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하루 1문제로 최종 점검 (8) (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54982
어느새 마지막 문제입니다!
밤이니까 주무시러 가신 분들은 아마 아침에 보시겠죠?
1문제로 개념 빵꾸 최종 점검하기, 마지막은 어미입니다!
어미도 은근 자주 나오고 있죠??
가물가물한 개념은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합시다!!
댓글에 해설이 있으니 댓글은 다 풀고 난 뒤에 확인해주세요~

시험 잘 보세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뮤톤 귀마개 2 0
뮤톤 귀마개 쓸 예정이거나 수능때 써보신 분 계신가여 수능장에서 쓰려고 사서 오늘...
-
28번 5번 나오먄 좋겟음 1 0
유의미한 표본들에서 5번을 젤 안 찍지 않을까 물론 내가 풀 수 잇다는 가정하에...
-
그래그래 지금 아는게 더 이득이야
-
아맞다 한국사 2 0
언제하지 지금? 내일?
-
학바학임?
-
수능끝나고할일 1 0
1. 여자랑 ____하기
-
총 75분 해놓고 omr 1개에 3개 다 마킹 하라하는거지 한국사 15분 하고 2분...
-
생윤기출 2 0
아직한번도안돌렸는데 그냥 작수만 볼까요? 9평은 분석하긴함
-
ㅜㅜ 고등학교를 2번넘게 다닐동안 수능을 쳤다니
-
페라리로쉐 중국산으로 바꼇네 3 0
뭐 상관없겟지
-
사자가 수능을 보던가 2 1
띠용
-
그냥 편하게 쉬엄쉬엄 공부하는 게 나을련가요 여태까지 공부 진짜 솔직히 부끄러울...
-
국어 쌩노베가 평가원 모고를 시간재고 풀었을 때 5등급 나오면 그냥 글은 읽을 줄 아네 이정도임?
-
학교홈페 공지사항에 안올라와있는데 몇시에 어디로 가야할지 어떻게 알조ㅠㅠ
-
수능 D-1 의 기적 1 3
하루는 "86,400초" 다. "86,400초" 는 꿈을 이루기에 큰 시간이다....
-
순식간에 슬프게만들어줌 2 1
여승은 합장하고 절을 했다. 가지취의 내음새가 났다. 쓸쓸한 낯이 옛날같이 늙었다....
-
난이도 예측 좀 해조 1 0
국어 : 전 9모랑 비슷하게 나올 거 같은데 독서만 좀 더 어렵게 나올 듯?? 수학...
-
아 나도 수능 볼래
-
가보는 게 가급적좋나요? 가면 수능날 긴장을 덜 하려나여 ㅜㅜㅜ
-
진짜 신기한게 작년 국어 수능 내용이 아직까지 생생함 2 4
사실 하나도 기억 안남 수능 끝난 직후에도 답 뭐 찍었는지 기억 안나서 가채점이랑...
정답: ⑤
점검: ㉣과 ㉤ 비교, 관형사절, 의존 명사
-> ④번 해설 참고.
-> 기능적으로 '-는 것'은 명사형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하지만 제시된 문장의 문맥상, '내가 지금 먹는 것'이 '내가 지금 먹기'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다. (*내가 지금 먹기는 엄마의 특별 요리이다.)
-> 따라서 ㉤은 어느 관점에서든 관형사절과 의존 명사의 결합으로 본다. 견해 차가 없다.
①
점검: 명사형 전성 어미, 연결 어미
-> ㉠의 '-기'는 견해 차가 없다. 어느 관점에서든 명사형 전성 어미다.
②
점검: 견해 구별
-> ㉡의 '-기에'는 <보기>의 문장과 마찬가지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 어미이다.
-> 따라서 형식적 관점에서는 명사형 어미와 조사의 결합으로, 기능적 관점에서는 연결 어미로 본다.
-> 즉 ⓐ가 아니라 ⓑ다.
->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연결 어미로 본다.
③
점검: ㉡과 ㉢ 비교, 명사≠용언의 명사형
-> 문장의 뜻을 생각해 보라. 여기서 '-기에'가 '-어서'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고 볼 수가 없다. ㉢의 '크기'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 명사이다.
-> 따라서 견해 차가 없다. 어느 관점에서든 여기서 '크기+에'는 명사+부사격 조사다.
④
점검: 연결 어미
-> 기능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 전체가 명사절의 역할을 한다.
-> '혼자 밥을 먹는 것이 싫다.'는 '혼자 밥을 먹기가 싫다.'와 바꿔 쓸 수 있다는 뜻이다.
-> 즉 기능적으로 '-는 것'은 명사형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그렇다면 형식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은 관형사절과 의존 명사의 결합이지만,
-> 기능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 전체가 명사절의 역할을 하고, 이때 '-는 것'은 명사형 전성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즉 어느 관점에서든 연결 어미가 이끄는 안긴절로는 볼 수 없다.
-> 한편 개념을 떠올려 보면, 연결 어미는 대등절/종속절을 이끌거나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연결한다.
아

언매황직접 만드신거에요? 짱 어려윤거 같은데
변형이에요!
짱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