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카데미3 [1324093] · MS 2024 · 쪽지

2025-11-03 12:08:17
조회수 146

예비 고1이 준비해야 할 것들(ft. 고등과정 선행 학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45958

a6b8e4671756f763156fcce1481e4137_1762138791_3195.png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예비 고1을 위한 고등학교 선택 방법에 대해서 살펴봤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예비 고1이 준비해야 할 것들, 가져야 할 마음가짐 등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6b8e4671756f763156fcce1481e4137_1762138799_5124.png

1. 수시와 정시 모두 준비하기

고1 학생들이 입학 후 하게 되는 가장 큰 실수는 '수시를 버리고 정시에 올인하겠다!'라는 생각인데요. 실제로 작년 입시 후기만 봐도 정말 많은 선배분들이 후배들에게 내신을 챙겨라, 수시를 버리지 말라와 같은 조언을 하고 있습니다.


a6b8e4671756f763156fcce1481e4137_1762138819_9479.png
a6b8e4671756f763156fcce1481e4137_1762138819_9789.png

정시는 수능 보는 당일의 컨디션이나, 그해 수능 난이도 등 여러가지 변수가 있습니다.

또한 2026 정시 모집의 경우, 정시 전형이어도 생활기록부(내신, 출결 사항)을 반영하는 학교도 있었기 때문에 고1 첫 시험을 망쳤다고 하더라도 내신을 바로 버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1학년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2~3학년에 성적 상향 곡선을 그리게 된다면 긍정적인 요소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내신 성적 및 수시 입학을 섣불리 포기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모의고사 성적이 좋은 편이라고 해도 수능 때 그 성적이 그대로 나온다고 보장할 수가 없습니다. 모의고사 성적을 수능 성적으로 착각하면 안 됩니다!


보통은 꾸준히 내신 점수를 신경썼던 학생이 수능도 잘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일확천금을 노리는 마음으로 대입에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고등학교 내신을 챙기겠다는 마음가짐을 꼭! 꼭! 가지시길 바라겠습니다.





a6b8e4671756f763156fcce1481e4137_1762138833_819.png

2. 기본기 탄탄하게 잡기

내년에 고등학생이 되는 여러분들은 2022개정 교과서로 공부를 하게 될 텐데요. 새로운 교과서에 적응하고, 학교 수업에 원할하게 따라갈 수 있도록 기본기를 탄탄하게 잡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어: 앞으로 중학교 때와는 전혀 다른 내용과 유형의 문제를 접하게 되실 겁니다. 무조건적으로 문제를 풀기 보다도 문학 개념어와 문법의 개념, 원리를 먼저 꼼꼼히 학습하고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학 개념어 공부는 ebs 윤혜정 선생님의 개념의 나비효과 인강을 추천합니다~!) 시간 재며 기출문제 풀이하는 공부는 지금 하지 마세요. 기출 문제 풀이는 개념이 튼튼하게 잘 잡힐 경우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28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서는 매체가 제외되고,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으로 모든 학생들이 선택 없이 동일한 과목으로 수능에 임하게 됩니다. 따라서 문법 학습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중학교 때 배웠던 품사와 단어의 형성 단원을 다시 한번 복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고등학생부터는 독서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연습을 해야 해요! 아직은 시간에 쫓기듯이 풀거나 시간을 재면서 읽기보다는 먼저 전체 글의 화제를 찾고, 이 화제(키워드)를 중심으로 문단의 중심 내용을 스스로 정리해 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문단별로 중심 문장도 찾아 보고 글 전체의 구조는 어떠한지, 글 전체 주제는 무엇인지 등을 정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연습을 많이 하다 보면 글의 흐름을 파악하는 게 훨씬 쉬워질 거예요. 예를 들어 1~2문단만 보고도 '아, 이 글은 개념 a와 개념 b를 비교, 대조하는 글이구나.'와 같이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다양한 책을 읽어 배경 지식을 넓히는 것도 추천합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을 읽을 시간과 여유는 없어지는데, 어렸을 때에 책을 많이 읽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의 독해력 차이는 굉장히 큽니다.

따라서 고등학교 가기 전, 겨울방학 때 한 달에 두 세 권이라도 다양한 책을 읽으며 독해력을 기르시면 좋겠습니다. (정말정말 중요해요 ㅠ.ㅠ)



수학: 중학교 때 배웠던 전체적인 개념을 복습하고 취약한 영역을 찾아야 해요. 수학은 각 개념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배웠던 부분에 취약한 영역이 있다면 그 다음 개념으로 넘어가기가 힘들어요. 따라서 선행학습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중학교 수학 개념을 꼼꼼하게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겨울 방학엔 수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를 추천드립니다. 고등 수학은 중학교 때와 다르게 그 난이도와 양이 많습니다. 따라서 학교 수업을 수월하게 따라가기 위해서는 시간 날때마다 틈틈히 공부하여 선행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영어: 우리가 글을 읽을 때 단어를 많이 알수록 더 풍부하게 글을 쓸 수 있듯이 영어 단어를 많이 알면 독해가 훨씬 쉬워질 거예요. 중학교와 달리 고등학교에서 출제되는 영어의 지문은 굉장히 복잡하게 제시되므로, 우리는 먼저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어휘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석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뜻을 아는 단어 자체가 많아야겠죠? 영어 단어의 뜻을 모르면 아예 독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여러분은 이미 많은 영어 단어장을 가지고 있으실 것 같은데요. 어떤 단어장이어도 좋으니 한 권이라도 완벽하게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한 번 읽고 끝내지 말고 기초적인 단어, 사소한 단어라도 반복적으로 암기하여 어휘력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단어를 외우셨다면 국어 독서 지문 공부하는 것처럼 한 문장 한 문장 뜯어보며 문장을 해석하는 연습을 하시고, 글의 구조와 주제가 무엇인지 정리해본 후 문제도 함께 풀어보면 좋겠습니다. 진학할 고등학교의 영어 교과서 지문을 분석해 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a6b8e4671756f763156fcce1481e4137_1762138845_4634.png

3. 공부 플래너 쓰기 / 목표 설정하기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내신 대비, 학교 행사, 비교과 활동, 수행 평가 등 정말 바쁜 시간을 보내게 되실텐데요. 따라서 무엇보다 시간 관리 능력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마음에 드는 플래너를 구입하여 매일매일의 목표, 공부량 등을 기입해 보세요. 내가 생각만 하는 것과 손으로 적어 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정말 다르답니다.

또한 아무런 목표도 없이 공부를 하는 것보다 과목별로 작은 목표들을 세우면 학습의 능률도 함께 올라갈 거예요. 이때, 예를 들어 '수학 성적을 올리기.'와 같은 막연한 목표 보다는 '중간고사에서 90점 이상 받기'와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너무 이상적인 목표보다는 나에게 맞는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해요.

자신의 공부 방향성을 정해두고 주체적으로 학습한다면 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플래너에 적으면 더욱 의지가 생기겠죠?




마지막으로 여러분에게 공부 TIP 몇 가지를 공유하겠습니다!


  1. 1. 방학 동안 영어 단어, 문학 개념과 같이 암기가 필요한 것들을 미리 학습하기

  2. 2. 내신, 모의고사 포기하지 말고 둘 다 잡기. 내신 시험 공부는 최소 시험 3주 전에, 그 외의 시간에는 모의고사 공부를 하기

  3. 3. 학교에서 참여했던 활동들과 그걸 통해 느낀 점들, 학교에서의 여러 갈등 등을 해결한 경험 등을 그때그때 써 놓아 자소서에 적을 양식 1학년 때부터 모으기

  4. 4. 학원이나 과외만 믿지 말고 학교 수업 시간에 수업을 충실히 듣기

  5. 5. 체력을 기르기 ! 고등학교는 체력 싸움이다.

  6. 6. 인간관계에 스트레스 받지 말기 !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 정말 좋겠지만, 마음대로 풀리지 않는 일에 너무 큰 고민을 하여 시간을 뺏기지 말기

  7. 7. 선생님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선생님이랑 친하게 지낸다고 선생님이 수행평가 점수를 잘 준다는 것은 아니지만, 선생님과 잘 지내면 생기부에 좋은 말이 한 문장이라도 더 적히고 입시에 도움이 되는 조언을 들을 수 있다.



여기까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을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어쩌면 여러분들이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 당연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방법을 알고 있다고 해도 실천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

당연한 내용들을 되새기며 다시 한 번 의지를 다잡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앞으로의 고등학교 생활, 국어 성적 향상을 나무아카데미도 응원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