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 오후 복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83136
주제: 공익 실현 방법이 무엇인가?
문제 1
1,3 개인의 도덕적 의지 혹은 사적 동기에 따라 자율적으로 공익 실현
2,4 개인의 이기심 경계하며 국가적 차원에서 타율적으로 공익 실현
1: 공자 인 어쩌구 도덕적 의지에 따라 자연스레 공익 실현
3: 개인의 친밀도에 따른 행동이 역설적으로 공익을 실현
차이점: 1은 인간의 이상적인 자율적 의지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 3은 친밀도에 따른 공익 실현되는 현실적인 사례 제시(어느 OO마을에 대한 이야기였음)
2: 개인의 이기심 때문에 공익 실현 안되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해야함
4: 아리스토텔레스 어쩌구.. 공익 실현되는 이유는 공익이 자신에게 이익되기 때문이라는 걸 개인도 알고 있음. 철저히 이기적 동기. 그러니까 국가에서 이기심 경계해서 관리해야함
공통점: 개인의 이기심 주목
차이점: 2는 개인의 이기적 본성 자체 주목하는 반면 4는 이기심이 역설적으로 공익 실현하는 수단임을 주목
문제 2
자료 1-1 국가 a는 국가 중심으로 노인 돌봄, 국가 b는 가정 중심으로 노인 돌봄->a는 2,4 b는 1,3
자료 1-2 대충 국가 a의 노인은 병걸리고 사망률 높은데 개선이 안되는 상황, 국가 b는 병, 사망률 10년동안 꾸준히 감소 -> 1,3 지지
자료 2 공직자 부정부패를 국가 a는 국가적으로 감시 제도 마련해서 10년동안 감소 국가 b는 아무것도 안해서 그대로 -> 2,4 지지(여기서 마지막에 a를 b라고 잘못 쓴 듯 ㅋㅋ;;)
자료 3 기억 안나는데 대충 어떤 부분은 국가 a가 긍정적 지표고 어떤 부분은 국가 b가 긍정적 지표 양가적 평가 가능(여기서 국가가 포괄적 복지제도를 시행해야한다는 지표에서 국가 a가 높은 게 있었는데 이건 긍부정이 아니라 그냥 2,4에 해당하는 입장, 개인의 자율성이 공익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는 지표에서 국가 b가 높은 게 있었는데 이것도 긍부정이 아니라 그냥 1,3에 해당하는 입장이므로 자료1-1과 엮었음)
지료 4 실증적 자료였음 국가 b가 상대적으로 봉사시간 높고 사회 신뢰 협력 지수?높음 반면 국가 a는 국가시설 안전 지수 높음 다른 자료들도 있었는데 대충 체리피킹
->자료 3처럼 체리피킹해서 양가적 평가 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이면의 사실 찾을 수 있었음. 바로 국가 b는 사회 신뢰 협력 지수는 a보다 월등히 높은데 국가시설 안전 지수는 월등히 낮음. 즉 현실에 모순이 있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해야한다는 2,4지지
문제 3
국가 c가 환경보호 위해 일회용품 사용에 세금 부과(2,4입장)하는 정책 마련할지
-> 나는 찬성했음. 시민들의 자율성에 맡기는 건 제시문 2처럼 개인의 이기심 간과한 오만한 생각. 더군다나 일회용품이 현실적으로 너무 편리하기 때문에 이를 자율적으로 안쓰기 더 힘들 것
자료 2에서도 b가 공직자 부정부패 만연하는데 아무 조치 안해서 여전했지만 a는 제도 마련해서 부패 청산한거처럼 환경 보호라는 공익 실현하기 위해서는 세금 부과라는 정책이 필요함
일각에서는 자료 1-2(이거를 자료2로 잘못 쓴 듯ㅋㅋ;;)를 근거로 가정에서 돌보는 노인이 병이랑 사망률 낮아지는 공익 실현했으니까 가정에서 환경 보호의 중요성 가르치면 굳이 세금까지 매길 필요 있냐고 반론 제기할 것임. 근데 자료 4에서 사회 협력 신뢰 지수는 높은데 국가기반시설 안전지수는 낮았던거처럼, 설령 시민들이 환경 보호 중요성 인지하게 되더라도 이게 일회용품 사용 자제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콘텐츠는 상관없습니다 다들 다양하게 알려주세여
-
제발 영어 3등급 고대 0 0
언매 87 확통 88 생윤 48 사문 44 고대 제일 낮은과도 안될까요 제발요ㅠ
-
실채깠는데 17 0
와작 1컷 86! 미적 1컷 84! 이컷뜨면 난 진짜 오르가즘 느낄듯
-
개씨발
-
캐치마인드하자 0 0
사실 캐치마인드 할줄모름
-
본인 취미 1 2
집에서 한참 떨어진 곳 가서 혼자 이어폰끼고 밤 전용 플레이리스트 들으면서...
-
탐구 추천 5 0
생1 빼고 물1 빼고 화1 빼고 물2 화2 빼고 아 무 거 나 하셈
-
ㅏ
-
27수능 과탐 뭐할까요 1 0
올해수능 물1화2 50 36으로 화2버리고 화1이나 생1, 또는 화2 스테이...
-
너무컷어
-
옛 투과목 인상인가
-
아 게임도 영화도 사야하는구나 2 0
이 당연한걸 왜 잊고있었지 피뎁 안썼는데도 피뎁충마인드 탑재된거보소
-
하
-
9평 86 89 2 96 96 인데 수능 62 79 4 75 86….진짜 죽고싶군아...
-
정시 어디까지 써볼까요..? 10 0
이점수로 써본다면 어디까지 써볼수 있을까요..? 고대 화학 써보고 싶긴 한데…
-
바보같음?님들이 보기엔 어떰
-
많은 공부량을 던져주는 게 아니라 필요한 것만 쏙쏙 가르쳐줘야 한다는 제 소신인데...
-
내 생각에는 그냥 운인거 같은데 21 5
다들 운으로 탓하기에는 너무 회피하는 것 같고 사실 운 때문이면 더 잔인한거니깐...
-
수능 영어 풀어본 후기 8 0
영어에도 칸트가 또나오네 ㅋㅋㅋ 상평시절 느낌이 많이났음 뭔소리야 싶은 문제도 몇개...
-
62 79 4 75 86 확통사탐
-
내년에도 문디컬 ㄱㄴ임? 2 0
되려나?
-
내신 cc 서울대 정시 1 1
서울대식 3점차정도라는데 국어나 수학 몇문제 더 맞히면 되는건가요?
-
순애물 추천좀 0 0
소설 라노벨 히토미 등 아무거나 ㅊㅊ
-
ㅋㅋ 재수나할까... 고2 10모->수능 총등급이 10등급 올랐는데 뭔가 더 하면...
-
중경시 공대 가능한가요
-
하루만 기다리면 수능이에요! 2 0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노력하는게 의미있나싶음 1 0
25국어처럼 기출틱하게 나오는 시험 아니면 결국 운빨겜되는건데 현생살면서 실모정도만...
-
오르비 흥하자
-
고신의 0 0
일반고 면접 해보신 분 쪽지 좀 주시면 안될까요?
-
준비시간 얼마나 줌??
-
올 2등급이면 어디감뇨 1 0
평백 93~94인데 탐구 백분위가 높은편이면.. 제가 정시는 잘 몰라서 ㅠㅠㅠ
-
DVE9MGU 6 1
DVE9MGU
-
이제 뭐 어케해야할까 1 0
진짜 수능만 바라보면서 살았는데 망하니까 앞날이 ㄹㅇ 안보임 군대갈까
-
나가서걷다가야식이나사와야겟다 5 1
룰루랄라 사실배달안시킴
-
기하 미적 선택질문.. 2 0
9평 선택기하 다맞았는데 수능 기하 29 30못풀고 88점입니다 솔직히 다시풀어도...
-
6수짬빠로 라인잡기나 해볼까 2 1
흠
-
케이온 회독이나 해야겠다 4 0
로맨스 보려고했는데 한두개 보니까 다시 방티탐 멤버들이 보고싶어짐 이걸 몇 번째 보는건지ㅋㅋㅋㅋ
-
대학 라인 3 0
전에 글 올리긴 했는데 좀 불안해서.. 객관적으로 대학라인만 한번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나랑 리트 설명회 보러갈 사람 있나요 11월 27일 이원준 온다는데 걍 친구가 없어
-
https://orbi.kr/00075596857 으악
-
난잘살고싶은꿈밖에없는데 0 1
그꿈이너무거대한꿈이었나봐
-
24수능 당시 분위기 기억하는 틀딱 25 6
1. 국수 동시 90점대 사실상 전멸. 있으면 신 취급받음 2. 9평 수학 96...
-
인생 0 0
나 이제 논술도 안되면 죽음밖에 답이없다 그냥 한숨만 나오네 하루빨리 죽어서...
-
댓 ㄱ
-
이 성적이면 어디 가나요.. 0 0
문과 자연 뭐 어디든 상관없는데 아주대에서 반수하는거라 마지노선이 건동홍인데ㅠㅠ될까요
-
이거 연대 된다고 보시나요 3 1
하.... 밤되니까 또 입시병도져서 뒤적거리고 있어요 연세대가 고려대보단 가능성...
-
화작 -3 공통 -12 지금 메가 2컷이 84까지인데 여기서 더 오를 가능성이 있나요?
-
이룬게좆도없는한해다 2 1
아...
-
수능 끝나고 보는 오르비 0 0
현실을 부정하고 뇌빼고 쉴 수 있는 시간..
-
뭐가 금지단어라는거임 5 0
글 너무 쪽팔리긴한데 궁금해서..
무슨 과 쓰셨나요?
경영 썼습니다!
잘 쓰셔서 좋은 결과 있으실 것 같아요! 같이 합격하면 좋겠네요 ㅠ.ㅠ
합격하시길 바랄게요!!
혹시 13 24 공익실현을 할때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구분 구분x로 나눴는데 문제있을까요?
그것도 일리 있어보이는데 개인의 자율성vs사회적 개입이 중요한 쟁점이었던 거 같아요..!
저 다 똑같이 썻늠제 1/4 2/3햇어요...틀린듯ㅅㅂ
전 다똑같은데 1,3을 도덕적,보편적 가치에 의한 공익의 공적실현으로 2,4를 개인의 자발적,자율적 참여에 의한 공익의 사적실현으로 나눴네요...
1이 사사로움을 경계하는것과 3이 사적인것으로 여겨진 친밀감의 공적발현에 초점맞추고 2를 공적영역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교리,신념을 통해 실현한사례에 4를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민주주의에 초점맞춰서 이렇게 전개하긴했습니다
근데 위에서 말했듯이 자료3에서 a국이 국가가 포괄적 복지제도를 실현해야한다고 본다는 거랑 문제3에서 국가 차원에서 세금 매기는 정책을 설명하기 위해선 국가vs개인이라는 패러다임이 제일 중심적인 이야기 아닐까요??
계속 생각해보니 작성자 분의 주장이 99퍼센트로 정배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네... 제 주장은 이항대립을 요구하는 논술에 매우 부적합하네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