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수능 국어 철학지문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518162
철학에서 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인격’, 그중 ‘나’를 ‘자아’(=나)라고 한다.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동일성은 모든 생각의 기반이다. 우리는 과거의 내가 현재의 나와 동일한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이기에 과거에 내가 한 약속을 현재의 내가 지켜야 한다고 판단한다. 칸트 이전까지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생각하는 나’)이 단일한 주관(=인식(= ‘앎’)의 주체)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 ‘주관’은 인식의 주체를 가리키며, ‘인식’은 ‘앎’을 말한다.
그러나 칸트는 ‘나는 생각한다.’, 즉 ‘자기의식’(= ‘나는 생각한다.’)은 인식( = ‘앎’)이 이루어 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본다. 그러한 조건 자체는 무언가가 실재함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렇 기에 자기의식( ‘=나는 생각한다.’)은 ‘생각하는 나’(=영혼)가 단일한 주관(=앎의 주체)으로서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 즉 ‘영혼(=‘생각하는 나’)의 실재함’을 보장하지 않고,14① ‘영혼(=‘생각하는 나’)이 실재할 가능성’을 열어둘 뿐이다.15③
[A 문단]이를 바탕으로 칸트는 영혼이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이라는 견해를 반박 한다. 칸트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스스로의 동일성을 의식 하는 것은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이다.’와 ‘영혼이 자기의식을 한다.’라는 두 전제 모두 납득할 수 있다고 보지만, 그 전제들로부터 ‘영혼이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이다.’라는 결론은 도출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첫 번째 전제에 등장하는 ‘의식’은 실제로 존재하는 무언가에 대해 의식한다는 뜻이지만, ‘생각하는 나는 생각한다.’와 다름없는 두 번째 전제에 등장하는 ‘의식’은 무언가가 꼭 실재함을 뜻하지는 않기 때문이다.15①
칸트는 통시적으로 동일한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존재를 직접 증명하는 대신 ‘시간의 흐름 속에서 마주치는 복수의 주관(=앎의 주체)이 동일한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으로 인식된다.’라는 가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래야 경험적 판단, 윤리적 판단 등의 생각이 가능하기 때문 이다. 생각의 구성은 시간의 흐름을 따르는데,14② 이러한 구성은 통시적으로 동일한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스트로슨은 자아(=나)를 인식( = ‘앎’)하는 방식이 경험적 인식의 방식과 구별된다는 칸트의 견해에 동의하지만, 복수의 주관이 동일한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으로 인식된다고 가정하는 것은 철학적 상상에 불과하다고 칸트를 비판한다.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문제에서 신체를 간과한 칸트와 달리, 스트로슨은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의식과 신체의 복합체로 본다. 스트로슨에 따르면, 시공간적 세계 안에서 우리의 신체14④를 매개로 대상이 경험된다는 것은 과학적 사실이며 자아(=나)에 대한 인식( = ‘앎’)은 경험적 인식( = ‘앎’)들로부터 추상화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공간적 세계에서의 경험이 인격의 통시적 동일성을 뒷받침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자기의식도 마찬가지로 경험에 의존16②하기에, 자기의식이 인식( = ‘앎’)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라는 칸트의 견해는 잘못이라는 것이다.14③
롱게네스는 통시적으로 동일한 자아가 없이는 경험적 인식( = ‘앎’)이 성립할 수조차 없으므로, 자아에 대한 인식( = ‘앎’)은 경험으로부터 추상화 된 것이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그는 자아(=나)와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이 시공간적 세계를 경험하는 인간에만 적용되는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롱게네스는 인간은 도덕적 존재이며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자율성을 지닌 존재라는 칸트의 견해를 인정한다. 그러나 자율성을 지닌다는 것은 시공간적 세계(를 살아가는 동안 경험하는 것들 사이)(=안)에서 (스스로) 선택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려면 신체가 있고 살아 있어야14⑤ 하므로,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동일성의 기준은 각자가 자신의 것이라고 통시적으로 인식( = ‘앎’)하는 신체라고 롱게네스는 주장한다.
14.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칸트에 따르면 자기의식은 영혼의 실재를 보장한다.
② 칸트에 따르면 생각의 구성은 시간의 흐름과 독립적이다.
③ 스트로슨에 따르면 자기의식은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다.
④ 스트로슨에 따르면 의식을 매개로 대상이 경험된다는 것은 과학적 사실이다.
⑤ 롱게네스에 따르면 살아 있다는 것은 시공간적 세계 안에서의 선택에 필수적이다.
일단은 여기까지 계속 만들어서 또 올리겠습니다.
이원준 선생님이 다 이해하지 말고 쟁점만 파악하라고 하시던데
이 지문은 뭔가 다 이해하려고 하면 너무 숨막히고 힘들어서
활자파악만 해도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나머지 문제도 그렇게 해설이 될지는 모르겠는데요 한번 해보겠습니다.
15. [A]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두 전제’를 연결하는 개념의 함의는 실재성과 관련하여 어떤 점에서 서로 다를까?
② ‘복수의 주관이 동일한 인격으로 인식된다.’라는 가정은 어떤 점에서 반박되고 있을까?
③ ‘영혼이 실재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이 납득할 수 없는 견해인 근거는 무엇일까?
④ 인격의 통시적 동일성이 ‘직접 증명’될 수 있다는 견해를 받아 들여야 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⑤ ‘영혼이 자기의식을 한다.’라는 전제가 ‘생각하는 나는 생각한다.’ 라는 전제와 다름없는 근거는 무엇일까?
저는 카페에서 볼 때 3번 골라서 틀렸는데 2문단을 간과한 것 같습니다. 꼭 머리로만 풀지 않고 하나하나 지문에서 찾아서 확인한 후 판단을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나머지 선지는 너무 생각하는 것이 고통스러워서 뭔가 다른 선지 고르신 분 댓글 달아주시면 그러면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힘이 날 것 같아서 그 때 한 번 근거를 찾아보겠습니다
16. 다음은 윗글을 읽고 학생이 작성한 학습 활동지이다.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아래의 핵심 개념에 대해 윗글에 제시된 학자들이 보일 수 있는 입장을 작성해 봅시다.
[핵심 개념 1] 자아에 대한 인식과 경험적 인식
∙칸트 : 자아를 인식하는 방식과 시공간적 세계의 대상들을 경험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은 다르다고 본다. ····················①
∙스트로슨 : 시공간적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경험적 인식은 자아에 대한 인식에 의존한다고 본다. ·······························②
[핵심 개념 2] 추상화 과정
∙스트로슨 : 경험으로부터의 추상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 ‘나’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롱게네스 : 경험으로부터의 추상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 ‘나’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③
[핵심 개념 3] 통시적 인격과 도덕적 존재
∙칸트, 롱게네스 :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율성을 지닌 다는 것을 수용한다. ····························································④
∙칸트, 스트로슨, 롱게네스 : ‘시간의 흐름 속 동일한 인격 으로서의 나’라는 개념을 수용한다. ····································⑤※나≠주체 아닌가 이런 생각들지만(나중에 생각해봤을 때 생각) 그러나 2번이 명백
5번 골랐는데 (그냥 감으로 아닌 것 같아서)
17.
③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
칸트 이전까지 인격(=특정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동일성을 설명(=보장으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생각하는 나’)이 단일한 주관(=인식(= ‘앎’)의 주체)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느낌상 거의 80퍼 이상이 헛소리였음
-
작년에는 파본때 슥 보니까 강아지 얼굴이나 있고 해서 마음이 푸근했는데 올해는 딱...
-
수탐이 어느정도 버틸거 같음? 5 0
미적 원점수 100, 백분위 100 물리 50. 백분위 100 생명 47, 백분위...
-
결국 1 1
나도 n수구나
-
요즘 수능 수학 출제 기조 특 0 1
(가)형 (나)형 시대로 바뀜 그시절 국롤 27 쉬운문제 3문제 킬러 요즘 기조랑...
-
ㅇㅈ 0 0
명
-
수능이 적폐다 0 0
배우신 분들이 어린 학생들을 때찌하는 삿된 짓이다!
-
나말고도 7명정도 더 빈수했더라 근데 소름돋는건 그중 삼수이상이 더 많다는 거임
-
(2706 2709 삼각함수)
-
우리 일년 더 한다 0 0
-
돈도 잔뜩 벌꺼라는거임
-
반수는 어케 하는거임 11 0
어케하는거임
-
확실히 연계나 6,9기조가 수능에 어떻게반영되는지 느낄수 있었음 4 1
좋은 경험이었다 1년 달려보자
-
분노의 스나이핑 간다 0 0
원서영역으로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줘야지 일단 작년에 당했던거 소수과에...
-
윤사 1컷 43 0 0
가능세계있을까요
-
개인적으로 불국어가 좋은 이유 0 0
나도 개ㅈ된다는 느낌이었지만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라 등급은 잘 나옴 이에 비해...
-
진짜 이건 좀 아닌데 아니 진짜 망쳐도 3등급 밑으로 내려가 본 적이 없었는데 이게 이렇게 되네
-
겨울철의류GOAT님 2 0
고대딱지 저한테 파실수 잇나여
-
이거 어디갈수있나요 0 0
반수라서 적어도 서성한은 가야되는데 힘들까요
-
결국엔 니가 맞았다고 하면서 20번 들먹일 거냐?
-
진짜 라인한번만.. 3 0
하 진짜 자살말리네 .. 광명상가걸고 반수했는데 하
-
재수하면정신적으로 좀 힘들깆할듯 아...근데 이딴 성적으로 대학 가는것도 그거대로...
-
유쾌한 반란 실패...!
-
6,9 기조에 맞춰 테마별로 공부하는 게 그나마 최선일려나 14번 도형 15번 수2...
-
수능은 어려웠는데 응시자수 많아지고 의대정원 줄어서 입결이 낮아질지는 모르겠네요.
-
난 왤캐 술에 약한거지
-
설경영이나 설경제가서 메디컬 뛰어넘는 고점갱신할수있을까 0 2
경제학과 금융공학과 통계학을 공부하고싶9나
-
내년 사설 기대되면 개추 2 0
얼마나 어려울까
-
오싹오싹 5 1
사문 1등급 인원 약 10521명 지2 선택자 4996명
-
나는 국어는 성불함 5 0
작수 올해
-
오르비 악귀가 다됐구나 0 1
이제 사라져야지
-
메디컬 찌끄레기라도 될까요 4 0
제발 ㅜㅜ
-
국어만잘하면되지 8 1
그래야해
-
그냥 안 되는구나 0 1
-
내년 생명 사설 진짜 궁금하다 2 1
얼마나 난리날까
-
걍 수학 채점할까 ㅋㅋ 5 0
답 기억하는거 같긴한데 아 아 시 ㅋㅋ
-
대략적으로라도 부탁드려요…
-
ㅇㅈ메타나 하시죠 1 0
근데 이제 AI를 곁들인 실제론 저렇게 안생겼으니 오해 ㄴ
-
존예지잡의대생이면 가능한가요 1 0
존예지잡의대생 학점4.5인데 서울대의대 수련가능한가요
-
제게도 꿈은 잇엇습니다 난잇자나요 문디컬에 가고싶었어요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를...
-
극악무도한 15만 의주빈들과 평생 싸워야하는 직업입니다 멘탈 좋지 못하면 못싸웁니다
-
대학라인봐주세요 1 0
언미영생지 90 88(공통2틀) 2 38 44 112?2인거 같은데 연고 낮과라도...
-
너건따를 능가할 파급력을 보지 못했다
-
얘들아. 2 1
-
자야하는데 1 0
잠이 안와
-
복기할 겸 다시 보는데 진짜 잘 낸 문제들 같아요
-
와 진짜 너무 개처망해서 1 1
할 말 없어짐 여태 수능 영어 전적 1 2 였는데 n수하면서 진짜 살면서 처음으로...
-
새르비 출석체크하겠습니다 7 1
-
왜 스나이퍼에서 가기 쉽게나옴? 입결 높은거로 아는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