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I II 학습에서 스킬(현정훈t)의 중요성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20492
과탐 선택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보려하고 재수 그리고 현역 하는 친구에 도움을 주고자 질문드려요 2가지중 물리학은 선택할 것 같아서 먼저 질문드립니다
물리학 II를 공부하였었는데 방인혁 선생님처럼 거의 정석으로 풀이하는 것과 현정훈 선생님의 스킬이나 다양한 풀이 방법이 있었는데요
1 물리학은 다른 과목(화학)과 달리 스킬이 없어도 타임어택이 강한 과목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2 사설이 아닌 수능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아닌 가장 정석적인 풀이만 떠올리도록 연습하는 것이 여러 방법을 떠올리는 것 보다 낫고
3 스킬의 완벽한 체화(현t)도 정말 어렵다는데
혹시 I II 공부하신 분들 중에 스킬 체화(혹은 현정훈t 수강)하신분들 어떤 이점이 있었는지 질문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디서 다시 표본조사해보니 5%대다 이런 말 있다해서 괜히 불안하네
-
야생? 원시시대? 암튼 이 상태에서는 이성간의 ㅅㅅ 안하고싶음...
-
성대 오전 6 0
2-3이랑 3-2, 3-3 못썼는데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과는 에너지학과 입니다...
-
소신발언) 확통 무난했다 16 1
객관적 난이도로 확통 28,29,30 다 무난했음 28,30은 시간 조금 걸리는거지...
-
맘에안든다 12 1
커피 ㄷ 에너지음료 골라주셈
-
백퍼임
-
수능 영어 34번 문제 관련 1 1
34. Kant was a strong defender of the rule of...
-
김승리 vs 강민철 3 1
예비고3 입니다.. 정시 준비하려하는데 김승리 선생님, 강민철 선생님의 수업...
-
수험표 내면 할인?… 수험생에 미끼 던지는 성형업계 0 0
서울 강남구 A성형외과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표를 제시하면 정가 50만원대 쌍꺼풀...
-
간절합니다 제발ㄹㄹㄹㄹㄹㄹㄹ
-
형님들 도와주십쇼. 5 0
이러면 대학 어디쯤 갈까요
-
벌써 쫄리는게 맞음? 3 0
재수하면 실력은 훨씬 늘릴 자신 있는데 69모 사설 다 잘봐도 수능 그 당일날...
-
국어6등급 칸트지문 다 맞음 3 3
독서론에 5분 문학에 40분 언매에 25분 박아버린 상황에서 칸트 한지문만 풀고...
-
I wonder how 9 1
I wonder why yesterday you told me 'bout the...
-
ㅈㄱㄴ
-
레제 9 0
레제
-
누가 나 논술 잘 썻대 5 1
나 기대 확률을 4%에서 8%로 올려도 될까
-
대학교에서 기하 필요하나요 3 0
벡터나 공도같은거요 공대기준
-
난 ㅂㅅ이다 0 1
X가 무한대로 갈때 Lim f(1/x) 극한이 f(0)이랑 f(-0)둘이 같아야 한다고 생각함
-
서성한 가능할까요? 3 0
서성한 공대 가능한가요?
일단 저는 올해 수능 물리학1 48점을 받았는데요, 현정훈 선생님 강의는 VOD를 사서 일부 보고 추석 특강만 수강하였습니다. 현정훈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스킬의 대부분은 인강을 통한 공부와 스스로 공부해서 알아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리고 오해가 있으신 게 현정훈 선생님의 스킬은 가장 정석적인 풀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답변 감사드려요. 제가 물리학II를 했고 I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고민을 하는 과정에 있어 질문드립니다. 2에서는 예를 들어 스스로 해서 알 수 있는 스킬이나 그러한 이외의 것들이 없다고(벡터, 렌즈) 생각이 들어서 I에 비추어보는데요. 물리학I에서는 정확하게는 몰라서 아는 것 중에 예를 들어 그래프를 그려서 푸는 풀이가 있는 것 같던데 방인혁 선생님께서는 그래프를 그리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더 어렵고 시간이 걸린다고 하셨고 들으신 분들중에 체화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도 있어서요. 그리고 자연스러운 과정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 과정이 기본풀이의 다른 모습의 변형이라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길지만 요지는 탐구가 굉장히 시간을 많이 요하는 과목이기에 I의 경우에 스킬 체화가 자연스러우며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어느정도로 있는지, 다양한 풀이를 알아서 그리고 사설의 약간 특수한 경우를 풀기 위한 방법정도인지에 대해서 답변드린것에 대해 재질문드립니다. (정석이 기하가 아닌 수식 풀이라고 했을 때 발상을 떠올리는 난이도, 체화하는 시간 ,모든 문제에 있어서 적용에 있어서 더 쉽지 않은가에 대한 생각) 길게 썼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견해를 말씀 드리자면 기하적인 풀이나 그래프 풀이는 딸깍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 아니라 문제를 보는 방법 같은 거라서 필수라고 생각이 되고요, 강의를 듣는다고 해서 빠르게 체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스스로 문제를 많이 풀면서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가야 한다는 생각이에요. 요약하자면 네, 현재 물리학1은 말씀하신 풀이 방법을 체화하지 못하면 찍맞없이 1등급을 쟁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식보다 오히려 그래프 풀이가 모든 문제에 있어 일관적으로 적용이 잘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올해 또 하실 거면 온라인으로라도 현정훈 수강해보시고 결정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스킬을 떠나서 현정훈 들으면 받는 컨텐츠가 압도적인 것도 있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