챠디 [1367089]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11-10 13:54:20
조회수 312

생윤 니부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43750

애국심이란 보다 저급한 충성심이나 지역적 충성과 비교해

볼 때 높은 형태의 이타주의이지만 그것은 절대적 전망에서 보면

한갓 이기주의의 또 다른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지문을 보고 

ㄷ. 집단의 자연적 충동은 결코 이타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를 맞다고 판단했는데 이기주의의 또다른 형태라고 했으니까 이타적인것으로 이해될수 없는게 맞지않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지컬 디망생 · 1023909 · 11/10 14:46 · MS 2020

    결코 이타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옶다
    -> 어떤 경우에도 ~이타적 이란 말인데

    제시문에 저충or 지충과 비교할 때 이타주의라 하네요

    #함수가 다르면 설명/예측이 바뀐다
    스키마로 그려보면
    애국심 -> 비교 -> 이타주의
    애국심 -> 절대적 전망 -> 이기주의

  • 챠디 · 1367089 · 11/10 15:04 · MS 2024

    집단적 충동이 이기주의인건 맞지만 이타주의로도 이해 될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 문지컬 디망생 · 1023909 · 11/10 15:19 · MS 2020

    보편화시켜도 되는진 모르겟어요

    우ㅡ 제시문에서 집단의 자연적 충동->애국심 으로 치환이 가능하니 저렇게 해석되는거지 니부어 관해서 저도 딥하게는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