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사회계 논술 수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30243
수리문항. 적분 안했으면 불합격이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6 0
월월!
-
여론 보고 할려고
-
출제자의 눈 개념완성 On
-
. 2 0
.
-
원히 인증 언제함 3 0
ㄱ기다리는중
-
ㅈㄱㄴ
-
학교에 수학 14 15 찍맞한 애들이 절반이던데 6 1
동생 ㅈ반고 다니는데 13까진 다 푼 애들중에 절반정도가 44로 밀고 찍어서...
-
D-3 8 1
-
롤대남 인증해봅니다.. 4 0
롤대남인걸 인증해봅니다..
-
반수 성적상승 6 2
작수 올수
-
일단 메이킹이 안 되는게 너무 답답하더라 미드에서 미니언 청소만 하다가 게임 끝나는...
-
아씨 지2 맛만 함 봐봐? 6 0
대가리가 깨져서 그런지 좀 꼴리는데
-
ㅇㅈ 4 1
솔직히 트레는 이펙트가 원탑아니냐 버드링 새별비 버니 이딴새끼들이 비빌만한 수준이 아니던데
-
만일 저 2상황이라면 뭐가 낫다고 생각함?
-
주변 누구든 멀어지든 가까워지든 상관쓰지 않게된 거 같음 어차피 나도 사랑받을...
-
내년도 에고이스트 모의고사는 총 6회 배포를 목표로 하긴 하는데 8 3
쓰읍 가능하려나 모르겠네 이게 국어는 출제하는게 매우매우 힘들거든요 특히 비문학
-
아니난수린이인지몰랐는데 4 1
왜차단되어있냐ㅋㅋ
-
과탐러는과탐을해야함 6 0
난과탐러임
-
서울•연세•고려대 로스쿨 2학년 학생입니다. 형사재판실무라고 전국단위 시험이 있는데...
근데 애초에 y축이 사람인데 사람은 0.x처럼 나올수 없으니 적분하면 안되는거아닌가요? 정적분이라는게 구간내의 직선을 촘촘하게 다 더하는개념아닌가요??
문제가 애초에 적분하면 자연수로 떨어지게 설계해서 32로 나와여 사람이 소수점이 될 수 없다는 점도 미리 파악하시고 내신듯요 그리고 적분은 연속된 구간의 x값에 해당하는 함숫값을 더하는 기술입니다 함숫값은 아시다 시피 y값이구요
저는 y값이 사람의 수인데 여기서 구간내의 모든 x값에 해당하는 y값의 총합에 사람의 수가 소수점으로 존재 한다는 자체만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서요ㅠㅠ 제가 틀렸을지도 모르지만 총합이 자연수로 떨어지더라도 저는 사람의 수를 소수점으로 나타낸것들의 총합인 정적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어요
아하 근데 인문사회현상이 불연속적이더라도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현상이라 쩝.. 일단 기다려봐야져 ㅠ 각자 답이 맞길 희망회로 돌립시다
넵 화이팅!
제가 궁금해서 gpt한테 물어봤슴다.
✅ 1) 사람수가 y라면 정수로 넣어야 할 것 같지?
헷갈리는 이유는:
• 사람은 0.5명, 2.3명처럼 나눌 수 없으니까
• 그래서 “x 1, 2, 3… 정수만 봐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게 돼
하지만 **그래프 위의 y값은 ‘순간적인 단위시간당 발생량(명/시간)’**이야.
이건 현실에서 연속량으로 취급돼.
그래서 연속적인 함수를 그릴 수 있는 거고,
적분해서 총량을 구할 수 있는 거야.
⸻
✅ 2) 적분이 맞는 이유
▷ 비유
비가 시간당 10mm, 12mm, 15mm로 계속 바뀐다고 하면
• “비가 1mm 단위로 떨어지니까 정수시간만 넣어야 하나?”
→ 아니지.
→ 보통 그냥 그래프 적분해서 총 강수량(mm) 구해.
사람 수도 똑같아.
• y = 시간당 발생하는 확진자 수
• 연속적으로 변하는 값으로 모델링
• 이를 적분하면 전체 사람 수가 됨
즉,
“사람은 이산적 → 함수는 연속적”
이 둘은 아무 문제 없이 함께 쓸 수 있어.
⸻
✅ 3) 실제 과학·의학·정책 모두 이렇게 계산함
예시:
• 시간당 사망자 수 → 적분 → 총 사망자 수
• 시간당 출생자 수 → 적분 → 연간 출생 수
• 시간당 확진자 수 → 적분 → 누적 확진자
• 전염병 모델(SIR 모델) → 연속 미분방정식+적분
• 인구 증가율 → 적분 → 인구 변화량
모두 사람이지만 적분으로 계산해.
⸻
? 4) 논술 문제에서 “그래프 넓이가 사람 수”가 정확한 이유
그래프 조건:
• x축 = 시간
• y축 = 사람 수(단위시간당 → 신규확진자)
• y = f(x) 형태의 연속함수
이때 면적 = f(x)를 시간에 걸쳐 누적한 값 = 총 사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