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쭈고 [1335167] · MS 2024 · 쪽지

2025-11-01 15:59:20
조회수 139

사만다 파이널 3회 11번 기능론 상상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14274

사람들은 공유된 상황적 맥락에 기초하여 행동한다.

상황적 맥락도 대화나 표식에는 직접 드러나지 않는 암묵적 의미를 개인에게 제공해준다. 이에 따라 개인은 일상에서 상황적 맥락에 부합하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상황적 맥락이 깨어지더라도 주어진 상황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재해석하여 맥락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 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데 기여한다.


이게 상상론이라고 하는데

상황적 맥락에 부합하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것, 사회 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문장을 보면 기능론 아닌가요?ㅠ

상상론은 사회 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데 관심도 없고 사회적 역할에 대한 언급도 없지 않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웃집 설냥이 · 1270533 · 8시간 전 · MS 2023

    저도그거의문임

  • 스카이쭈고 · 1335167 · 8시간 전 · MS 2024

    그쵸… 사설 풀면서 이런 생각 드는거 처음인데
    이건 진짜 문제가 좀… 뭔가 꼬이게 하려고 만들다보니까 너무 억지를 부린 것 같아요 괜히 수능장에서 더 헷갈릴 것 같아요ㅠ

  • 반수최저러 · 1418341 · 8시간 전 · MS 2025

    아니 저도 그거 기능론으로 보고 틀;;

  • 스카이쭈고 · 1335167 · 7시간 전 · MS 2024

    근데 제시문이 약간… 기능론 상상론 섞어놓은 것 같지 않나요??ㅠㅠ 뭔가 하나로 확정하기에는 너무 애매한 것 같아요ㅠ

  • 언미사지 · 1402630 · 7시간 전 · MS 2025

    기능론은 안정과 균형을 중시하는 건데, 저 발문에서 안정과 균형이 이뤄진다 무슨 무슨 이유 때문에 이런식인 거지 안정과 균형이 중요하다고 말한 게 아니라서 상상론이 확실한 것 같아요

  • 스카이쭈고 · 1335167 · 7시간 전 · MS 2024

    상황적 맥락이 깨어지더라도 주어진 상황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재해석하여 맥락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 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데 기여한다

    여기가 안정과 균형을 이루는 과정이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