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74292
최대행복의 원리를 따를 경우 우리 자신의 이익을 고려하든 타인의 이익을 고려하든 가능한 고통이 없고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존재 상태에 이르는 궁극 목적이 된다
이게 왜 밀에 대한 설명인가요 전 벤담이 고통 싫어하는 자연적 경향성 갖기때문에 벤담이라고 생각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벤담은 쾌락에 질적차이가가 없다했고 양적차이만있다고해서 아니고
쾌락에 질적, 양적치이가 있다고 한 밀아닌가
지문에서 어디를 보고 그렇게 나오신건가요?
가능한 고통이없고“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그엏게보니까 그냥 쉬운문제였네요 감사합니다
벤담은 질적이라는 얘기를 안함 질적이라는 단어를 포함해서 얘기한다는것 자체가 스튜어트 밀
넵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