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수능 국어 행동경제학 출제한다네요. (25수 리프킨 모델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02226
듄 사회:과학.pdf


는 저도 잘 모르겠고 정성들여 오류 없게끔 만들어봤습니당 ㅎㅎ EBS 내용에서 크게 벗어난건 업슴당
지문이랑 문제는 25수 사회지문 모델링햇어요
궁금한건 댓글로 물어봐주새요!
해설은 좀 대충만들었습니다 ㅠㅠ 양해해주십시오,, ai가 선지 분석을 잘 못하는 부분이 있네요 ㅎㅎ
문제 풀이 및 상세 해설 (정답 기준)
5.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정답: ③)
이 문제는 지문의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묻습니다.
- ① (일치) 1문단에서 I체계는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작동한다고 하였으므로, 느린 II체계에 비해 시간적 효율성이 높습니다.
- ② (일치) 4문단에서 표준 경제학은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수용 의사는 동일해야 한다"고 말하며, '일관성'을 합리성의 중요한 척도로 보고 있습니다.
- ③ (정답, 불일치) 이 선지는 교묘한 말 바꾸기 함정입니다. 3문단에서 부존자원 효과는 "동일한 물건이라도 소유 여부에 따라 그 가치를 다르게 평가하는 비일관성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명확히 서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관적일 수 있다'는 이 선지의 서술은 지문의 내용과 정면으로 배치됩니다.
- ④ (일치) 인간의 심리가 편향되어 있으므로, 개개인마다 심리의 특수성이 반영됨을 암시한다. 따라서 인간의 심리는 보편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참고: 부존자원 효과가 보편적인 것일 뿐, 인간의 심리가 보편적이라는 것은 지문에 근거하지 않는 왜곡된 발상이다.
- ⑤ (일치) 마지막 문단에서 "물건의 사용 가치가 부각되는 맥락에서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명시적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6. ㉠(표준 경제학)과 ㉡(행동 경제학)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⑤)
이 문제는 두 이론의 근본적인 관점 차이를 비교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핵심 문항입니다.
- ① (적절) ㉠은 부존자원 효과를 '이변'으로 보며, 그 원인을 "시장의 정보가 불완전하거나 거래 비용이 존재하는 특수한 경우"로 돌립니다. 이는 인간 내부의 심리(내부 요인)가 아닌, 시장 시스템의 문제(외부 요인)로 설명하려는 시도입니다.
- ② (적절) ㉡은 인간의 '비합리성'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사람들이 II체계의 정교한 계산 대신 I체계의 '일상적인 해결 방법'에 의존하는 것은, II체계만으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즉 II체계의 '한계'를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 ③ (적절) ㉠은 합리성을 '효용 극대화'라는 단일한 규범으로 설정합니다. 반면, ㉡은 '두 체계 이론'을 통해 인간이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I체계 또는 II체계)으로 사고하는 다원적인 특성을 가진다고 봅니다.
- ④ (적절) ㉠은 객관적인 '교환 가치'만을 합리적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반면, ㉡은 주관적인 '사용 가치'가 판단에 개입함을 적극적으로 인정합니다. 이것이 두 이론의 핵심적인 차이입니다.
- ⑤ (정답, 부적절) 이 선지는 행동 경제학의 입장을 교묘하게 왜곡합니다.- 앞부분: "㉠은 효용 극대화를 위해 습관이나 타성을 극복해야 한다고 본다"는 내용은 맞습니다.
- 뒷부분: 그러나 "㉡은 습관이나 타성을 I체계의 합리적인 작동 방식으로 간주한다"는 서술이 틀렸습니다. ㉡은 습관이나 타성을 I체계의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작동 방식이라고 **'설명(describe)'**할 뿐, 그것이 II체계의 관점에서 **'합리적(rational)'**이라고 **'평가(evaluate)하거나 정당화'**하지 않습니다. 행동 경제학은 인간의 '비합리성'을 설명하는 이론이지, 그 비합리성을 '새로운 합리성'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이 아닙니다.
- ③ ㉠은 ㉡과 달리, 합리성을 현실에서 관찰되는 인간의 단일한 특성으로 간주한다.
- 6번에 3번 선지는 이렇게 고치는 게 나을거같네요! 죄송합니당 ㅠㅠ
 
7.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정답: ②)
이 문제는 마지막 문단의 '맥락' 개념을 세 가지 다른 사례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초고난도 문항입니다.
- ① (적절) (A)에서 갑은 '새로 사는 가격(교환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부릅니다. 이는 '추억'이라는, 값을 매길 수 없는 '사용 가치'를 교환 가치보다 훨씬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 ② (정답, 부적절) (B)에서 을의 행동은 "투자 수익만을 목적으로 재판매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의 경우"에 해당하며, 지문은 이 경우 부존자원 효과의 발생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는 "약화된다"고 서술했습니다. '제거되었다'는 단정적인 표현은, 효과가 약하게나마 나타날 가능성 자체를 부정하므로, 지문의 서술보다 지나치게 강한 표현입니다. 또한, '시세 차익'이라는 교환 가치를 중시하는 맥락임은 맞지만, '제거'라는 단어가 부적절합니다. 편집자 주: 이 선지는 '제거'라는 단어의 엄밀성을 따지는 매우 까다로운 선지입니다. 다른 선지들과의 비교를 통해 가장 '덜' 적절한 것을 골라야 합니다.
- ③ (적절) (C)의 공원은 사적인 재화가 아닌 공공재이지만, 병은 '자신이 사는 동네의'라는 심리적 연결을 통해 공원을 '자신의 것'처럼 여기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공원은 병에게 높은 '사용 가치'를 지니는 '심리적 부존자원'이 되며, 이를 지키기 위해 시장 가치(교환 가치) 이상의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는 것은 부존자원 효과의 논리로 설명 가능합니다.
- ④ (적절) 표준 경제학의 관점에서 '합리적' 선택은 객관적인 가치(교환 가치)에 기반해야 합니다. (A)의 갑은 '추억' 때문에, (C)의 병은 '애향심' 때문에 객관적 가치를 초과하는 비용을 지불(요구 또는 기부)하려 하므로, 둘 다 비합리적 선택으로 간주됩니다.
- ⑤ (적절) 행동 경제학의 관점에서 (A)와 (C)는 모두 '사용 가치'를 중시하는 맥락에서 나타나는, I체계의 대표적인 편향(부존자원 효과)의 결과입니다. "효용을 극대화하려는 II체계의 계산 결과"가 아니라, "비합리적이지만 자연스러운 I체계의 작동 결과"로 보는 것이 행동 경제학의 핵심입니다. 주의: 6번 문제 ⑤번 선지와의 비교가 중요합니다. 행동 경제학은 이를 '비합리적 결과'로 설명합니다.
0 XDK (+0)
-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좋아요 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좋아요 0
- 
        
        내일이 수능이었으면 좋겠다 1 0 빨리 수능 풀고 나와서, 그날 저녁에도 축구하러 가고 또 피파도 다시 시작하고 빨리... 
- 
        
        그거아세요 한티역에는 7수하다가 정신나가서 노숙하는 노숙자가있음 1 0 진짜 N수는 사람망쳐 
- 
        
        쫑느가 종강하면? 1 0 쫑강ㅋㅋ 
- 
        
        설맞이 2-2 미적 88 2 0 저능아 이슈 22번 세다가 빼먹었고 28번 ? 30번 계산 못하는 저능아 
- 
        
        1점 정도는 등급 차이 날 수 있어도 한 2, 3점으로는 등급 안 바뀜? 예를 들어... 
- 
        
        국어 1등급이신분들 투표좀.. 2 0 현장에서 이해 정도 
- 
        
        가채점표 보고 채점하고 당일날 등급 계산 가능한가요? 메가스터디나 이비에스 그런 거... 
- 
        
        티원보소;; 1 0 컨디션 좋나보네 오늘 
- 
        
        의치한약수를 꿈꾸지만 공부를 못해서 못 들어간 사람한테, 면허를 빌려주고,... 
- 
        
        아니 이짝 동네는 무슨 축제를 1 0 3주 연속으로 조지냐 스피카 개시끄럽다고 아 
- 
        
        아 홀수형 제발베발제발제발 2 0 제바렞발제발베발 
- 
        
        식센모 이름의 이유를 알았음 1 0 풀거 다 풀고 찍는 육감을 기르는거였네 아 44 실력으로 어케넘김 
- 
        
        혜윰 비추 1 0 뭔 독서가 출제오류 수준인듯,내가 생각에는 답이 없는 문항들이 있음. 걍 요즘 댓글... 
- 
        
        자유로운 우리를 봐 자유로워 1 0 
- 
        
        협심증 증상 있는데 1 1 수험 스트레스 때문인가 아 
- 
        
        오공끝 1 1 친구랑 놀아야징 
- 
        
        아니 버스 ㅈㄴ 화나네 1 0 버스 기다리고 있는데 도착까지 남은 시간이 계속 늘어나더니 버스가 걍 아예 사라짐... 
- 
        
        유대종 문학은 원탑아님? 1 1 주체변환 선후도치 의도삽임 이건 아무나 못따라하는 찐 …. ㄹㅇ 
- 
        
        막판2주 수학 1 0 뭘 하는게 제일 효과적일까요 확통이고 수학 못해요 개끝자락2에서 3이에요 
- 
        
        서울대 정시 일반전형 2 0 서울대 정시 일반전형은 원서 넣으면 자신의 내신이 cc인지 아닌지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어요? 
 
     
                
             
 
     
     
     
 
     
     
     
     
     
     
 
     
     
 
    






 
 
                  

