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적 읽기 [795473] · MS 2018 · 쪽지

2025-11-09 22:24:59
조회수 176

언매) 하루 1문제로 최종 점검 (6)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36579


8개 주제를 준비했는데 벌써 6번째네요!


원래 수요일까지 올리려 했는데, 다들 수요일에는 오르비에 안 오실까봐 오늘 미리 올립니다 ㅎ


남은 문제도 많관부!!




1문제로 개념 빵꾸 최종 점검하기, 6일차는 중세 국어 + 품사입니다 ^^


시험 직전이니 최대한~ 낯설 법하면서도 또 너무 지엽적이지는 않도록 했는데요, (진짜 이런 주제 많지 않음..)

가물가물한 개념은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합시다!!

댓글에 해설이 있으니 댓글은 다 풀고 난 뒤에 확인해주세요!





정답

최대 1개 선택 / ~2025-11-16 22:25:00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심미적 읽기 · 795473 · 9시간 전 · MS 2018

    정답: ③ (㉠, ㉢, ㉤)
    점검: 대명사, 명사≠용언의 명사형, 격 조사
    -> ㉠의 '어느'는 '어느 것'을 뜻하는 대명사로, 주격 조사 'ㅣ'와 결합하였다. [어느(대명사) + ㅣ(주격 조사) + ᅀᅡ(보조사), (=어느 것이)]
    -> ㉢의 '우룸'은 관형어 '됴ᄒᆞᆫ'이 수식하므로 명사이다. [울-(어간) + -움(명사형 어미)] 참고로 용언의 활용형이 명사로 굳어진 것이다.
    -> ㉤의 '제'는 '저'를 뜻하는 대명사로, 주격 조사 'ㅣ'와 결합하였다. [저(재귀 대명사) + ㅣ(주격 조사), (=저가)]


    [오답]
    -> ㉡의 '어느'는 '누'를 수식하는 관형어이다. [어느(관형사) 누(대명사) + ㅣ(주격 조사), (=어느 누가)]
    -> ㉣의 '우루믄'은 부사어 '깃비'가 수식하므로 용언이다. [울-(어간) + -움(명사형 어미) + 은(보조사)]

  • 오나의민철 · 1363552 · 9시간 전 · MS 2024

    체언이 나타난것만 하면 ㄷ만 해야하지않나요
    관계언에 조사 포함해서
    체언과 관계언만 나타난 단어를 고르시오라고 해야하지 않을까요?

  • 심미적 읽기 · 795473 · 8시간 전 · MS 2018

    그렇게 보실 수도 있는데 '체언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해주세요 !

  • 오나의민철 · 1363552 · 8시간 전 · MS 2024

    제가 너무 꼬아서 생각했나보네요 좋은 문제들 감사합니다

  • qbodpbo · 1227343 · 8시간 전 · MS 2023

    언매 문제를 풀면서 어디선가 중세국어는 명사파생접미사와 명사형 전성 어미를 구별한다는 걸 들어서

    3번과 4번의 어미(접사)가 왜 둘다 움인지 궁금합니다

  • 심미적 읽기 · 795473 · 8시간 전 · MS 2018

    옴/움은 접사가 아니라 명사형 어미인데요, 3번처럼 용언의 활용형인데 굳어져 명사가 된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 파생 접사는 ᄋᆞᆷ/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