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ULSE [995797] · MS 2020 · 쪽지

2025-11-06 17:27:16
조회수 230

[물1] 수능직전 꼭 봐야하는 기출논리_251114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90430

안녕하세요 IMPULSE 물리학1 저자입니다!


제가 예측한 올해 26수능 유형에 해당하고


예전 기출 중 꼭 다시 짚어봐야 할 논리가 있는


"굴절 및 전반사 유형 _ 251114" 를 가볍게 다뤄보겠습니다. 올해 무조건 쉽지 않게 나올겁니다.



굴절 및 전반사 유형은 쓰이는 논리가 3개 정도로 매우 일관적입니다. 


(1) 굴절률차가 클수록 임계각이 작다.


(2) 반대로 쏴보기.


(3) 중간매질 무시.



거두절미하고, 바로 251114 풀이 설명하면서 제가 강조하는 논리를 모두 녹여내보겠습니다!





----------Step 1----------


굴절률(n) A,B,C 크기순서 찾아봅시다. (1) 굴절률차가 클수록 임계각이 작다, (2) 반대로 쏴보기. 이용해서요!


A,B 굴절통해 굴절률은 B > A


B,C 전반사했으니 굴절률은 B > C 


그럼 B > A ? C 가 됩니다. 항상 이런식이지요. 두개 남기고 모르는..


이제 위에서 강조한 논리를 써봅시다. 즉, P 단색광을 반대로 쏘는 상황을 같이 다뤄봅시다. 



기존 방향대로 쏜 B->C 에서의 입사각과 


반대 방향대로 쏜 B->A 에서의 입사각은 동일합니다.


그런데 기존방향의 B,C 사이에서만 전반사가 되었다는 것은, 임계각이 B,C 경계면에서가 더 작았다는 것입니다. 


임계각이 작으면 굴절률차가 크지요! 


따라서 굴절률(n)은 B,C 사이의 대소가 멀어야하므로 n : B > A > C 순서입니다.


ㄱ,ㄴ 맞네요.


이렇게 기존 상황과 반대로 쏜 상황을 비교해서, 한놈은 전반사 되고 한놈은 안되어서 굴절률 대소가 다 찾아지는거 개국밥




----------Step 2----------


ㄷ선지 풀어봅시다. (3) 중간매질 무시. 이용해서요!


파동이 매질 A->B->C로 진행할 때, 4개의 각도가 등장합니다. A입사각 / B굴절각 / B입사각 / C굴절각.


이중 중간매질에 해당하는 B에서, “B굴절각”과 “B입사각”이 같다면,


B를 없애고 just A->C 진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바로 적용해볼게요.


R이 C->B->A 로 진행하고 있고, 선지는 A,B 전반사 여부를 묻습니다.


이때 B가 중간매질이고 B 내부의 두 각도(C->B 굴절각, B->A 입사각)가 같으므로 중간매질을 없애면,


just C -> A 입사각 θ 로 쏘면 전반사하냐? 묻는거로 선지를 생각해버릴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전반사는 밀->소에서만 일어나므로


ㄷ선지 땡


끝. 


---------------------------------------------------------


오늘은 이미 다들 잘하고 계실 굴절 및 전반사 작수 문제를 해 보았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뭔가 감에 의존해서 풀고 계실 분들이 있을까봐 강조드립니다.


올해 굴절 및 전반사 어렵습니다. 


정확하게 풀 수 있도록 합싀다!


마지막으로 제 교재 해설 pg 올려둡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