화학이나 물리 파트 같은 경우에는 현행 화1, 물1 처럼 나올 수 있나요? 학교 시험에는 평가원 변형이 나와서 모의고사에는 나올 수 있는지, 그리고 나온다면 어디까지 나올 수 있는지 범위를 잡아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기말고사 끝나고 꼭 풀어보겠습니당:)

  • 공통국어 · 1396637 · 11/18 22:50 · MS 2025

    고1만 나옵니다
    예시문항 자체론 엄청 쉬워요

  • ehclfpdhd · 1402111 · 11/18 23:01 · MS 2025

    감사합니다!

  • 디올러 S · 1265766 · 11/18 23:09 · MS 2023 (수정됨)

    수능 통합과학으로는 첫 시행이지만 과학 2과목 수능 응시로 제도가 바뀔 때에도 예시 문항이 존재했기에 디올 교재 서술에 있어서는 해당 변화 양상을 참고했습니다!

    예를 들어 2012년 5월에 과학에 있어 2과목 수능 응시로 수능 제도가 바뀌기 이전에도 예비시행 문제지가 있었고 현존 통합과학과 범위가 중복되는 중화 반응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었습니다

    (= 2028 통합과학 예시 문항의 중화 반응보다 2014 화학1 예시 문항의 중화 반응이 더 쉬움)

    그 해 학생 분들의 성취 수준에 따라 (6, 8월 모의평가) 수능에 출제될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확실한 것들

    1. 원과목/투과목의 발전된 최종 버전들보다는 2028학년도 수능이 쉽게 출제될 것이고
    2. 2028학년도 수능 첫 해가 2029, 2030, ... 수능에 비해 가장 쉬울 것이라는 점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 해 출제 양상보다 살짝 어렵게 대비해서 절대 나쁠 건 없다
    (원과목/투과목에서도 매해 수능이 제일 어려웠다는 이야기가 나오기에..)
    4. 통합과학 예비시행 문제지에 있는 유형들 그리고 관련 교과 내용은 이전 예비시행과 출제된 수능들을 참고했을 때 어느 정도까지 수능 문항이 출제될 지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다

    4가지에 초점을 맞춰서 교재 내 서술 범주를 세팅했습니다.

    본문 관련 내용 쪽지 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 디올러 S · 1265766 · 11/18 23:13 · MS 2023

    [2028 예비시행 중화반응]

  • 디올러 S · 1265766 · 11/18 23:19 · MS 2023 (수정됨)

    더불어 평가원 변형에 대해서 물리1 -> 물리학1로 변하는 2014-2020학년도 수능 -> 2021-2026학년도 수능의 변화 양상을 토대로 어느 정도 평가원이 개정된 공통 범위에 변형을 행하는 지 참고했고 대표적인 예비시행 내 평가원 변형 예시로 다음 문항이 있습니다

    (예비시행 문항에서는 생명과학에서의 킬러, 지구과학에서의 자료 해석 or 지엽 가능성이 충분히 엿보이니 물리, 화학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과목 간 밸런스 있는 공부도 중요할 것으로 여겨져요!)

  • 디올러 S · 1265766 · 11/18 23:20 · MS 2023 (수정됨)

    [원본 평가원 기출 문항 (2026 수능 기준 오답률 2등 유형)]

  • 공통국어 · 1396637 · 11/18 22:50 · MS 2025

    굿

  • 디올러 S · 1265766 · 11/18 23:11 · MS 2023

  • ykohx · 1328656 · 18시간 전 · MS 2024

    지금 시중의 통과 심화 문제집(e. g. 시대인재 모*텀)은 문제 퀄리티가 높아도 고난도 문제에서 범위를 벗어나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범위에 충실하고 오류가 없는 준킬러 유형이 포함되었으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 디올러 S · 1265766 · 17시간 전 · MS 2023

    꽤나 공감이 가는 두 주제네요..

    고1 모의고사 그리고 예비시행 문항을 토대로 원과목, 투과목 문항들 중 교집합 색출 or 범위에 맞게 교정하거나 새로 제작하는 작업을 꽤 긴 기간 거쳤고

    저자들도 관련 주제로 토의를 거쳤던 논제들인지라
    적어도 말씀해주신 부분에 대해서는 만족하며 보실 수 있는 교재일 것으로 소고됩니다

    본문 관련 내용 쪽지 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 모노모노 · 1219960 · 15시간 전 · MS 2023

    동생이 09년생인데요...
    28수능 준비를 위해 현행수능 화1 산화환원/중화, 물2 수평발사 포물선, 생2 코돈 기출을 다 풀어야 할까요...?
    평가원에서 맨 처음 문제 단위로 공개했던 예시문항은 고1 학평 수준으로 쉬워 보이던데, 풀세트로 낸건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

  • 디올러 S · 1265766 · 14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우선 단정적인 표현을 잘 쓰지 않는 편인데
    다소 단정적으로 말씀드리면 그러지 않으셔도 됩니다..!

    통합과학 수능 체제가 5-6년 정도 되었을 때였다면 다소 드리는 말씀이 달랐을 수도 있는데
    첫 해 or 두 번째 해에는 현행 화1 산화 환원/중화 물2 수평 발사 포물선 생2 코돈 기출 최종 버전 수준으로 나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셔도 되어요

    예를 들어 말씀주신 유형 중 코돈 추론 유형도 14학년도 예비시행 시험지와 14학년도 대수능(두 과목으로 수능 체제가 변화한 첫 해)에는 기출되지 않았고 15학년도 수능부터 본격적으로 수능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통합과학에서의 준킬러/킬러 유형의 경우 현존하는 과학 기출 최종 버전의 60-70% 난이도로만 대비하셔도 충분히 변별력이 확보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과 일부만 보는 시험이 아닌 전체 응시자가 보는 시험)

    다만 현존하는 기출을 선별하는 일과 6-70%의 기준선을 학생이 직접 정해서 공부하는 일이 다소 혼란스러운 일이니 저자의 역할이 그 수고로움을 덜어드리는 일이라 생각하는 바이고..

    말씀주신 부분 중 문제 단위 예시문항보다는 풀세트 예시문항의 120-140% 정도로 대비한다고 생각하시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바꿔서 말씀드리면 과학 핵심 문항에 대한 현존 기출 최종 버전 난이도는 예비시행 문제지 내 단위 문제 난이도 140%를 아득히 초과합니다)

    날씨가 점점 추워지니 건강 조심하시고 좋은 일 가득한 하루 되시길 바라요 감사합니다 :>
  • 생투성애자 · 1348501 · 9시간 전 · MS 2024

    샤가프가 현행 생2로도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려나...

  • 열심히하는 · 1412305 · 5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07이지만 28수능 준비하는 나☠️

  • hsok21 · 1409109 · 2시간 전 · MS 2025

    통과 책 언제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