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실수 줄이는 알지만 중요한 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83131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을 앞두고 지구과학1 선택자분들 중에서
1~3페이지에서 계속되는 실수 문제들을 겪는 분들을 위한 간단하지만 중요한 작은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최소한의 신빙성을 위해서 성적을 첨부합니다 순서대로 2211/2309/2311/2409/2411/2509 입니다)
-실수의 치명점
수능 과학 탐구는 2점문제 10문제와 3점문제 10문제로 총 20문제 50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확실한 변별을 위한 킬러문제라고 불리우는 문제들은 주로 4페이지에
분포해 있습니다. 그럼 실질적으로 난이도가 높아서 3점에 배치되는 문제들은
대략 5문제 정도입니다. 그러므로 난이도가 어렵지 않은데 3점에 배치되는 문제들을
실수 같은 이슈들로 틀리게 된다면 4페이지 여려운 문제를 시간들여 맞춘 의미가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특히 지구과학1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수를 줄여 저점을 높이는 전략이 지금 상황에서 더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 자꾸 실수가 나올까?
실수같은 문제들은 왜 발생할까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는 태도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수능 지구과학1 선택자분들은 해당 과목을 수능 시간 가장 마지막에 보실겁니다.
그럼 시간이 대충 오후4시에 이 과목을 응시하는건데
아침일찍 일어나서 긴장된 상태로 국어,수학을 응시하고 점심먹고 긴장이 풀린 상태로
영어와 한국사를 응시하고 탐구 제 1선택을 응시한 상태, 혹은
제1선택이 지구과학1 이라고 하더라도 엄청난 피로감이 쌓인 상태에서 이 과목을 보시게 될겁니다.
이쯤되면 우리의 머리는 평소같은 퍼포먼스가 나오기 힘듭니다.
가뜩이나 지1이 실수가 잦은 과목인데 이러한 상태면 정말 문제가 발생하기가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걸 간과하고 평소에 문제를 풀듯이 가볍게 접근하는 태도때문에 대부분의 실수가 발생합니다.
-어디서 실수를 할까?
먼저 지구과학1에서 발생하는 실수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를 읽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
자료 해석을 대충해서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
선지 판단에서의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의 문항이 문제-자료-선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문제에서 실수, 자료에서 실수, 선지에서 실수 이렇게 크게 3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다음으로는 좀 더 세부적으로 실수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부 예시들을 소개하기 때문에 글을 읽는 분들의 개개인에 상황에 맞게
본인들의 경험들을 떠올려 보세요, 이또한 중요한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문제 단계에서 발생하는 실수
문제 단계에서 실수하는 상황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태풍 유형에서 태풍 자체의 데이터를 나타낸건지 특정 관측소에서 관측한 데이터인지 확인하지 않는 경우.
2. 풍향 관련해서 ‘서풍’과 ‘서쪽으로 향하는 바람’을 착각하는 경우
3. 순서 없이 준 자료를 마치 순서대로 준것처럼 착각해서 읽은 경우
4. 중요 조건 자체를 스킵하여 읽어버린 경우
등등
문제 단계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차분하게 꾹꾹 눌러 읽는다는 느낌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문제를 읽고 바로 자료에 관련 정보들을
‘손으로 써서’ 최대한 햇갈리지않게 인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료 해석 단계에서 실수를 하는 경우
자료에서 착각하는 실수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그래프 자료에서 x축 y축의 정보 확인 하지 않아 생기는 실수
2. x축, y축의 단위 스케일 확인하지 않고 단순 하게 값의 길이만 확인하여 발생하는 실수
3. 각 물리량의 증가 감소 방향을 확인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실수
등등
자료해석 단계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자료를 보기 전 위의 사항들을 반드시 확인을 하고나서
자료해석을 시작하시고 해석결과를 단순 눈으로만 판단하고 기억하지말고
해석의 결과를 옆에다가 적어두는 것입니다. "아니 이거는 당연하거 아니냐"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생각보다 이렇게 본인의 머리를 믿고 이런 처리를 안하시는 분들이 은근히 많고
이걸 하고 안하고의 차이가 수능날 당일 오후 4시 경에는 반드시 있다고 생각합니다.
- 선지 판단에서의 실수
문제도 잘 읽었고 자료해석도 완벽하게 했으나
마지막 선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수는 가장 치명적입니다.
선지 판단 단계에서 착각하는 실수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보다 B는~ 라는 선지를 A는 B보다~ 로 착각하는 경우 혹은 그 역 상황
2. 변화량 과 변화율의 착각
3. 순서 이동의 착각( 'X에서 Y로 갈수록~' 을 'Y에서 X로 갈수록~' 으로 착각하는 경우)
4. 공통질량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상황에서 별에 대한 질문인지 행성에 대한 질문인지
착각하는 경우
5. 맞다고 판단했는데 X표시를 하는 경우
6. 반비례 관계를 가진 물리량을 다루는 문제에서 착각하는 경우
등등
선지 판단 단계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선지 문장을
두 문장 이상으로 쪼개어서 천천히 해석하는 방식과 문자로 표시된 것을
자료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용어로 바꾸는것입니다.
예를 들면
A, B 가 각각 엘리뇨, 라니냐 중 하나 일 때
ㄷ. 서태평양 적도 부근에서 기상 위성으로 관측한 적외선 방출
복사 에너지의 편차 값은 A가 B보다 크다.
라는 선지에서 자료 해석 단계에서 A가 엘리뇨, B가 라니냐 라고 판단을 하였다면
위 선지를 다음과 같이
서태평양 적도 부근에서 / 기상 위성으로 관측한 적외선 방출
복사 에너지의 / 편차 값 / 은 (엘리뇨>라니냐)?
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결국 좀 천천히 읽으라는 뜻이고 마지막 볼드체는 반드시 직접
손으로 쓰셔야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거창하게 글을 썼지만 결국 핵심은 "좀 옆에다가 표시해라, 써라" 입니다.
-추가적으로 하고 싶은 말
지구과학1 에서는 다양한 물리량, 인과관계 등에서 일명 반비례 관계에 놓인 것들이 많습니다.
당장 여러분들 한번 자신들의 경험들을 떠올려 보세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비례관계는 까먹으라고 해도 까먹지 않으나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것들은 자주 까먹거나 실수를 자주 합니다.
그래서 문제 풀이 과정에서 반비례 관계에 해당하는 유형이라면
시작하기 전에 미리 그 결과를 쓰고 시작하는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죠
태풍 문제가 나왔다고 칩니다 그럼 이 상황에서 대표적인 반비례 관계는
‘태풍의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태풍의 세력은 강하다’ 입니다.
그렇다면 문제 읽는 과정이나 자료 해석하는 상황에서
기압↓ 세력↑ 이렇게 간단하게 써주기만 해도 실수도 줄고 자료를 해석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ㄱ선지 판단의 중요성
지구과학1의 거의 대부분의 문제 아니 사실상 20문제 전부가 ㄱㄴㄷ형식을 띄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고 하더라도 ㄱ선지정도는 나름 쉽게 판단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학생들 대부분이 ㄱ선지가 맞으면 1번~5번 선지중에서 ㄱ선지가 없는건 X표시 하실거고
ㄱ선지가 틀리면 1번~5번 선지중에서 ㄱ선지가 있는걸 X표시 하실겁니다.
자 여기서 ㄱ선지 판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1. ㄱ선지는 어려운 문제라도 해볼만하다.
2. 우리는 부분 ㄱ선지부터 시작한다.
3. ㄱ선지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눈길도 안주는 정답번호가 존재한다.
이러한 전제조건에서 우리가 만약 쉬운 ㄱ선지를 판단하는데에 오류를 범했다면,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인지하지 못했다면 그 시험의 운영은 매우 높은 확률로 어지러워집니다.
ㄱ선지가 틀렸는데 맞다고 실수를하는 식의 잘못된 판단을 해버리면
이미 우리는 정답 번호를 아예 배제하고 시작하는데 그러니까 아예 틀리고 시작하는데
여기에 추가적인 시간을 들여서 ㄴ선지 ㄷ선지를 판단한다? 이건 정말 안타깝고 기구한 상황입니다.
운좋게도 문제가 5지선다라서 최종 판단결과가 번호에 없다면 실수를 돌아볼 여지라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꼭 집중을해서 확인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이 매우 크리티컬한 이유는 실수를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잘만 이용한다면 4페이지 매우 어려운 문제들도
객관식 시험의 맹점을 이용하여 찍어도 50퍼센트의 확률로 맞출 수 있다는 겁니다.
------------------------------------------------------------------------------
비록 모두가 아는 당연한 사실이고 별거 없지만
부디 부족한 제 글이 지구과학1 선택자중 단 1명이라도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남은 기간 준비 잘 하시고 수능날 최고의 컨디션으로 최상의 결과가 나오길 기원하겠습니다.
0 XDK (+1,010)
-
1,000
-
10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4
-
밥먹어야대는데 5 0
우우웅
-
국어 고점 찍을 수 잇을까 11 0
독서 다 맞는건 될거 같은데 좀 과한 자신감인데 22수능급으로 나와도 1틀 넘게...
-
수능 일주일 전 감기 0 1
진짜 끝까지 억까하는구나
-
도덕적 운 기출지문 질문 0 0
(ㄱ어떤 철학자들)의 내용을 정리하면 도덕적 운이 존재하지만 셋 다 불공평하다...
-
좋은 대학 갈 생각이 딱히 없음 10 0
그냥 붙으면 기분 좋겟다 정도 그래서 공부를 딱히 안하는 듯
-
나처럼 게으르면 불행해져 0 1
욕심이 많으면 노력을해야지 매년 적당히 설렁설렁 공부해놓고 게으름을 아는것도 분수를 파악하는 것일까
-
수능 망하면 머하지 6 0
나는 국숫집을 하고 싶음 그러려면 돈을 먼저 벌어야되는데
-
수능 다가오니까 1 0
다가오는데 ㄹㅇ 별 생각 없네 알빠노
-
야 너 7 1
안자고 모하냐
-
이사람은 ㅈ목을 너무 많이 함 2 0
오르비의 바이러스
-
은근히 한 과목이 제일 중요함 5 0
한 과목 제대로 잘하면 어찌저찌 죽이라도 쑤어먹음 내가 반수할 동기그 자체가 될수도...
-
그래도 삼수까지는 1 4
부모님이나 가족 친구 응원 대놓고 받을수있음 그 뒤로는 걍 못보면 병신 이런 거라...
-
맛잇는ㄱ더 먹고 싶어 4 0
본인 지금 감기 일주일넘게 가는중 반팔 반바지라 그런가 맨날 선풍기틀고 자서 그런가 왠지 모르겟음
-
오늘 다중적분 글 다쓴다 ㅅㅂ 8 0
정병 도져서 지금 고3때처럼 배개에 대고 뿌에에에에엑 소리지르는중 ㅅㅂ
-
40 40 받을 수 잇나 2 0
ㅏ.
-
경로당홍삼캔디도둑오댕이 1 1
-
오늘 응시 장소 나옴? 3 1
제발 이 학교는 안 된다 내 학교 나오면 진짜 닷지 마려울꺼 같네
-
그래 내가 오노추한다 8 0
오늘은 노란색 팬티 추천
-
딱 이거는 해야지 1 0
연계 EBS 클래스 (운문만 잇음) 강E분 고전산문 언매 기출 25~20 평가원...
-
공부할건데 오노추해주셈 5 0
에이디에이치라서 노래 안들으면 공부 못함
-
새르비 왜 다 죽음 10 0
2시 45분인데
-
어제 저녁감기약 안 먹엇는데 2 0
지금 먹어도 됨?
-
수능이라고 생각하니깐 떨리는듯 0 2
「키라키라☆ 도전! 함께하는 문제풀기 콘테스트!!♪」 라고 생각하셈
-
나도 아간데 3 0
나도 아가야
-
수능 화장실 질문 2 0
수능 때 화장실 가면 시간 많이 소요 되나요? 모고 볼 때도 수학 시간만 되면 꼭...
-
편지랑 마카롱 선물해줘야지 얼마나 떨릴까 노력한 만큼 점수 받았으면...
-
나에겐 오직 한 사람 3 0
세상 누구보다 내게 소중한 사람
-
밤샘공부ㄱ 0 0
물리수학영어
-
휫자를 먹을거임 2 1
7천원 할인 흐흐
-
수능 5일 남았네 3 0
구라같다(구라임)
-
포켓몬카드 뜯었는데 1 0
기분나쁘게 써서... 난 안할래 그래도 포켓몬카드는 계속 살거야!
-
행복과 공부에 관한 생각 0 0
샤워 도중에 요즘 현대인들이 원초적인 관능적 매력과, 아름다움을 분별해야된다고...
-
안웃기면 오르비탈퇴함 11 0
-
에이전트 이거 중요한거임? 3 3
보는 모의고사마다 있네
-
11섶 전반전 3 0
언매 : 93 독서 3점짜리 하나랑 언어 2점 2개틀림 미적 : 96 28번 맞은 줄 알았는데 틀림
-
이 갈븨지 트래시
-
배고픔 꼬르륵거림
-
오르비에는 두가지 성별이있다 3 0
남자와 게이
-
으아아아ㅏ아아앙 7 0
으아아아아아ㅏ앙
-
논술 파이널 단과 0 0
들으시는 분들 (과기,건대,경희대,세종대) 연락주세요 지원하는 과 다르면 서로 자료...
-
수능 시험장에 2 0
자리에 시험 시간 언제부터 언제까진지 붙어있음? 우리학교 이상한 시간표로 모고쳐서 잘 모르는데
-
오르비 어느샌가부터 연예인프사 개체수가 줄어든 느낌 11 1
오르비 질서를 주도하는 연예인프사단이 없음
-
벌써 수능이라니 1 2
내 1년..
-
재미는있는데 저능해지는듯 ㅠㅠ
-
민민 독서 모고 난이도 조사! 0 1
음.. 여타 사설이랑 비교했을때 최대한 평가원처럼 깔끔하게 내려했는데 궁금하네요....
-
예비 고3 겨울방학 커리 ㅊㅊ 0 0
08입니다. 언미물지 선택인데 국어-심 수학-범바오 물-현정훈은 기본으로 갈거...
-
초딩때로 돌아간 느낌 0 0
음질 구린게 묘한 노스탤지어를 일으킴
-
이건 ㄹㅇ찐옯평 ㅋㅋㅋㅋ 2 0
걍







선좋아요 후감상

감사합니다.스크랩 해놔야지

스크뢥이신혁: 집 가고 싶은 심리를 경계하라
goat
슈냥의 9년의정수.,
대슈냥
2511 성적표는 어디간거죠

축 실수가 진짜 가슴아픔교수님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