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학년도 수능 세계사 분석(해설) [11~15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19625
*풀이(해설)는 교과 외 내용(지식)은 되도록 배제하고,
교육과정(교과서, EBS 연계 교재 내용)에 근거해서만 하겠습니다.
문항 11.

‘호르무즈’의 위치,
‘자료의 연도(동인도 회사 설립)’만 알면 다소 수월하게 풀 수 있는 문항이지만
‘사파비 왕조’ 개념 자체가 21학년도 기출 이후에나 등장한 지엽적인 개념이고,
문제 스타일도 서아시아사+유럽사 주제 개념을 모두 아우르기 때문에
고난도 문항임은 분명합니다.
자료에서 ‘페르시아만’이 가장 큰 힌트입니다.
페르시아, 즉 이란과 밀접한 왕조는 ‘사파비 왕조’이므로
사파비 왕조에 대한 선지 내용을 찍어 맞추게끔도 구성되었습니다.
제일 관건은 ‘호르무즈’였을 겁니다.
4종 교과서 모두 지도 자료에서 호르무즈 위치와 지명이 곧잘 제시됩니다
하지만 지도를 구석구석 꿰고 있지 않아서 충분히 모를만도 합니다.

[24 9모]
그렇다고 호르무즈가 기출에서도 나오지 않았던 지명은 아닙니다.
세계사에서 마카오와 함께 포르투갈의 교역 거점으로 곧잘 제시된 내용입니다.
기출을 철저히 분석했다면,
“호르무즈는 어디에 있을까?”라고 지도상 위치를 찾아봤어야 했다는 게
출제자의 또 다른 의도라 할 수 있습니다.
문항 12.


[26 6모]
세계사 기출 사상 가장 어려웠던 6모 19번의 변형 문제라 볼 수 있습니다.
워낙 충격을 준 최고난도 추론 문제였기 때문에
특히 프랑스 혁명사를 중점으로 많은 수험생들이 대비했을 것입니다.

[25 6모]
기출을 철저히 분석했으면 수월하게 풀었을 문항이기도 합니다.
25 6모 19번 자료를 잘 분석했으면,
“검열 등 자유를 제한하는 조치는 결코 다시 시행할 수 없다.”를 보고
사를 10세의 언론 탄압과 그 이후라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23 수능]
이 문항은 사실상 23 수능 12번과 묻는 바가 같습니다.
이 역시 23 수능 분석을 통해 루이 필리프의 재위 시기,
즉 7월 왕정 시기에 해당하는 사실과
메테르니히의 집권 시기,
데카브리스트의 봉기 시기를 꿰찰 수 있었습니다.

[19 9모]

[19 수능]

[15 수능]
교육과정이 바뀌었어도,
예나 지금이나 프랑스 혁명 시기 사실은 최다 빈출 주제입니다.
프랑스 혁명사와 함께,
예전 교육과정 기출인데도,
현형 교육과정으로 풀 수 있는 과거 기출들도 꼼꼼히 분석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문항 13.


[26 9모]
이 문항은 26 9모 20번의 자료 내용을 철저히 분석했으면
수능에도 도움이 되었을 겁니다.
9모를 통해 “유고슬라비아가 서로 적대하여 재앙과 같은 결과”가 뭘 의미하는 거지?로 출발해
유고슬라비아 해체 개념을 익혔으면 이로웠을 문항입니다.
26 EBS 연계 교재에서 “유고슬로비아의 티토가 제1차 비동맹 회의에 참여”하였다는 내용은 곧잘 다뤘습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한 국가들을 꿰고 있는지가 관건인 문항입니다.
문항 14.

‘탕헤르’ 일대,
즉 오늘날 모로코 지역(이베리아반도와 근접한 북서 아프리카 끝단)을
차지한 국가가 뭔지만 알면 되는 문항입니다.
근데 문제가 상당히 불친절하고,
엉성한 느낌이 강하며,
교과 외 지식(마슬라마, 마르즈 라히트 전투)를 알면,
유리하게 구성돼서
퀄리티가 좋다고 보이지 않습니다.
마슬라마가 누구인지 모르면
(교과 외 지식이니 몰라도 되는 게 당연하지만)
자료 4번 내용의 경우,
자칫 마슬라마의 소속이 (가)가 아닌 적국이라서,
마슬라마가 이끄는 군대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차지하고 있는 (가)를 공격한다는 뉘앙스로 보입니다.
영역(강역) 표시를 하면 난도가 떨어지니
주요 정복지와 전투지만을 지도에 표시하는 거 같아
순전히 변별력과 고난도 추론을 요하는 문항입니다.
어쨌거나 선지들 중에서 모로코 지역을 차지한 국가를 판별하는
그저 소거법으로 푸는 문항과도 가깝습니다.

[미-래엔 교과서]

[22 수능]
이 문항은 ‘탕헤르’라는 지명을 알아야 하는 게 아니라,
탕헤르가 모로코 지역(북서 아프리카 끝단)에 위치한다는 것을 인식만 하면 되는 겁니다.
‘탕헤르’가 교과서나 기출에서 제시되기는 합니다.
교과서 중 미-래엔 1종 교과서에 이슬람 교역로 지도에서 제시됩니다.
22 수능에서는 “탕헤르 충돌 위기”라고 제시됐는데
곧, ‘모로코 사건(2차례 군사 충돌 위기)’을 지칭합니다.
이 문항이 좋다고 보이지 않는 결정적 이유는,
교과서 각각에만 있는 지도의 지명도 모두 파악해야 하나 싶은 인식을 심어줘서
지리적 요소가 너무 치우쳐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주게 한다는 겁입니다.
긍정적으로 보면,
특정 위치만 보고 어느 국가의 강역권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겠으나
부정적으로 보면,
지리적 개념을 익히는 데 애먹는 사람들은 더더욱 세계사를 선택하기 힘들게 한다고 여겨집니다.
문항 15.
세계사에서 ‘동부 전선’, ‘서부 전선’이 언급되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 시기라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중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다고 하면,
제1차 세계 대전입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새로운 (민중) 정부가 들어설 혁명이 일어난 사례는 없습니다.
(이탈리아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 ‘붕괴’는 혁명이라고 통칭하지 않습니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일어난 혁명으로는 러시아 혁명이 대표적입니다.
참고로 제1차 세계 대전에서도 ‘협상국’을 ‘연합국’으로도 지칭합니다.
그 반대되는 진영은 ‘동맹국(독일, 오스트리아ㆍ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이라 지칭합니다.

[23 6모]

[13 9모]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문제는,
현행 교육과정, 이전 교육과정 기출 문제 모두 풀어보는 걸 추천합니다.
기출 분석을 했으면 더 수월하게 정답을 도출했을 문항입니다.
[추가 분석 링크]
<링크> 26학년도 수능 세계사 분석(해설) [1~5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끝난오르비인데 9 2
고닉들아 뻘글좀더써봐
-
보여주기식의 보고서, 세특에 너무 시간 투자 많이 하는거 스트레스 받아서 정시로...
-
광운전자 이거 됨?? 2 0
26학년도 광운대식 환산점수 <- 선택과목 가산점 반영 어케하는지 몰라서 일딴 빼고...
-
시발 것
-
심심한데 할거 추천좀 13 0
ㄱㄱ
-
재수 사탐 뭐할까요 0 0
생윤사문 48 38 나왔어요.. 사문 딴거로 바꾸려 하는데 윤사 갠창ㅎ을까요
-
문과 가면 진로 중에 로스쿨이 압도적인데 서연고 에서만 로스쿨 1700명중에 1200명 뽑아줍니다
-
현역 정시 라인좀 잡아주셔요 2 0
사진은 진학사인데 메가에서는 국어 표점 123점으로 3등급 뜹니다 ㅠㅠ 중경외시나...
-
난 한걸음 물러서서 0 0
아무말도 안해
-
내년에 수학 공통 0 0
시즌1 기준으로 쫑느 한번 더 들을까 장재원이나 이동준이나 안가람 들을까
-
내지 디자인 어떰? 3 0
괜찮은듯 별로인듯 싶음..
-
수능 쉬는시간 전사 2 1
보다 더 뇌절인거는 없나. 수능 파본검사의 전사 10초 : 국어 마스터 10초 :...
-
??????????????저 공포스런 메인글은 뭐냐
-
공통 주관식이 어려우면 뭐해 3 1
객관식 12 13 던지고 14 15를 44로 줬는데..
-
내가 죽일놈이지 뭐 0 1
우리가 어긋날때면
-
공3미1 84인데 진짜 미련 버려야할까요... 그래도 면접은 가보는게 맞겟죠? ㅠㅠ
-
화작 확통 쌍지로 34343 한서삼 낮과 될 것 같나요? 사실 지금 물어보는게...
-
표점은높은데 백분위는 낮으면 반대경우보다 좋은건가요? 0 0
학교마다 다른건가
-
홍대 수리논술 0 0
산업공학과 썼고 4문제종도 틀렸어요ㅠ 붙기 힘들겠져? 최저는 맞췄어요
-
근데 원래 고사실의 절반만 사용하나요? 자리마다 스티커가 붙혀져 있던 걸 보면 원래...
-
나만 23학년도 9모 1 2
인터넷 검색 엔진 지문 어려움?
-
고대 1 0
고대계약이나 높공 가능할까요?
-
우리.. 1 1
전화할래요? 전화할래요? 전화할래요? 전화할래요? 전화할래요? 전화할래요?...
-
엄 2 0
-
이과애들은 집단적으로 평가원에 항의한번 해야한다니까 9 7
입시 자체가 문과기준인게 1.2년 된게 아님 1. 국어수학영어 AB형으로 나뉘어있을...
-
자취방 특) 0 0
ㅈㄴ 아늑함 누우면 못일어남
-
방금 덕소주공 엘베에서 0 1
친구집에쑥떡배달하고 내려오면서 개시끄럽게 통화중인 남자랑 같이탛능데 어떤여자랑...
-
걍 제목을 잘못쓴거아니냐? 현장에서 답 고르면서도 아 이게 맞나 싶었는데ㅋㅋㅋㅋㅋ
-
25수능은 역설적으로 2 0
국어 때문에 멘탈 나간듯... 풀어보니까 너무 쉽길래 내가 실수를 안 했을 리가...
-
사탐런 vs 투런 1 0
당신의선택은
-
옯마크가 나왔단건 8 2
옯마크 -> 옯디코 -> 옯스타 -> 옯단톡 -> 옯여행 데자뷰
-
이거 연대 가능한가요? 0 0
연대 문과 가능할까요
-
떠올렸었어 그 사람을
-
이것만먹고 2 0
다이어트할까
-
하아 결국에는 4 1
논문도 내가 골라서 컨펌받고 발표 피피티도 내가 만들고 걍 내가 다했네
-
인증메타좀열어보셈 1 0
ㅇㅇ
-
내년 수학 예측 0 0
14번 : 귀납법 15번 : 정적분 20번 : 지로함수 그래프 21번 : 미분가능성...
-
덕코 수급중 2 1
엉엉 덕코 부자 되고 싶어뇨
-
인문논술이 경쟁률 훨 높은데 다 수리논술 얘기밖에 없네... 진짜 다...
-
사탐 고정 50 가능한과목 2 0
뭐가있을까요
-
연고대 대성예측처럼 나오면 0 0
진짜 성불할 듯...
-
2411 : 10분 더 줘도 점수 그대로 나올듯 2511 : 10분 남음 2611...
-
마크 보통 자바로 하나 11 1
기억이..
-
가나지문 6평 임대차 생각으로 갔는데 뭔가 진짜 사설틱했음 느낌이 그냥 아직 다시...
-
탐구 조언 부탁드립니다 3 0
아무리 그래도 과1사1 보단 한쪽 2개를 하는게 낫겠죠? 과1사1을 한다면...
-
모든 경우가 답이 아님을 논박하려하기보다는 문제의 상황상 답이 되는 지향점을 찾고...
-
집도착 1 0
폰 배터리 4% 남음 막차 사수 성공함 돈 저금통장에서 빼서 메꿨음 대성공이네
-
영어 상평때 20점이 깎이면 17 7
그 당시 나머지 과목 점수 관계없이 문과 연고대는 원서 내자마자 즉사고 서성한도...
-
백인덕 vs 흑인때문 11 1
엌ㅋㅋㅋㅋㅋㅋ
-
얘는 머하는 애임 4 1
평화롭군
작수에도 사파비 ㄷ 오스만 기출됐어여! 25학년에도 나왔습니다
와 엄청 어렵구나 한국사 확장판인줄 알았는데 생각할게 많네
21학년도 기출 이후에나 등장한 지엽적인 개념이고,
21학년도부터 15개정 시작이기에,
21학년도 기출 이후에나 등장한 ???
말이좀 이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