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제시문 면접 준비 방향성(부산교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74123
제시문 면접은 말로하는 논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생기부 면접과 준비 방향성이 다릅니다.
작년 부산교대 기출문제 한 문항을 토대로 출제의도와 예시답안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제시문 면접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현재 과외로 진행 중인 사항이 있어 모든 문항을 공유해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출제의도
이 문제는 단순히 리코더 팀 구성 방식을 묻는 것이 아니라, 교육 활동 속에 숨어 있는 가치 갈등을 찾아내고 이를 논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입니다. 특히 과정 중심 가치와 결과 중심 가치의 충돌을 이해할 수 있는지가 핵심입니다.
첫째, 문제 속 가치 갈등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김 교사의 입장은 연주 실력 중심의 선발을 강조하여 결과 중심, 효율 중심 가치를 반영합니다. 박 교사의 입장은 모든 학생의 참여를 강조하여 과정 중심, 포용 중심 가치를 드러냅니다. 이처럼 겉으로는 선발 방식 논쟁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교육철학의 대비가 숨어 있으며, 지원자가 이를 읽어낼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둘째, 가치의 장단점을 논리적으로 비교·설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학교 행사에는 높은 완성도가 필요하지만, 동시에 모든 학생에게 배움의 기회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지원자가 두 가치 각각의 필요성과 한계를 균형 있게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셋째, 가치 갈등 상황에서 통합적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교육 현장은 과정과 결과 사이의 딜레마가 늘 존재합니다. 따라서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치를 조화롭게 반영하는 현실적이고 교육적인 절충안을 제시하는 사고력을 보려는 것입니다.
예시답안
리코더 연주팀 구성에 대한 두 교사의 의견은 결과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관점과 과정과 참여를 중시하는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두 입장 모두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습니다.
먼저 김교사는 연주 실력이 뛰어난 학생으로 팀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행사 완성도를 높이고 학교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참여 기회가 일부 학생에게만 집중되어 형평성이 약해지고, 다른 학생들의 동기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김교사는 결과 중심, 효율성 중심의 가치를 지향한다고 판단합니다.
반면 박교사는 모든 학생이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입장은 학생 모두에게 협력과 성취 경험을 제공하고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주 완성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고, 지도 시간이 더 필요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도 있습니다. 박교사는 과정 중심, 포용 중심의 가치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두 관점 모두 의미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교류 행사에서는 일정 수준의 완성도가 필요하지만, 학교 교육의 본질은 모든 학생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난도가 높은 파트는 숙련된 학생이 맡고, 합주나 보조 파트는 전원이 참여하는 방식 등 두 가치를 조화하는 절충안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두 교사의 의견은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할 수 있으며, 행사 완성도와 교육적 경험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접근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합니다.
블로그에 교대면접 관련 자료들 있으니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이나 챗 주세요!
https://m.blog.naver.com/zaehee_1994/223971854798?referrerCode=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제 국어공부법 메타는 0 0
유기적연결이나 구조적독해, 이해하며읽기 이딴거 다 집어치우고 무지성 눈알굴리기에...
-
엽떡 먹을까 12 2
차짬 먹을까
-
엄빠가저때문에싸워요 10 1
멘헤라 on
-
팀 오르비 건대 전자 화이팅 0 1
엄빠 없어서 좀 외롭네연
-
실모 200개 넘게풀었는데 0 0
현역이후로 2년동안 실모200개 넘게풀고 엔제 뉴런 기출 다하면 수능준비 삼년동안...
-
08 의대 증원 0 0
되나요
-
라인선정 0 0
OMR실수가 너무 나가버려서.. 국어 91% 수학 91% 영 1 한 1 정법 97%...
-
구라임. 문학 강민철 독서 유신 현강 이렇게들으려는데어떰 괜찮나요
-
군필6수 의대 괜찮나요 4 0
.
-
수능 볼 때 거슬렸던거 0 0
고사장 바로 옆에 지하철이 지상으로 돌아다녀서 자꾸 지하철 지나다니는소리 ㅈㄴ 남...
-
숭실대 논술 8 0
내 답 반박시 내말이 다 맞음 1 e-1/3 2794 84
-
뭐 하지 4 0
하암
-
삼수 고민 0 0
건강상의 이유로 고2 2학기때 자퇴해서 미술 입시 하다가 24년 수능은 응시 조건이...
-
동생이 하는 말이 상처되네요 4 1
수능망친 저를 되게 무시하듯 말해요 누나가 그러니깐 안되는거라고..되겠냐고 제...
-
가군에 충남대 인문자전 나군에 충남대 경제 이런식으로
-
제가 이해가 안돼서 그런데 제가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학과가 23년부터...
-
정시 기균 어디 가능하나요 0 0
백분위 58 91 2 88 85
-
칸트 눈알굴리기로만 풀음 5 0
이해 하나도 못했는데 다 풀리긴하더라
-
넵.
-
서성한 진짜 끝자락 못가나요 4 0
진짜 문과여도 좋으미까 대학만 갈 수 있으면 됩니다..
-
이번 국어 공통틀 선택틀 2 0
선택틀 많은게 원점수에 비해 표점 유리할까요?
-
생윤 2컷 몇으로 보시나요 0 0
지금 41인데 딱 2컷에 걸쳤는데 논술 최저땜에….
-
걍 하루만 쉬고 약속잡아버렷는데 친구가 밥 사준대서 밥이나 얻어먹어야지 하
-
단국논 5 0
과잠 입고 온 애들 왜이렇게 많냐 ㅋㅋㅋㅋ
-
ㄹㅇㄹㅇㄹㅇ
-
TEAM 06 파이팅 6 1
예아
-
생1 1컷 42 기원 3일차 2 0
쓰면서도 어처구니없네 이게 1컷 42가아니면 뭔데 ㅋㅋ
-
삼수하렵니다 7 4
공부 ㅈ도안하고 작수보다 잘나오길바란건 진짜 병신같은생각이었던거 같아요
-
개빡침...이번에 국수 100 100에 과탐만 못봄...도움이 안댜....ㅠ
-
가천대 일반전형2 1 0
국어 백분위 85 수학 백분위 85 영어4 되나요 ??
-
고닉 다 증발했네 8 0
다 어디갔냐
-
대학 가면 기하 필수겠지
-
교수님점수가이게뭐에요??? 8 2
이게뭐에요???
-
20번 (나)가 10이었구나 8 0
난 왜 8로 나왔을까
-
근데 칸트 그정도였나 3 0
문제를 맞추는 것 까지는 할만한 세트 아닌가
-
인문논술 독학 2 0
다음주가 논술인데 지금부터 독학해도 안 늦겠죠? 논술은 정말 처음이라
-
이게 성대밖에 안된다고?? 8 0
화작 97 확통 96 영어 3 경제 98 사문 96 고경은 당연히 되고 서울대 한번...
-
영어 2506 vs 2611 4 0
2506이 압승이라 생각했는데 2611이 더 어려웠나…
-
국어 근데 가채점 불안해 죽겠어요 11 0
95점이긴한데 이게 가채점표 안써서 기억에 의존해서 한거라 너무 다르면 어쩌죠 대충...
-
그래서 지금이 상대평가임? 거의 7~8년전 이야기를 도대체 왜 꺼내는 거임
-
인생이란게 이런거구나 3 1
평소에 90아래로 내려가 본적이 없는 수학이 계산실수 3개로 84로 내리터지고...
-
수능 끝나고 노는 거 6 0
몇 일 노는 거 추천해요? 수학 실모랑 국어 풀고 감유지 해야 과외 ㄱㄴ하지 않나요
-
가채점표에 작성한 것과 답이 2개 다르거든요? 이거 푼대로 맞았을 가능성 0일까요?...
-
구글직원이 알려주는 20대 초반 신입들에게 연봉 6억을 주는 회사들 16 3
수능끝난 수험생 여러분들이 흥미롭게 생각할만한 얘기가 있어서 한번 들고...
-
컴싸로 그렇게 길게 쓰려니까 ㅈㄴ 불편하더라
-
내년에 심찬우 해설 무조건 들어볼꺼임
-
논술 궁금한점 0 0
커트 몇점이다 예상하는 거 답만 보고 하는 건가? 풀이 이상하고 답만 맞을 수 있는...
-
국어 고득점자는 많은것같은데 수학 잘본사람이 잘 안보임
-
그 동안의 기조에서 완전히 탈피한 ‘규격 외’의 시험이라서 등급컷이 이렇게 대폭...
-
그저 ‘통보’와 ‘선언’이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