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적 읽기 [795473] · MS 2018 · 쪽지

2025-11-07 17:12:15
조회수 204

언매) 하루 1문제로 최종 점검 (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03134


1문제로 개념 빵꾸 최종 점검하기, 3일차는 합성어와 파생어입니다!

댓글에 해설이 있으니 댓글은 다 풀고 난 뒤에 확인하세요~







정답

최대 1개 선택 / ~2025-11-14 17:12:15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심미적 읽기 · 795473 · 8시간 전 · MS 2018

    정답: ② (나)
    점검: 사동 표현, 중세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 (나㉠) '알외다'는 파생어로, '알게 하다'의 의미와 관련 있다. 즉 '알-'에 사동 접사가 결합한 것이다. 참고로 '알외다'는 사동 접사 '-오-'와 '-이-'가 이중으로 결합한 것이다.
    -> (나㉡) '엳ᄌᆞᆸ다'는 단일어로, '옅-'에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가 결합한 것이다.

  • 심미적 읽기 · 795473 · 8시간 전 · MS 2018 (수정됨)


    점검: 파생 접사의 기능
    -> (가㉠) '앗갑다'는 파생어로, 동사 '앗기-'가 형용사 '앗갑-'이 되었으므로, 형용사 파생 접사가 결합했을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 (가㉡) '그리다'는 파생어로, 동사 '그리-'가 형용사 '그립-'이 되었으므로, 형용사 파생 접사가 결합했을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점검: 동사 어근
    -> (다㉠) 'ᄃᆞ니다'는 합성어로, '니-'는 동사 어근이다. '-'가 앞에 없다는 것('-니-'가 아니라 '니-'라는 것)이 힌트가 되는데, 이를 통해 접미사나 어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 (다㉡) '맛나다/맞나다'는 합성어로, '나-'는 동사 어근이다. '-'가 앞에 없다는 것('-나-'가 아니라 '나-'라는 것)이 힌트가 되는데, 이를 통해 접미사나 어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점검: 사동 표현, 파생 접사의 기능
    -> (라㉠) '킈우다'는 파생어로, '크게 하다'의 의미와 관련 있다. 즉 '크-'에 사동 접사가 결합한 것이다. 참고로 '킈우다'는 사동 접사 '-이-'와 '-우-'가 이중으로 결합한 것이다.
    -> 또는 형용사 '크-'가 동사 '킈우-'가 되었다는 점을 통해서도 파생어일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 (라㉡) '기르다/기ᄅᆞ다'는 파생어로, '길게 하다'의 의미와 관련 있다. 즉 '길-'에 사동 접사가 결합한 것이다.
    -> 또는 형용사 '길-'이 동사 '기르-/기ᄅᆞ-'가 되었다는 점을 통해서도 파생어일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점검: 파생 접사의 기능
    -> (마㉠) '주검'은 파생어로, 동사 '죽-'이 명사 '주검'이 되었으므로, 명사 파생 접사가 결합했을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 (마㉡) 'ᄭᅮ지람'은 파생어로, 동사 '구짇-'이 명사 'ᄭᅮ지람/ᄭᅮ지럼'이 되었으므로, 명사 파생 접사가 결합했을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8시간 전 · MS 2022

  • 불속성 s대 반수생 · 1305014 · 8시간 전 · MS 2024

    2번
    위에거 사동접사
    밑에거 객체높임 선어말어미

  • 심미적 읽기 · 795473 · 8시간 전 · M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