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 오후 복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83136
주제: 공익 실현 방법이 무엇인가?
문제 1
1,3 개인의 도덕적 의지 혹은 사적 동기에 따라 자율적으로 공익 실현
2,4 개인의 이기심 경계하며 국가적 차원에서 타율적으로 공익 실현
1: 공자 인 어쩌구 도덕적 의지에 따라 자연스레 공익 실현
3: 개인의 친밀도에 따른 행동이 역설적으로 공익을 실현
차이점: 1은 인간의 이상적인 자율적 의지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 3은 친밀도에 따른 공익 실현되는 현실적인 사례 제시(어느 OO마을에 대한 이야기였음)
2: 개인의 이기심 때문에 공익 실현 안되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해야함
4: 아리스토텔레스 어쩌구.. 공익 실현되는 이유는 공익이 자신에게 이익되기 때문이라는 걸 개인도 알고 있음. 철저히 이기적 동기. 그러니까 국가에서 이기심 경계해서 관리해야함
공통점: 개인의 이기심 주목
차이점: 2는 개인의 이기적 본성 자체 주목하는 반면 4는 이기심이 역설적으로 공익 실현하는 수단임을 주목
문제 2
자료 1-1 국가 a는 국가 중심으로 노인 돌봄, 국가 b는 가정 중심으로 노인 돌봄->a는 2,4 b는 1,3
자료 1-2 대충 국가 a의 노인은 병걸리고 사망률 높은데 개선이 안되는 상황, 국가 b는 병, 사망률 10년동안 꾸준히 감소 -> 1,3 지지
자료 2 공직자 부정부패를 국가 a는 국가적으로 감시 제도 마련해서 10년동안 감소 국가 b는 아무것도 안해서 그대로 -> 2,4 지지(여기서 마지막에 a를 b라고 잘못 쓴 듯 ㅋㅋ;;)
자료 3 기억 안나는데 대충 어떤 부분은 국가 a가 긍정적 지표고 어떤 부분은 국가 b가 긍정적 지표 양가적 평가 가능(여기서 국가가 포괄적 복지제도를 시행해야한다는 지표에서 국가 a가 높은 게 있었는데 이건 긍부정이 아니라 그냥 2,4에 해당하는 입장, 개인의 자율성이 공익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는 지표에서 국가 b가 높은 게 있었는데 이것도 긍부정이 아니라 그냥 1,3에 해당하는 입장이므로 자료1-1과 엮었음)
지료 4 실증적 자료였음 국가 b가 상대적으로 봉사시간 높고 사회 신뢰 협력 지수?높음 반면 국가 a는 국가시설 안전 지수 높음 다른 자료들도 있었는데 대충 체리피킹
->자료 3처럼 체리피킹해서 양가적 평가 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이면의 사실 찾을 수 있었음. 바로 국가 b는 사회 신뢰 협력 지수는 a보다 월등히 높은데 국가시설 안전 지수는 월등히 낮음. 즉 현실에 모순이 있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해야한다는 2,4지지
문제 3
국가 c가 환경보호 위해 일회용품 사용에 세금 부과(2,4입장)하는 정책 마련할지
-> 나는 찬성했음. 시민들의 자율성에 맡기는 건 제시문 2처럼 개인의 이기심 간과한 오만한 생각. 더군다나 일회용품이 현실적으로 너무 편리하기 때문에 이를 자율적으로 안쓰기 더 힘들 것
자료 2에서도 b가 공직자 부정부패 만연하는데 아무 조치 안해서 여전했지만 a는 제도 마련해서 부패 청산한거처럼 환경 보호라는 공익 실현하기 위해서는 세금 부과라는 정책이 필요함
일각에서는 자료 1-2(이거를 자료2로 잘못 쓴 듯ㅋㅋ;;)를 근거로 가정에서 돌보는 노인이 병이랑 사망률 낮아지는 공익 실현했으니까 가정에서 환경 보호의 중요성 가르치면 굳이 세금까지 매길 필요 있냐고 반론 제기할 것임. 근데 자료 4에서 사회 협력 신뢰 지수는 높은데 국가기반시설 안전지수는 낮았던거처럼, 설령 시민들이 환경 보호 중요성 인지하게 되더라도 이게 일회용품 사용 자제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칼럼] 4/10편 대학 원서 라인 스스로 잡는 법 4 5
교차지원 흐름과 군별 조합이 입결을 결정합니다 지원 구조를 모르면 입결이 왜...
-
국어 영어 원툴 대거 포진.. 탐구 갑자기 3 껴있는놈도 많고
-
내년엔지1지2를할지도 4 0
지2맛보기
-
중대 인논 내신교과 반영 질문 0 0
내신 3년 평균 2.78 정도 되고 두루두루 2,3 나온편이라 중대식 인논...
-
미기확 85점,88점,92점 이상만 들어와보셈 17 1
현역인데 겨울방학 안에 수학 대충 개념,기출,입문N제까지 다 풀 수 있을까요?
-
술 무러 감 4 1
캬캬
-
탐구 하나 3뜰수도 있음 수학은 84 성대 자전 가능한가요?
-
비유좀해주셈 .. 그리고 국어고자는 생윤하면 ㅈ됨?
-
캠 각도는 묘하게 할카스스러운데 묘하게 빨려듦
-
페이커 ㅈㄴ 빡친듯 5 1
화난게 보이네 빨리 마무리하자 분위기 너무 안좋다
-
1년동안 나눈 대화의 90%가 이거였어서.. 시발 롤하다가도 수능 얘기하고있네
-
수능과외는 비수기인가 2 0
2027대비 슬슬 구하려는데 영 안 구해지네요 흠
-
고경 논술 가야될까요 4 0
내일 고경 논술 가야될까요 정시로 문 뿌술 순 없을까요 ㅜㅜ 안정 아니면 가려구요
-
일본어 베이스 0인데 4 0
일본어공부 수특으로 시작해도 되나
-
다들 수고 많으셨어요~ 1 1
수능 후 논술고사로 바쁘신 분들도 있겠지요. 그래도 대부분은 숨가쁜 레이스를 끝내고...
-
고논 합격률 높아보임? 0 0
성대 사람 개많던데 고대도 비슷할거같은데 나만 그러나 고대 논술이 마지막 희망인데 떨리네
-
23화작 25물지 1컷처럼 6 0
또 욕나오게 할 충격을 줄 등급컷 상승이 26에도 있을 것인가
-
박석준 이분 뭐지? 1 0
수능판 안본지 2년 됐는데 이분 3타시네 ㄷㄷㄷ 처음뵘 메가 타수 마지막으로 본게...
-
아직 표본 적어서 별로 안정확하다는거같은데
-
생1 그정도로 괴랄했음?? 6 0
리얼궁금한거임 강사들도 다 좆박았다할정도면
-
서강대 3:30 25 0
1-1: 20409 1-2: -3/2 0 -1/2 -1/2 1-3: -96e^-9...
-
베라 맛 추천좀여 3 0
애플민트가 없어서;
-
숭실대 인문논술 5 0
올해 왜 쉬운 느낌이지.. 다른 응시자 분들도 그랬나요
-
수능 그 당일날 러셀 모의수능 보고 왔는데 공통에서 15 21 22 틀라고 미적은...
-
공부 안하니까 행복 1 1
결과고 뭐고 그냥 지금은 놀래
-
경한 논술 잘 붙나요? 3 0
최저 맞췄는데 써볼걸 하..
-
이거 산출오류인가요? 2 0
너무 이상한데
-
민지야 3 0
곱다 고와
-
또 나만 아무것도 못갖췄지
-
내년엔 2 0
화경 할 것 같아요 네
-
jlpt 준비해보신 분 있음? 7 0
수능끝나고 너무 쓰레기처럼 사는거같아서 뭔가 생산적인 걸 해보려고하는데 앞으로 좀...
-
아시는 분 계신가요....
-
성대 인논 개요 3 0
그 시험지 껍데기??라고 부르나 암튼 그 인적사항 기재된 커다란 종이 안쪽에 써도...
-
ㅆ발 언매 공부 제대로할걸.. 3 0
진짜 언매에서 4개 나갈줄은 몰랐다 9모 3개가 최대라고 생각했는데 ㅠㅠ
-
근데 스나이퍼 3 0
엄청 후하더니 민심보고 업데이트 너무 짜게한거 아님?ㅜㅜ
-
택배빨리와주세요 5 1
혐기증 올거 같아요
-
개웃겨서 도함수 낳음 0 1
이건 또 뭐임 ㅋㅋ
-
난 일단 보기 먼저 안 읽는 사람이고 이번 문학은 18번 하나 틀림 대부분 강사들은...
-
21번 하나 남기고 25분 남았는데 운 좋게 정답 케이스를 먼저 검증하게 됐는데도...
-
교대 심화전공 8 0
교대 입학하면 심화전공도 복수 전공? 처럼 두 개의 전공 (예를 들어 초등교육과...
-
1~2등급말고 3~4등급라인이요..
-
프롬자동결제도 해지했다 0 0
인생이 망하게 생겼는데 이게 다 뭔의미냐
-
케이스 안 나눠도 되긴한데 그러면
-
사탐 물변표 불변표 유리?? 4 0
사탐 생윤 윤사 각각 백분위 93 95정도면 불변표가 유리한가요 물변표가...
-
고경 0 0
90 99 2 95 97면 붙을만 한가요? ㅜㅜ 경제 생명입니다
-
서강대 2-2 5 0
서강대 2-2 답 뭐였는지 아시는분 있나요 1/3 ln8/7 인가 나왔던거 같은데...
-
이화여대 논술 4 0
수리논술 시간이 8:30~12:30이라고만 되어있고 학과별 세부일정이 아직 안...
-
???: 대학 절반만 갈래?
-
영어2등급도 연대에서 큰 타격 없는거죠??
-
유전자의 한계를 인식하니까 0 0
마음이 좀 편해진 것 같음 사촌들 다 합쳐도 서성한보다 높은 대학을 나온 사람이 단...
무슨 과 쓰셨나요?
경영 썼습니다!
잘 쓰셔서 좋은 결과 있으실 것 같아요! 같이 합격하면 좋겠네요 ㅠ.ㅠ
합격하시길 바랄게요!!
혹시 13 24 공익실현을 할때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구분 구분x로 나눴는데 문제있을까요?
그것도 일리 있어보이는데 개인의 자율성vs사회적 개입이 중요한 쟁점이었던 거 같아요..!
저 다 똑같이 썻늠제 1/4 2/3햇어요...틀린듯ㅅㅂ
전 다똑같은데 1,3을 도덕적,보편적 가치에 의한 공익의 공적실현으로 2,4를 개인의 자발적,자율적 참여에 의한 공익의 사적실현으로 나눴네요...
1이 사사로움을 경계하는것과 3이 사적인것으로 여겨진 친밀감의 공적발현에 초점맞추고 2를 공적영역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교리,신념을 통해 실현한사례에 4를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민주주의에 초점맞춰서 이렇게 전개하긴했습니다
근데 위에서 말했듯이 자료3에서 a국이 국가가 포괄적 복지제도를 실현해야한다고 본다는 거랑 문제3에서 국가 차원에서 세금 매기는 정책을 설명하기 위해선 국가vs개인이라는 패러다임이 제일 중심적인 이야기 아닐까요??
계속 생각해보니 작성자 분의 주장이 99퍼센트로 정배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네... 제 주장은 이항대립을 요구하는 논술에 매우 부적합하네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