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질문이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31083
발산형 경계의 지각에서 반려암은 발견될 수 없나요?
지각에서는 조립질 생성이 안 되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31083
발산형 경계의 지각에서 반려암은 발견될 수 없나요?
지각에서는 조립질 생성이 안 되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2026 수능
D - 9
해양지각에 반려암있어요.. 이런건 문제를 가져오시는게
애초에 하부 해양지각 구성 요소 중 하나가 반려암이에요.. 대륙지각은 주로 화강암'질' 암석이고, 해양지각은 주로 현무암'질' 암석이다 이런식으로 조성만 알고 계셔도 충분할 듯..
발산형 경계의 지각 주된 구성 요소가 현무암인거 맞나요?
발산형 경계가 어디를 말하는 건지...
동아프리카 열곡대 대륙지각도 발산형 경계라고 볼 수 있는데
해양지각 말씀하시는 건가요?
해양지각이면 구성요소가 현무암'질 암석'이죠
'현무암'으로 주로 이루어지는가? 이렇게는 못 물어보죠..
해양지각의 발산형경게가 맞습니다. 정확히 정의할 순 없군요 감사합니다
이런게 애매한게 해양지각에서의 경우도 있고, 질문의 의도와는 다르게 지하 깊숙히 있던 반려암이 지각들이 침식하면서 드러날 수 있다 등등등 변수가 많아서
수능에서 발산형 경계의 지각에서 반려암은 발견될 수 없다! 라는 선지가 나오게 되면 이의제기가 터져나올 겁니다.. 그래서 암묵적으로 안물어보는거라..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 듯합니다.
만약에 선지가 저렇게 나오면 질문의 의도가 뭔지에 따라(몇 단원의 내용을 물어보는지)답변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해설에 그냥 저렇게 쓰여있더라고요.. 답변 감사합니다.
주될 암석을 현무암이 맞는건가요? 문제 다시보니 지각을 구성하는 주된 암석을 묻고있네요
윗분말대로 엄밀히 따지자면 현무암‘질‘이란 표현이 정확하겠으나 지1 과정에선 주된 암석이 현무암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