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미적 282930에 대한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25165
I.
보통 최고난도 문항 출제단원은 미분 적분 퐁당퐁당의 경향이 있는데
(151130미 - 161130적 - 171130미 - 181130적 - 191130미 / 201130미 - 211220적 / 221130적 - 231130미 - 241128적 - 251130미)
이대로라면 올해 최고난도는 적분단원에서 출제되는것이 정배
그러면 어떤 주제 유형의 문제가 나올것인가가 관건인데
적분퍼즐 최고난도는 아닐 것 같음
통계적으로도 그렇지만 적분퍼즐은 풀이 다양성이 떨어지고 보이면 풀고 안보이면 못푸는 측면이 있어서 복합적인 사고력을 요구하는 최고난도 문항으로 내기 어려울 것 같음
구체적으로 말하면, 평가원이 공개하는 수학영역의 평가요소로서 최고난도 킬러가 갖춰야 할 4가지 미덕은 1. 이해력 2. 추론력 3. 계산력 4. 문제해결능력임
그런데 순수 적분퍼즐은 3. 계산력: 주어진 식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능력 이상의 뭔가를 묻기가 까다로운 부분이 있음
일단 통계적으로는 통합미적 체제에서는 역함수 적분이 제일 많은데
아마 상술한 이유와 반대되는 이유 때문일 것으로 보임
역함수 자체로 식 그래프 접근이 갈리고 역함수 적분으로 부분적분 치환적분 넓이해석으로 갈림
특이하게도 작년 수능엔 역함수 적분이 안 나왔음
3점으로 좌천된 것도 아니고 그냥 안 나옴
이유는 모르겠음
4년 연속으로 출제하기엔 꺼려졌을 수도 있고, 내고보니 사설컨에 비슷한게 있어서 바꿨을 수도 있고, 그냥 별 이유 없을 수도 있을 것 같음
만약 올해도 역함수 정적분이 나온다면 교점함수와 엮어서 나오는 시나리오가 개연성 있지 않을까 싶음
6모 9모에서 교점함수 차수논리 떡밥을 뿌렸는데
근 2년간 수능 미적분 출제경향을 보면 28 29 30 모두 사설 저격을 온몸비틀기로 피하려고 하고 있는 것 같아서 내 생각엔 교점함수와 차수논리가 28 29 30에서 크리티컬하게 나올 가능성은 극히 낮을 것 같음
나오더라도 차라리 27번이 가능성 있을 듯
만약 적분 킬러에 교점함수를 넣으면 6모 9모 떡밥이 회수되면서 사교육 저격도 교묘히 피해갈 수 있음
실제로 240628 교점함수는 241128 부분역함수와 접점이 있었음
요약해보자면
1. 올해는 최고난도 킬러가 적분에서 나오는게 정배
2. 통합미적 경향에서 수능 적분 4점은 역함수와 연관이 깊었음
3. 6모 9모 교점함수 떡밥이 회수된다면 미분보다 오히려 적분에서 나올 가능성이 있음
최고난도 적분 문항이 28번으로 출제된다면 2번일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을 것 같음
반대로 30번으로 출제된다면 7 11 13 17 25 31 50 등 찍기 쉬운 답으로 나오지 않을까 싶음
30번으로 안 낸다면 정답률을 숨기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그러면 거기서 변별력을 더 희생시키진 않을 것 같고
30번으로 낸다면 정답률 관리 차원에서 찍기 쉬운 번호를 낼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하는 것이 그 이유
II.
그러면 미분 단원에서는 무엇이 나올 것인가?
관례대로라면 극대극소 판정이 정배임
171130, 191130, 211230, 221128, 231130, 241130, 251130 이렇게 수능에서는 미분 단원에서 주로 극대극소 판정이 핵심 테마로 출제됐고 최근으로 올수록 그런 경향이 더욱 뚜렷해짐
가형 체제에서는 미분법과 극대극소가 퐁당퐁당으로 나오다가, 통합미적 체제에서는 핵심 테마로서 미분법은 3점에서만 나오고 4점은 아예 극대극소만 나오고 있음
물론 이 경향이 끊기더라도 딱히 이상한 것은 아님
왜 이런 경향이 있는가 고찰해보면 적분퍼즐이 안 나오는 그 이유와 동일한 이유가 아닐까 생각함
미분법 또한 물어볼 수 있는 게 제한적인 것 같음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은, 24학년도에 사교육 카르텔 관련 정부 개입 이슈가 한 번 있었던 이후로 n축이 유리한 문제는 안 나오고 있다는 점임
합성함수가 나오더라도, 겉함수 또는 속함수의 증감이 변하지 않는 단순한 개형의 함수만 합성되어 나오고 있음 (251127, 251130, 260628, 260630, 26092)
차수논리를 빼고 생각한다면, 사실상 n축 활용이 무의미한 문제들로서 정부 개입 이전과 확연히 비교됨 (191130, 211230, 221128, 231130, 240628)
올해도 굳이 이 경향을 버릴 이유는 없을 것 같고
결론적으로 정배는 정직하게 부호변화 판정을 통한 극대극소 판정이 핵심 테마인 미분 문제가 2번째 혹은 3번째로 난이도가 높은 문제로서 출제될 것으로 예상
역시 익숙한 문제는 아닐 것임 241130 251130처럼
6모 9모 28번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좀 출제 찐빠였던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서, 실험 실패라고 생각하고 수능 땐 안 나온다에 베팅하고 싶음
III.
급수 문제는 최근 기조로 보아 정수 조건과 엮여 나올 것으로 예상됨
데이터가 부족해서 크게 의미있는 추측은 어려울 것 같은데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사설에서는 대체로 추론에 힘을 줘서 유형 자체가 "급수 추론"으로 불리는 데에 있는 반면
2번의 수능에서 출제된 급수 문제는 추론에 그닥 힘을 주지 않았다는 점
240630과 240929는 추론의 색채가 짙었으나 241129는 이해와 계산의 색채가 짙었으며
251129 또한 추론이 아예 없진 않았으나 단순한 추론에 불과했고 그마저도 계산으로 해결할 길을 열어두었으며 이후의 부등식을 푸는 게 핵심 변별 요소였음
급수는 29번이 고정인가 싶지만 삼도극 또한 28번 29번 모두 출제된 바 있는 만큼 28번으로 변주를 줄 수도 있을 듯
IV. 기타
사설 모의고사를 보면 28 29 30 세 문항의 난이도가 제각각으로 어떤건 너무 어렵고 어떤건 너무 딸깍이고인 경우가 왕왕 있는데
최근 평가원 기조를 보면 28 29 30에서 딱히 거저주는 문항을 만들고 싶지 않은 것 같음
가장 쉬운 문항조차 계산량이나 복잡성 측면에서 결코 가볍지 않게 출제하고 있음
22수능에서는 28번이 주는 문항이었고 23수능에서는 29번이 주는 문항이었으나 24수능에서는 29번조차 계산량이 상당했고, 30번도 문제를 까다롭게 만드는 여러 장치들이 심어져 있었음
25수능도 가장 쉬웠던 28번조차 계산량이 결코 가볍지 않았음
또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게 꼼꼼함임
251130은 계산량 + 개수세기 + 묻는 것이 많음에서 꼼꼼함이 필요했고
251129는 개수세기로서 꼼꼼함이 필요했으며
241130은 변곡점 개수세기로서 빠뜨릴 수 있는 여지가 있었고
241129는 계산량이 많고 답이 특이했기에 실수할 여지가 있었음
이러한 이유들로 100점을 목표로 한다면 늦더라도 30분 전에는 282930으로 들어가는 게 안전하다고 생각함
본인은 22번을 가장 마지막에 풀 생각이기에 아무리 늦어도 40분 전에는 282930으로 들어갈 생각임
아무튼 그렇습니노
뭐가 나오든 계산실수만 안 했으면 좋겠습니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리 이거 오류아님? 10 0
파노라마 시즌1 1회인데 오른쪽에 그려놓은 화살표대로 진행한다고 해설에 써있음....
-
제발 수능 때 실수하지 마라 5 0
검토할게요제발요ㅠㅠ 근데 검토할 시간이 나올지는 미지수
-
(진지) 6모 다시보고 있는데 4 0
임대차 지문 수특 봤으면 되게 쉽게 풀었을 듯 이제 독서도 유의미한 연계 하는건가?
-
스타워킨 << Goat 1 1
-
studyzamo
-
해피밀사러 맥도날드 갔는데 7 3
품절이라 울었어. 저도 로블록스입양하세요피규어 갖고싶어요 근데 이번에 디자인 잘뽑힘 ㄹㅇ임
-
Mcs 3회 후기 0 0
이번꺼는 좀 어려운듯? 28번 무겁고 22번은 걍 k=5/4잡고풀었더니 답나옴...
-
11서프 점수기록 2 0
언매 92 # 17, 26, 36(시간x) 미적 94 # 20, 23 ing..
-
사문 ㅃㄹㅃㄹ 0 0
사회문제랑 갈등이랑 동치임? 갈등론이 사회문제,갈등 필연적이고 기능론은 사회문제랑...
-
뭔염병임? 0 0
아 항마력딸려 똥싸러간다
-
정법사문이랑 국어랑 상관관계 1 0
있을까요? 계속 실모 풀다보니 국어능력도 상승되는 느낌이...
-
미적 2등급 보통 1 0
컷이 몇점대에서 끊기나요? 76은 무리고 80쯤되나요
-
이해원 피날레 난이도 평가좀 1 0
6,9 랑 비슷하나요
-
라이브 뭐임? 0 0
음이탈 개어지럽네
-
생1 비킬러 7 0
비킬러 개념이 좀 흔들리는 것 같아서 수능 전에 단원별 n제 같은걸로 쭉 풀면서...
-
69수능 영어듣기 난이도 1 0
차이나나요?
-
전역하고 복학전에 토익 공부 시작하려고 하는데 제가 지금까지 영어를 전부 감이랑...
-
날씨 좋네 0 0
롤드컵 보기 딱 좋은 날씨다
-
김사까시 무슨 시 지음? 1 0
시인이잖아
-
아이디어 복습법 질문이요 0 0
김기현 풀이를 노트에 오답노트처럼 정리해놨는데, 평소에 사고방식을 숙지해놓고 복습때...
-
맨탈 개털림 ㄹㅇ 괜히풀었음
-
정법 질문 1 0
미성년자인 갑이 처분이 허락된 재산으로 계약을 체결했을 때 계약상대방은 갑이...
-
느린맘이라는 유령이. 오르비의 모든 세력들이, 메가의 법무팀, 관리자와 비갤의...
-
22~26 기출 10-15,20-22만 다시 풀어보는거 ㄱㅊ나요?? 서바...
-
27수능 3 0
내년 수능 27수능을 목표 합니다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국어-화작,수학-확통,사탐...
-
4일 뒤면 내가 수험생임? 9 4
ㅈ반고 댕기는 수험생이 되버렷? ㄹㅇ 쉽지 않네
-
ㅈㄴ불쌍하노 사탐러는 누워서 배 긁으면서 오르비나 보는데
-
김현우는 딴과목 다 합쳐도 압도적으로 좋은 것 같음... 1 1
조교하고 싶지만 종강모 92점따리는 절대할 수 없겠지… 수능 차석과 메이저 의대생이...
-
월즈결승열차출발합니다 1 0
지금수능이중요하냐
-
조때따 0 0
중학생들 슬슬 스카 기어온다 슈바
-
도란아 제발... 1 0
우승가자 지고 우는모습은 보기 싫다 ㅠㅠ
-
피클소스뺀햄버거먹는다 2 1
솔직히 이건 건강식이 맞음
-
고3인디 올해 친 모고는 2 개만 2 뜸 나머진 3. ㅠㅠ 2받고 싶은데 뭐해야하지
-
시험 시작 - 독서론(3~5분) - 언매 (15~18분) : 합쳐서 20분 목표...
-
27번 1번 28번 2번 29번 15 30번 21입니다.
-
분당 두각 김승리 현강 대기 0 0
금요일 저녁반 67인데 언제쯤 빠질까요??
-
쿠팡 실화냐... 5 7
오르비언들 여기로 다 몰려갔나???ㅋㅋㅋ
-
순서문제하나 풀고가잉 8 2
-
근데 이제 뭘 하는게 없어서 너무 무료한게 문제
-
선택과목제 이후 수필 두 개 나온 적 있나요? 그냥 현대 or 고전 중 하나에서...
-
서바점수 의미 있나요? 6모9모 둘다 3이었고 76점 넘은적이없는데 요즘 84점도...
-
아니 수능장에서 다리떠는 건 오히려 좋은 행동임 8 0
경쟁에서 규칙을 지키면서 남보다 앞으로 나아가는 건 그 경쟁에 충실한 거 아님?...
-
물리시발@ 6 1
물리시발!!!!물리시발!!!!!!!!!!!물리시발!!!!!!!!!!!!!!!!!!!...
-
신청 완 4 0
-
그럼 내가 본건 뭔데
-
한국사 공부 0 0
유튭에서 보는게 나음 아니면 이다지 2시간짜리 듣는게 나음?
-
남은시간 공부 비중을 어떻게 가져 가면 좋나요 ? 1 0
화작확통세지사문 이고 9모는 33323 떳습니다 정시파이고 요즘 수학은 거의 안하고...
-
지2 현각 0 0
지2 선택하려는 08인데 현강강사는 누가 젤 좋은가요..?
-
롤드컵 본다vs안본다 1 0
ㅈㄱㄴ
잘 읽었습니노
예아
작년 28번에 역함수 적분 출제 됐는데요
ㅖ?
다른 문제랑 착각하신듯
꼭짓점의 x좌표가 1이고 최고차항이 음수인 2차함수와 같은 개형을 가진 f(0)값이 정해지지 않은 함수 f(x)에 대하여 int 0 to t xf'(x) dx - (접선과 y축, y=f(t)가 만드는 삼각형의 넓이) = g(t)
역함수 적분으로도 볼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t=1 좌우로 기하적 상황의 해석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역함수 정적분을 의도한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오히려 부분적분으로 식을 정리한 뒤 기하적 의미를 발견적으로 끄집어낸 것에 가깝고 그 시점에서는 답을 구하는 데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니까요
왜 하필 g(t)를 그렇게 정의했느냐와 관련된 교과개념도 곡선과 곡선이 이루는 넓이라는 더 합당한 대안이 있기도 하고요
g'(1/2)이나 g'(2)도 아니고 경곗값인 g'(1)을 물었다는 점에서 오히려 역함수 해석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