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이것도 개념 상충되네 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73434
강케이 몇회인진 모르겟는데 ‘최단신 선수’가 성취지위로 나온사례가 잇엇고
기출에서는 ‘최고령 사원’이 성취지위라고 나온적 있고
윤성훈샘은 최고령 같이 명확(?)한건 지위가 맞으나, 최단신, 인기가 많은, 머리가 긴, 이런 상대적(?)인 특징이 붙은것은 성취지위가 아니라는데
지위 여부는 엄격하게 판단하셔야 합니다!
한 사회 혹은 집단 내에서, 그 사람의 위치를 명확하게 나타내주는 것을 두고 지위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최고령 사원은 한 회사 안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사원이라는 명확한 위치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지위로 볼 수 있어요.
인기가 많다는 것은 주관적 평가이기 때문에, '인기 많은 가수'는 한 사회 내에서의 명확한 위치를 나타내주지 못합니다. 따라서 애초에 지위가 아닌 것이지요.
강케이가 맞음? 윤샘이 맞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냥 선수가 성취지위아님?
최단신은 아닌게 맞고 선수가 성취니까 맞는거쥬
그럼 강케이가 오류인거임?
최단신은 축약형이고, 최단신 선수요
최단신 선수도 선수니까 성취지위
강케이가 아니래요?
강케이가 맞고 윤샘이 아니래요
윤성훈 샘은 최단신 선수 같이 저런게 붙으면 지위가 아니라함. 당연히 ‘최단신’ 자체는 자위가 아니죠
인기 많은 가수는 주관적이라서 지위가 아닌거고
최단신 선수는 객관적으로 누가 보던 최단신이라서
그런거같아요
성훈쌤이 말한건 그냥 귀속적 특성 ( 신체적 특성 등 ) 이 성취는 아니라고 말씀하신것같아요
최단신선수같은경우는 귀속적 요인이 가미된 성취지위라서 성취지위가 맞긴해요 선수니까
Qna 오류인가보네요
최단신 자체도 최고령만큼 명확항 거 같은데
강케이 윤성훈쌤 둘 다 맞고
1. 최단신, 최고령은 객관적인 성질
2. 머리가 긴, 인기가 많은은 주관적인 성질이라
1이 붙은 건 성취지위 맞고
2가 붙은 건 성취지위 아니다
성훈쌤이 틀렷다기 보단
성훈쌤 말씀의 요지를 잘못 이해하면 저렇게 생각할 수 있는 듯
성훈쌤의 요지는
객관적 성질이 붙으면 지위 맞지만
주관적 성질이 붙은 건 지위가 아니다.
강케이 문제랑
성훈쌤 말씀이랑 상충X
최단신, 최고령은 모두 객관적인 성질.
이게 맞다
아래댓 봐주세요
강의 중 , ‘키가 제일 큰 바이올리니스트’ 이런것도 성취지위가 될 수 없다고 하셨어요
키가 제일 크다는것은 객관적으로 판단 가능한거 아닌가요?
적예 파이널.10회 1h 4m 20s
그러네요
기출에서
'최고령 사원'이 성취지위가 맞다는 걸 감안했을 때
성훈쌤이 해당 강의에서
'머리가 긴 바이올리니스트'까지는 예시를 적절하게 들었다가
'키가 제일 큰 바이올리니스트'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예시를 잘못 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넵 고견 감사합니다
기출 기반으로 일관된 기준을 따를 때
'키가 '제일' 큰 바이올리니스트'는 님 말씀대로
성취지위가 맞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사문이 먼저다 경제인입니다.
수식어가 주관적인지 객관적인지에 따라 다르며
최단신/ 최고령과 같은 객관적인 수식어가 붙는 경우
이 수식어가 지위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혹시 이번에 수특에 있는 자극전파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https://orbi.kr/00075258907/%EA%B7%B8%EB%9E%98%EC%83%A4-%EC%9D%B4%EA%B1%B0-%EC%88%98%ED%8A%B9-%EC%98%A4%EB%A5%98%EC%9E%84%253F?q=1255415&type=imin
말 잘 못하신거 같은데 앞에 무슨 수식어가 붙던 성취지위는 걍 성취지위임
그럼 님 말대로라면 ‘머리가 긴 야구선수‘ 이것도 성취지위라는거죠?
사람들마다 말이 다 다르네 ㅋㅋ
에휴 개같은거 이것도 이제 일주일이면 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